쿠버네티스 문서에서 이 섹션은 개별의 태스크를 수행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한 태스크 페이지는 일반적으로 여러 단계로 이루어진 짧은 시퀀스를 제공함으로써, 하나의 일을 수행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만약 태스크 페이지를 작성하고 싶다면, 문서 풀 리퀘스트(Pull Request) 생성하기를 참조한다.
이 섹션의 다중 페이지 출력 화면임. 여기를 클릭하여 프린트.
쿠버네티스 문서에서 이 섹션은 개별의 태스크를 수행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한 태스크 페이지는 일반적으로 여러 단계로 이루어진 짧은 시퀀스를 제공함으로써, 하나의 일을 수행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만약 태스크 페이지를 작성하고 싶다면, 문서 풀 리퀘스트(Pull Request) 생성하기를 참조한다.
쿠버네티스 커맨드 라인 도구인 kubectl
을 사용하면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 대해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kubectl
을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고, 클러스터 리소스를 검사 및 관리하고,
로그를 볼 수 있다. kubectl 전체 명령어를 포함한 추가 정보는
kubectl
레퍼런스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kubectl
은 다양한 리눅스 플랫폼, macOS, 그리고 윈도우에 설치할 수 있다.
각각에 대한 설치 가이드는 다음과 같다.
kind를 사용하면 로컬 컴퓨터에서 쿠버네티스를 실행할 수 있다. 이 도구를 사용하려면 도커를 설치하고 구성해야 한다.
kind 퀵 스타트 페이지는 kind를 시작하고 실행하기 위해 수행해야 하는 작업을 보여준다.
kind
와 마찬가지로, minikube
는 쿠버네티스를 로컬에서 실행할 수 있는
도구이다. minikube
는 개인용 컴퓨터(윈도우, macOS 및 리눅스 PC 포함)에서
단일 노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실행하여 쿠버네티스를 사용해보거나 일상적인 개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구 설치에 중점을 두고 있다면 공식 사이트에서의 시작하기! 가이드를 따라 해볼 수 있다.
minikube
가 작동하면, 이를 사용하여
샘플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해볼 수 있다.
kubeadm 도구를 사용하여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만들고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 친화적인 방식으로 최소한의 실행 가능하고 안전한 클러스터를 설정하고 실행하는 데 필요한 작업을 수행한다.
kubeadm 설치 페이지는 kubeadm 설치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설치가 끝나면, 클러스터 생성이 가능하다.
클러스터의 마이너(minor) 버전 차이 내에 있는 kubectl 버전을 사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v1.22 클라이언트는 v1.21, v1.22, v1.23의 컨트롤 플레인과 연동될 수 있다. 최신 버전의 kubectl을 사용하면 예기치 않은 문제를 피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macOS에 kubectl을 설치할 수 있다.
최신 릴리스를 다운로드한다.
curl -LO "https://dl.k8s.io/release/$(curl -L -s https://dl.k8s.io/release/stable.txt)/bin/darwin/amd64/kubectl"
curl -LO "https://dl.k8s.io/release/$(curl -L -s https://dl.k8s.io/release/stable.txt)/bin/darwin/arm64/kubectl"
특정 버전을 다운로드하려면, $(curl -L -s https://dl.k8s.io/release/stable.txt)
명령 부분을 특정 버전으로 바꾼다.
예를 들어, Intel macOS에 버전 v1.22.0을 다운로드하려면, 다음을 입력한다.
curl -LO "https://dl.k8s.io/release/v1.22.0/bin/darwin/amd64/kubectl"
Apple Silicon의 macOS라면, 다음을 입력한다.
curl -LO "https://dl.k8s.io/release/v1.22.0/bin/darwin/arm64/kubectl"
바이너리를 검증한다. (선택 사항)
kubectl 체크섬 파일을 다운로드한다.
curl -LO "https://dl.k8s.io/release/$(curl -L -s https://dl.k8s.io/release/stable.txt)/bin/darwin/amd64/kubectl.sha256"
curl -LO "https://dl.k8s.io/release/$(curl -L -s https://dl.k8s.io/release/stable.txt)/bin/darwin/arm64/kubectl.sha256"
kubectl 바이너리를 체크섬 파일을 통해 검증한다.
echo "$(<kubectl.sha256) kubectl" | shasum -a 256 --check
검증이 성공한다면, 출력은 다음과 같다.
kubectl: OK
검증이 실패한다면, shasum
이 0이 아닌 상태로 종료되며 다음과 유사한 결과를 출력한다.
kubectl: FAILED
shasum: WARNING: 1 computed checksum did NOT match
kubectl 바이너리를 실행 가능하게 한다.
chmod +x ./kubectl
kubectl 바이너리를 시스템 PATH
의 파일 위치로 옮긴다.
sudo mv ./kubectl /usr/local/bin/kubectl
sudo chown root: /usr/local/bin/kubectl
PATH
환경 변수 안에 /usr/local/bin
이 있는지 확인한다.
설치한 버전이 최신 버전인지 확인한다.
kubectl version --client
macOS에서 Homebrew 패키지 관리자를 사용하는 경우, Homebrew로 kubectl을 설치할 수 있다.
설치 명령을 실행한다.
brew install kubectl
또는
brew install kubernetes-cli
설치한 버전이 최신 버전인지 확인한다.
kubectl version --client
macOS에서 Macports 패키지 관리자를 사용하는 경우, Macports로 kubectl을 설치할 수 있다.
설치 명령을 실행한다.
sudo port selfupdate
sudo port install kubectl
설치한 버전이 최신 버전인지 확인한다.
kubectl version --client
kubectl이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찾아 접근하려면,
kube-up.sh를
사용하여 클러스터를 생성하거나 Minikube 클러스터를 성공적으로 배포할 때 자동으로 생성되는
kubeconfig 파일이
필요하다.
기본적으로, kubectl 구성은 ~/.kube/config
에 있다.
클러스터 상태를 가져와서 kubectl이 올바르게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kubectl cluster-info
URL 응답이 표시되면, kubectl이 클러스터에 접근하도록 올바르게 구성된 것이다.
다음과 비슷한 메시지가 표시되면, kubectl이 올바르게 구성되지 않았거나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 연결할 수 없다.
The connection to the server <server-name:port> was refused - did you specify the right host or port?
예를 들어, 랩톱에서 로컬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실행하려면, Minikube와 같은 도구를 먼저 설치한 다음 위에서 언급한 명령을 다시 실행해야 한다.
kubectl cluster-info가 URL 응답을 반환하지만 클러스터에 접근할 수 없는 경우, 올바르게 구성되었는지 확인하려면 다음을 사용한다.
kubectl cluster-info dump
kubectl은 Bash 및 Zsh에 대한 자동 완성 지원을 제공하므로 입력을 위한 타이핑을 많이 절약할 수 있다.
다음은 Bash 및 Zsh에 대한 자동 완성을 설정하는 절차이다.
Bash의 kubectl 자동 완성 스크립트는 kubectl completion bash
로 생성할 수 있다. 이 스크립트를 셸에 소싱하면 kubectl 자동 완성이 가능하다.
그러나 kubectl 자동 완성 스크립트는 미리 bash-completion을 설치해야 동작한다.
여기의 지침에서는 Bash 4.1 이상을 사용한다고 가정한다. 다음을 실행하여 Bash 버전을 확인할 수 있다.
echo $BASH_VERSION
너무 오래된 버전인 경우, Homebrew를 사용하여 설치/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brew install bash
셸을 다시 로드하고 원하는 버전을 사용 중인지 확인한다.
echo $BASH_VERSION $SHELL
Homebrew는 보통 /usr/local/bin/bash
에 설치한다.
bash-completion v2가 이미 설치되어 있는지 type_init_completion
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 Homebrew로 설치할 수 있다.
brew install bash-completion@2
이 명령의 출력에 명시된 바와 같이, ~/.bash_profile
파일에 다음을 추가한다.
export BASH_COMPLETION_COMPAT_DIR="/usr/local/etc/bash_completion.d"
[[ -r "/usr/local/etc/profile.d/bash_completion.sh" ]] && . "/usr/local/etc/profile.d/bash_completion.sh"
셸을 다시 로드하고 bash-completion v2가 올바르게 설치되었는지 type _init_completion
으로 확인한다.
이제 kubectl 자동 완성 스크립트가 모든 셸 세션에서 제공되도록 해야 한다. 이를 수행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자동 완성 스크립트를 ~/.bash_profile
파일에서 소싱한다.
echo 'source <(kubectl completion bash)' >>~/.bash_profile
자동 완성 스크립트를 /usr/local/etc/bash_completion.d
디렉터리에 추가한다.
kubectl completion bash >/usr/local/etc/bash_completion.d/kubectl
kubectl에 대한 앨리어스가 있는 경우, 해당 앨리어스로 작업하기 위해 셸 자동 완성을 확장할 수 있다.
echo 'alias k=kubectl' >>~/.bash_profile
echo 'complete -F __start_kubectl k' >>~/.bash_profile
Homebrew로 kubectl을 설치한 경우(여기의 설명을 참고), kubectl 자동 완성 스크립트가 이미 /usr/local/etc/bash_completion.d/kubectl
에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아무 것도 할 필요가 없다.
BASH_COMPLETION_COMPAT_DIR
디렉터리의 모든 파일을 소싱하므로, 후자의 두 가지 방법이 적용된다.
어떤 경우든, 셸을 다시 로드하면, kubectl 자동 완성 기능이 작동할 것이다.
Zsh용 kubectl 자동 완성 스크립트는 kubectl completion zsh
명령으로 생성할 수 있다. 셸에서 자동 완성 스크립트를 소싱하면 kubectl 자동 완성 기능이 활성화된다.
모든 셸 세션에서 사용하려면, ~/.zshrc
파일에 다음을 추가한다.
source <(kubectl completion zsh)
kubectl에 대한 앨리어스가 있는 경우, 해당 앨리어스로 작업하도록 셸 자동 완성을 확장할 수 있다.
echo 'alias k=kubectl' >>~/.zshrc
echo 'complete -F __start_kubectl k' >>~/.zshrc
셸을 다시 로드하면, kubectl 자동 완성 기능이 작동할 것이다.
complete:13: command not found: compdef
와 같은 오류가 발생하면, ~/.zshrc
파일의 시작 부분에 다음을 추가한다.
autoload -Uz compinit
compinit
kubectl convert
플러그인 설치이것은 쿠버네티스 커맨드 라인 도구인 kubectl
의 플러그인으로서, 특정 버전의 쿠버네티스 API로 작성된 매니페스트를 다른 버전으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한다. 이것은 매니페스트를 최신 쿠버네티스 릴리스의 사용 중단되지 않은 API로 마이그레이션하는 데 특히 유용하다.
더 많은 정보는 다음의 사용 중단되지 않은 API로 마이그레이션을 참고한다.
다음 명령으로 최신 릴리스를 다운로드한다.
curl -LO "https://dl.k8s.io/release/$(curl -L -s https://dl.k8s.io/release/stable.txt)/bin/darwin/amd64/kubectl-convert"
curl -LO "https://dl.k8s.io/release/$(curl -L -s https://dl.k8s.io/release/stable.txt)/bin/darwin/arm64/kubectl-convert"
바이너리를 검증한다. (선택 사항)
kubectl-convert 체크섬(checksum) 파일을 다운로드한다.
curl -LO "https://dl.k8s.io/release/$(curl -L -s https://dl.k8s.io/release/stable.txt)/bin/darwin/amd64/kubectl-convert.sha256"
curl -LO "https://dl.k8s.io/release/$(curl -L -s https://dl.k8s.io/release/stable.txt)/bin/darwin/arm64/kubectl-convert.sha256"
kubectl-convert 바이너리를 체크섬 파일을 통해 검증한다.
echo "$(<kubectl-convert.sha256) kubectl-convert" | shasum -a 256 --check
검증이 성공한다면, 출력은 다음과 같다.
kubectl-convert: OK
검증이 실패한다면, shasum
이 0이 아닌 상태로 종료되며 다음과 유사한 결과를 출력한다.
kubectl-convert: FAILED
shasum: WARNING: 1 computed checksum did NOT match
kubectl-convert 바이너리를 실행 가능하게 한다.
chmod +x ./kubectl-convert
kubectl-convert 바이너리를 시스템 PATH
의 파일 위치로 옮긴다.
sudo mv ./kubectl-convert /usr/local/bin/kubectl-convert
sudo chown root: /usr/local/bin/kubectl-convert
PATH
환경 변수 안에 /usr/local/bin
이 있는지 확인한다.
플러그인이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는지 확인한다.
kubectl convert --help
에러가 출력되지 않는다면, 플러그인이 정상적으로 설치된 것이다.
클러스터의 마이너(minor) 버전 차이 내에 있는 kubectl 버전을 사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v1.22 클라이언트는 v1.21, v1.22, v1.23의 컨트롤 플레인과 연동될 수 있다. 최신 버전의 kubectl을 사용하면 예기치 않은 문제를 피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리눅스에 kubectl을 설치할 수 있다.
다음 명령으로 최신 릴리스를 다운로드한다.
curl -LO "https://dl.k8s.io/release/$(curl -L -s https://dl.k8s.io/release/stable.txt)/bin/linux/amd64/kubectl"
특정 버전을 다운로드하려면, $(curl -L -s https://dl.k8s.io/release/stable.txt)
명령 부분을 특정 버전으로 바꾼다.
예를 들어, 리눅스에서 버전 v1.22.0을 다운로드하려면, 다음을 입력한다.
curl -LO https://dl.k8s.io/release/v1.22.0/bin/linux/amd64/kubectl
바이너리를 검증한다. (선택 사항)
kubectl 체크섬(checksum) 파일을 다운로드한다.
curl -LO "https://dl.k8s.io/$(curl -L -s https://dl.k8s.io/release/stable.txt)/bin/linux/amd64/kubectl.sha256"
kubectl 바이너리를 체크섬 파일을 통해 검증한다.
echo "$(<kubectl.sha256) kubectl" | sha256sum --check
검증이 성공한다면, 출력은 다음과 같다.
kubectl: OK
검증이 실패한다면, shasum
이 0이 아닌 상태로 종료되며 다음과 유사한 결과를 출력한다.
kubectl: FAILED
sha256sum: WARNING: 1 computed checksum did NOT match
kubectl 설치
sudo install -o root -g root -m 0755 kubectl /usr/local/bin/kubectl
대상 시스템에 root 접근 권한을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local/bin
디렉터리에 kubectl을 설치할 수 있다.
chmod +x kubectl
mkdir -p ~/.local/bin/kubectl
mv ./kubectl ~/.local/bin/kubectl
# 그리고 ~/.local/bin/kubectl을 $PATH에 추가
설치한 버전이 최신인지 확인한다.
kubectl version --client
apt
패키지 색인을 업데이트하고 쿠버네티스 apt
리포지터리를 사용하는 데 필요한 패키지들을 설치한다.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y apt-transport-https ca-certificates curl
구글 클라우드 공개 사이닝 키를 다운로드한다.
sudo curl -fsSLo /usr/share/keyrings/kubernetes-archive-keyring.gpg https://packages.cloud.google.com/apt/doc/apt-key.gpg
쿠버네티스 apt
리포지터리를 추가한다.
echo "deb [signed-by=/usr/share/keyrings/kubernetes-archive-keyring.gpg] https://apt.kubernetes.io/ kubernetes-xenial main" | sudo tee /etc/apt/sources.list.d/kubernetes.list
새 리포지터리의 apt
패키지 색인을 업데이트하고 kubectl을 설치한다.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y kubectl
cat <<EOF > /etc/yum.repos.d/kubernetes.repo
[kubernetes]
name=Kubernetes
baseurl=https://packages.cloud.google.com/yum/repos/kubernetes-el7-x86_64
enabled=1
gpgcheck=1
repo_gpgcheck=1
gpgkey=https://packages.cloud.google.com/yum/doc/yum-key.gpg https://packages.cloud.google.com/yum/doc/rpm-package-key.gpg
EOF
yum install -y kubectl
kubectl이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찾아 접근하려면,
kube-up.sh를
사용하여 클러스터를 생성하거나 Minikube 클러스터를 성공적으로 배포할 때 자동으로 생성되는
kubeconfig 파일이
필요하다.
기본적으로, kubectl 구성은 ~/.kube/config
에 있다.
클러스터 상태를 가져와서 kubectl이 올바르게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kubectl cluster-info
URL 응답이 표시되면, kubectl이 클러스터에 접근하도록 올바르게 구성된 것이다.
다음과 비슷한 메시지가 표시되면, kubectl이 올바르게 구성되지 않았거나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 연결할 수 없다.
The connection to the server <server-name:port> was refused - did you specify the right host or port?
예를 들어, 랩톱에서 로컬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실행하려면, Minikube와 같은 도구를 먼저 설치한 다음 위에서 언급한 명령을 다시 실행해야 한다.
kubectl cluster-info가 URL 응답을 반환하지만 클러스터에 접근할 수 없는 경우, 올바르게 구성되었는지 확인하려면 다음을 사용한다.
kubectl cluster-info dump
kubectl은 Bash 및 Zsh에 대한 자동 완성 지원을 제공하므로 입력을 위한 타이핑을 많이 절약할 수 있다.
다음은 Bash 및 Zsh에 대한 자동 완성을 설정하는 절차이다.
Bash의 kubectl 자동 완성 스크립트는 kubectl completion bash
명령으로 생성할 수 있다. 셸에서 자동 완성 스크립트를 소싱(sourcing)하면 kubectl 자동 완성 기능이 활성화된다.
그러나, 자동 완성 스크립트는 bash-completion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 소프트웨어를 먼저 설치해야 한다(type _init_completion
을 실행하여 bash-completion이 이미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음).
bash-completion은 많은 패키지 관리자에 의해 제공된다(여기 참고). apt-get install bash-completion
또는 yum install bash-completion
등으로 설치할 수 있다.
위의 명령은 bash-completion의 기본 스크립트인 /usr/share/bash-completion/bash_completion
을 생성한다. 패키지 관리자에 따라, ~/.bashrc
파일에서 이 파일을 수동으로 소스(source)해야 한다.
확인하려면, 셸을 다시 로드하고 type _init_completion
을 실행한다. 명령이 성공하면, 이미 설정된 상태이고, 그렇지 않으면 ~/.bashrc
파일에 다음을 추가한다.
source /usr/share/bash-completion/bash_completion
셸을 다시 로드하고 type _init_completion
을 입력하여 bash-completion이 올바르게 설치되었는지 확인한다.
이제 kubectl 자동 완성 스크립트가 모든 셸 세션에서 제공되도록 해야 한다. 이를 수행할 수 있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bashrc
파일에서 자동 완성 스크립트를 소싱한다.
echo 'source <(kubectl completion bash)' >>~/.bashrc
자동 완성 스크립트를 /etc/bash_completion.d
디렉터리에 추가한다.
kubectl completion bash >/etc/bash_completion.d/kubectl
kubectl에 대한 앨리어스(alias)가 있는 경우, 해당 앨리어스로 작업하도록 셸 자동 완성을 확장할 수 있다.
echo 'alias k=kubectl' >>~/.bashrc
echo 'complete -F __start_kubectl k' >>~/.bashrc
/etc/bash_completion.d
에 있는 모든 자동 완성 스크립트를 소싱한다.
두 방법 모두 동일하다. 셸을 다시 로드하면, kubectl 자동 완성 기능이 작동할 것이다.
Zsh용 kubectl 자동 완성 스크립트는 kubectl completion zsh
명령으로 생성할 수 있다. 셸에서 자동 완성 스크립트를 소싱하면 kubectl 자동 완성 기능이 활성화된다.
모든 셸 세션에서 사용하려면, ~/.zshrc
파일에 다음을 추가한다.
source <(kubectl completion zsh)
kubectl에 대한 앨리어스가 있는 경우, 해당 앨리어스로 작업하도록 셸 자동 완성을 확장할 수 있다.
echo 'alias k=kubectl' >>~/.zshrc
echo 'complete -F __start_kubectl k' >>~/.zshrc
셸을 다시 로드하면, kubectl 자동 완성 기능이 작동할 것이다.
complete:13: command not found: compdef
와 같은 오류가 발생하면, ~/.zshrc
파일의 시작 부분에 다음을 추가한다.
autoload -Uz compinit
compinit
kubectl convert
플러그인 설치이것은 쿠버네티스 커맨드 라인 도구인 kubectl
의 플러그인으로서, 특정 버전의 쿠버네티스 API로 작성된 매니페스트를 다른 버전으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한다. 이것은 매니페스트를 최신 쿠버네티스 릴리스의 사용 중단되지 않은 API로 마이그레이션하는 데 특히 유용하다.
더 많은 정보는 다음의 사용 중단되지 않은 API로 마이그레이션을 참고한다.
다음 명령으로 최신 릴리스를 다운로드한다.
curl -LO https://dl.k8s.io/release/$(curl -L -s https://dl.k8s.io/release/stable.txt)/bin/linux/amd64/kubectl-convert
바이너리를 검증한다. (선택 사항)
kubectl-convert 체크섬(checksum) 파일을 다운로드한다.
curl -LO "https://dl.k8s.io/$(curl -L -s https://dl.k8s.io/release/stable.txt)/bin/linux/amd64/kubectl-convert.sha256"
kubectl-convert 바이너리를 체크섬 파일을 통해 검증한다.
echo "$(<kubectl-convert.sha256) kubectl-convert" | sha256sum --check
검증이 성공한다면, 출력은 다음과 같다.
kubectl-convert: OK
검증이 실패한다면, sha256
이 0이 아닌 상태로 종료되며 다음과 유사한 결과를 출력한다.
kubectl-convert: FAILED
sha256sum: WARNING: 1 computed checksum did NOT match
kubectl-convert 설치
sudo install -o root -g root -m 0755 kubectl-convert /usr/local/bin/kubectl-convert
플러그인이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는지 확인한다.
kubectl convert --help
에러가 출력되지 않는다면, 플러그인이 정상적으로 설치된 것이다.
클러스터의 마이너(minor) 버전 차이 내에 있는 kubectl 버전을 사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v1.22 클라이언트는 v1.21, v1.22, v1.23의 컨트롤 플레인과 연동될 수 있다. 최신 버전의 kubectl을 사용하면 예기치 않은 문제를 피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윈도우에 kubectl을 설치할 수 있다.
최신 릴리스 v1.22.0를 다운로드한다.
또는 curl
을 설치한 경우, 다음 명령을 사용한다.
curl -LO "https://dl.k8s.io/release/v1.22.0/bin/windows/amd64/kubectl.exe"
바이너리를 검증한다. (선택 사항)
kubectl 체크섬 파일을 다운로드한다.
curl -LO "https://dl.k8s.io/v1.22.0/bin/windows/amd64/kubectl.exe.sha256"
kubectl 바이너리를 체크섬 파일을 통해 검증한다.
커맨드 프롬프트를 사용하는 경우, CertUtil
의 출력과 다운로드한 체크섬 파일을 수동으로 비교한다.
CertUtil -hashfile kubectl.exe SHA256
type kubectl.exe.sha256
PowerShell을 사용하는 경우, -eq
연산자를 통해 True
또는 False
결과가 출력되는 자동 검증을 수행한다.
$($(CertUtil -hashfile .\kubectl.exe SHA256)[1] -replace " ", "") -eq $(type .\kubectl.exe.sha256)
PATH
로 설정된 디렉터리 중 하나에 kubectl 바이너리를 추가한다.
kubectl
의 버전이 다운로드한 버전과 같은지 확인한다.
kubectl version --client
kubectl
을 PATH
에 추가한다.
도커 데스크톱을 이전에 설치한 경우, 도커 데스크톱 설치 프로그램에서 추가한 PATH
항목 앞에 PATH
항목을 배치하거나 도커 데스크톱의 kubectl
을 제거해야 할 수도 있다.
윈도우에 kubectl을 설치하기 위해서 Chocolatey 패키지 관리자나 Scoop 커맨드 라인 설치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다.
choco install kubernetes-cli
scoop install kubectl
설치한 버전이 최신 버전인지 확인한다.
kubectl version --client
홈 디렉터리로 이동한다.
# cmd.exe를 사용한다면, 다음을 실행한다. cd %USERPROFILE%
cd ~
.kube
디렉터리를 생성한다.
mkdir .kube
금방 생성한 .kube
디렉터리로 이동한다.
cd .kube
원격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사용하도록 kubectl을 구성한다.
New-Item config -type file
kubectl이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찾아 접근하려면,
kube-up.sh를
사용하여 클러스터를 생성하거나 Minikube 클러스터를 성공적으로 배포할 때 자동으로 생성되는
kubeconfig 파일이
필요하다.
기본적으로, kubectl 구성은 ~/.kube/config
에 있다.
클러스터 상태를 가져와서 kubectl이 올바르게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kubectl cluster-info
URL 응답이 표시되면, kubectl이 클러스터에 접근하도록 올바르게 구성된 것이다.
다음과 비슷한 메시지가 표시되면, kubectl이 올바르게 구성되지 않았거나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 연결할 수 없다.
The connection to the server <server-name:port> was refused - did you specify the right host or port?
예를 들어, 랩톱에서 로컬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실행하려면, Minikube와 같은 도구를 먼저 설치한 다음 위에서 언급한 명령을 다시 실행해야 한다.
kubectl cluster-info가 URL 응답을 반환하지만 클러스터에 접근할 수 없는 경우, 올바르게 구성되었는지 확인하려면 다음을 사용한다.
kubectl cluster-info dump
kubectl은 Bash 및 Zsh에 대한 자동 완성 지원을 제공하므로 입력을 위한 타이핑을 많이 절약할 수 있다.
다음은 Zsh에 대한 자동 완성을 설정하는 절차이다.
Zsh용 kubectl 자동 완성 스크립트는 kubectl completion zsh
명령으로 생성할 수 있다. 셸에서 자동 완성 스크립트를 소싱하면 kubectl 자동 완성 기능이 활성화된다.
모든 셸 세션에서 사용하려면, ~/.zshrc
파일에 다음을 추가한다.
source <(kubectl completion zsh)
kubectl에 대한 앨리어스가 있는 경우, 해당 앨리어스로 작업하도록 셸 자동 완성을 확장할 수 있다.
echo 'alias k=kubectl' >>~/.zshrc
echo 'complete -F __start_kubectl k' >>~/.zshrc
셸을 다시 로드하면, kubectl 자동 완성 기능이 작동할 것이다.
complete:13: command not found: compdef
와 같은 오류가 발생하면, ~/.zshrc
파일의 시작 부분에 다음을 추가한다.
autoload -Uz compinit
compinit
kubectl convert
플러그인 설치이것은 쿠버네티스 커맨드 라인 도구인 kubectl
의 플러그인으로서, 특정 버전의 쿠버네티스 API로 작성된 매니페스트를 다른 버전으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한다. 이것은 매니페스트를 최신 쿠버네티스 릴리스의 사용 중단되지 않은 API로 마이그레이션하는 데 특히 유용하다.
더 많은 정보는 다음의 사용 중단되지 않은 API로 마이그레이션을 참고한다.
다음 명령으로 최신 릴리스를 다운로드한다.
curl -LO "https://dl.k8s.io/release/v1.22.0/bin/windows/amd64/kubectl-convert.exe"
바이너리를 검증한다. (선택 사항)
kubectl-convert 체크섬(checksum) 파일을 다운로드한다.
curl -LO "https://dl.k8s.io/v1.22.0/bin/windows/amd64/kubectl-convert.exe.sha256"
kubectl-convert 바이너리를 체크섬 파일을 통해 검증한다.
커맨드 프롬프트를 사용하는 경우, CertUtil
의 출력과 다운로드한 체크섬 파일을 수동으로 비교한다.
CertUtil -hashfile kubectl-convert.exe SHA256
type kubectl-convert.exe.sha256
PowerShell을 사용하는 경우, -eq
연산자를 통해 True
또는 False
결과가 출력되는 자동 검증을 수행한다.
$($(CertUtil -hashfile .\kubectl-convert.exe SHA256)[1] -replace " ", "") -eq $(type .\kubectl-convert.exe.sha256)
PATH
로 설정된 디렉터리 중 하나에 kubectl-convert 바이너리를 추가한다.
플러그인이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는지 확인한다.
kubectl convert --help
에러가 출력되지 않는다면, 플러그인이 정상적으로 설치된 것이다.
kubectl이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찾아 접근하려면,
kube-up.sh를
사용하여 클러스터를 생성하거나 Minikube 클러스터를 성공적으로 배포할 때 자동으로 생성되는
kubeconfig 파일이
필요하다.
기본적으로, kubectl 구성은 ~/.kube/config
에 있다.
클러스터 상태를 가져와서 kubectl이 올바르게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kubectl cluster-info
URL 응답이 표시되면, kubectl이 클러스터에 접근하도록 올바르게 구성된 것이다.
다음과 비슷한 메시지가 표시되면, kubectl이 올바르게 구성되지 않았거나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 연결할 수 없다.
The connection to the server <server-name:port> was refused - did you specify the right host or port?
예를 들어, 랩톱에서 로컬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실행하려면, Minikube와 같은 도구를 먼저 설치한 다음 위에서 언급한 명령을 다시 실행해야 한다.
kubectl cluster-info가 URL 응답을 반환하지만 클러스터에 접근할 수 없는 경우, 올바르게 구성되었는지 확인하려면 다음을 사용한다.
kubectl cluster-info dump
이것은 쿠버네티스 커맨드 라인 도구인 kubectl
의 플러그인으로서, 특정 버전의 쿠버네티스 API로 작성된 매니페스트를 다른 버전으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한다. 이것은 매니페스트를 최신 쿠버네티스 릴리스의 사용 중단되지 않은 API로 마이그레이션하는 데 특히 유용하다.
더 많은 정보는 다음의 사용 중단되지 않은 API로 마이그레이션을 참고한다.
Bash의 kubectl 자동 완성 스크립트는 kubectl completion bash
로 생성할 수 있다. 이 스크립트를 셸에 소싱하면 kubectl 자동 완성이 가능하다.
그러나 kubectl 자동 완성 스크립트는 미리 bash-completion을 설치해야 동작한다.
여기의 지침에서는 Bash 4.1 이상을 사용한다고 가정한다. 다음을 실행하여 Bash 버전을 확인할 수 있다.
echo $BASH_VERSION
너무 오래된 버전인 경우, Homebrew를 사용하여 설치/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brew install bash
셸을 다시 로드하고 원하는 버전을 사용 중인지 확인한다.
echo $BASH_VERSION $SHELL
Homebrew는 보통 /usr/local/bin/bash
에 설치한다.
bash-completion v2가 이미 설치되어 있는지 type_init_completion
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 Homebrew로 설치할 수 있다.
brew install bash-completion@2
이 명령의 출력에 명시된 바와 같이, ~/.bash_profile
파일에 다음을 추가한다.
export BASH_COMPLETION_COMPAT_DIR="/usr/local/etc/bash_completion.d"
[[ -r "/usr/local/etc/profile.d/bash_completion.sh" ]] && . "/usr/local/etc/profile.d/bash_completion.sh"
셸을 다시 로드하고 bash-completion v2가 올바르게 설치되었는지 type _init_completion
으로 확인한다.
이제 kubectl 자동 완성 스크립트가 모든 셸 세션에서 제공되도록 해야 한다. 이를 수행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자동 완성 스크립트를 ~/.bash_profile
파일에서 소싱한다.
echo 'source <(kubectl completion bash)' >>~/.bash_profile
자동 완성 스크립트를 /usr/local/etc/bash_completion.d
디렉터리에 추가한다.
kubectl completion bash >/usr/local/etc/bash_completion.d/kubectl
kubectl에 대한 앨리어스가 있는 경우, 해당 앨리어스로 작업하기 위해 셸 자동 완성을 확장할 수 있다.
echo 'alias k=kubectl' >>~/.bash_profile
echo 'complete -F __start_kubectl k' >>~/.bash_profile
Homebrew로 kubectl을 설치한 경우(여기의 설명을 참고), kubectl 자동 완성 스크립트가 이미 /usr/local/etc/bash_completion.d/kubectl
에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아무 것도 할 필요가 없다.
BASH_COMPLETION_COMPAT_DIR
디렉터리의 모든 파일을 소싱하므로, 후자의 두 가지 방법이 적용된다.
어떤 경우든, 셸을 다시 로드하면, kubectl 자동 완성 기능이 작동할 것이다.
Zsh용 kubectl 자동 완성 스크립트는 kubectl completion zsh
명령으로 생성할 수 있다. 셸에서 자동 완성 스크립트를 소싱하면 kubectl 자동 완성 기능이 활성화된다.
모든 셸 세션에서 사용하려면, ~/.zshrc
파일에 다음을 추가한다.
source <(kubectl completion zsh)
kubectl에 대한 앨리어스가 있는 경우, 해당 앨리어스로 작업하도록 셸 자동 완성을 확장할 수 있다.
echo 'alias k=kubectl' >>~/.zshrc
echo 'complete -F __start_kubectl k' >>~/.zshrc
셸을 다시 로드하면, kubectl 자동 완성 기능이 작동할 것이다.
complete:13: command not found: compdef
와 같은 오류가 발생하면, ~/.zshrc
파일의 시작 부분에 다음을 추가한다.
autoload -Uz compinit
compinit
Bash의 kubectl 자동 완성 스크립트는 kubectl completion bash
명령으로 생성할 수 있다. 셸에서 자동 완성 스크립트를 소싱(sourcing)하면 kubectl 자동 완성 기능이 활성화된다.
그러나, 자동 완성 스크립트는 bash-completion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 소프트웨어를 먼저 설치해야 한다(type _init_completion
을 실행하여 bash-completion이 이미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음).
bash-completion은 많은 패키지 관리자에 의해 제공된다(여기 참고). apt-get install bash-completion
또는 yum install bash-completion
등으로 설치할 수 있다.
위의 명령은 bash-completion의 기본 스크립트인 /usr/share/bash-completion/bash_completion
을 생성한다. 패키지 관리자에 따라, ~/.bashrc
파일에서 이 파일을 수동으로 소스(source)해야 한다.
확인하려면, 셸을 다시 로드하고 type _init_completion
을 실행한다. 명령이 성공하면, 이미 설정된 상태이고, 그렇지 않으면 ~/.bashrc
파일에 다음을 추가한다.
source /usr/share/bash-completion/bash_completion
셸을 다시 로드하고 type _init_completion
을 입력하여 bash-completion이 올바르게 설치되었는지 확인한다.
이제 kubectl 자동 완성 스크립트가 모든 셸 세션에서 제공되도록 해야 한다. 이를 수행할 수 있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bashrc
파일에서 자동 완성 스크립트를 소싱한다.
echo 'source <(kubectl completion bash)' >>~/.bashrc
자동 완성 스크립트를 /etc/bash_completion.d
디렉터리에 추가한다.
kubectl completion bash >/etc/bash_completion.d/kubectl
kubectl에 대한 앨리어스(alias)가 있는 경우, 해당 앨리어스로 작업하도록 셸 자동 완성을 확장할 수 있다.
echo 'alias k=kubectl' >>~/.bashrc
echo 'complete -F __start_kubectl k' >>~/.bashrc
/etc/bash_completion.d
에 있는 모든 자동 완성 스크립트를 소싱한다.
두 방법 모두 동일하다. 셸을 다시 로드하면, kubectl 자동 완성 기능이 작동할 것이다.
Kubernetes v1.15 [stable]
kubeadm으로 생성된 클라이언트 인증서는 1년 후에 만료된다. 이 페이지는 kubeadm으로 인증서 갱신을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쿠버네티스의 PKI 인증서와 요구 조건에 익숙해야 한다.
기본적으로, kubeadm은 클러스터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모든 인증서를 생성한다. 사용자는 자체 인증서를 제공하여 이 동작을 무시할 수 있다.
이렇게 하려면, --cert-dir
플래그 또는 kubeadm ClusterConfiguration
의
certificatesDir
필드에 지정된 디렉터리에 배치해야 한다.
기본적으로 /etc/kubernetes/pki
이다.
kubeadm init
을 실행하기 전에 지정된 인증서와 개인 키(private key) 쌍이 존재하면,
kubeadm은 이를 덮어 쓰지 않는다. 이는 예를 들어, 기존 CA를
/etc/kubernetes/pki/ca.crt
와 /etc/kubernetes/pki/ca.key
에
복사할 수 있고, kubeadm은 이 CA를 사용하여 나머지 인증서에 서명한다는 걸 의미한다.
ca.key
파일이 아닌 ca.crt
파일만 제공할
수도 있다(이는 다른 인증서 쌍이 아닌 루트 CA 파일에만 사용 가능함).
다른 모든 인증서와 kubeconfig 파일이 있으면, kubeadm은 이 조건을
인식하고 "외부 CA" 모드를 활성화한다. kubeadm은 디스크에
CA 키없이 진행한다.
대신, --controllers=csrsigner
사용하여 controller-manager를
독립적으로 실행하고 CA 인증서와 키를 가리킨다.
PKI 인증서와 요구 조건은 외부 CA를 사용하도록 클러스터 설정에 대한 지침을 포함한다.
check-expiration
하위 명령을 사용하여 인증서가 만료되는 시기를 확인할 수 있다.
kubeadm certs check-expiration
출력 결과는 다음과 비슷하다.
CERTIFICATE EXPIRES RESIDUAL TIME CERTIFICATE AUTHORITY EXTERNALLY MANAGED
admin.conf Dec 30, 2020 23:36 UTC 364d no
apiserver Dec 30, 2020 23:36 UTC 364d ca no
apiserver-etcd-client Dec 30, 2020 23:36 UTC 364d etcd-ca no
apiserver-kubelet-client Dec 30, 2020 23:36 UTC 364d ca no
controller-manager.conf Dec 30, 2020 23:36 UTC 364d no
etcd-healthcheck-client Dec 30, 2020 23:36 UTC 364d etcd-ca no
etcd-peer Dec 30, 2020 23:36 UTC 364d etcd-ca no
etcd-server Dec 30, 2020 23:36 UTC 364d etcd-ca no
front-proxy-client Dec 30, 2020 23:36 UTC 364d front-proxy-ca no
scheduler.conf Dec 30, 2020 23:36 UTC 364d no
CERTIFICATE AUTHORITY EXPIRES RESIDUAL TIME EXTERNALLY MANAGED
ca Dec 28, 2029 23:36 UTC 9y no
etcd-ca Dec 28, 2029 23:36 UTC 9y no
front-proxy-ca Dec 28, 2029 23:36 UTC 9y no
이 명령은 /etc/kubernetes/pki
폴더의 클라이언트 인증서와 kubeadm이 사용하는 KUBECONFIG 파일(admin.conf
, controller-manager.conf
및 scheduler.conf
)에 포함된 클라이언트 인증서의 만료/잔여 기간을 표시한다.
또한, kubeadm은 인증서가 외부에서 관리되는지를 사용자에게 알린다. 이 경우 사용자는 수동으로 또는 다른 도구를 사용해서 인증서 갱신 관리를 해야 한다.
kubeadm
은 외부 CA가 서명한 인증서를 관리할 수 없다.
kubelet.conf
는 위 목록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데, 이는
kubeadm이 자동 인증서 갱신을 위해
/var/lib/kubelet/pki
에 있는 갱신 가능한 인증서를 이용하여 kubelet을 구성하기 때문이다.
만료된 kubelet 클라이언트 인증서를 갱신하려면
kubelet 클라이언트 갱신 실패 섹션을 확인한다.
kubeadm 1.17 이전의 버전에서 kubeadm init
으로 작성된 노드에는
kubelet.conf
의 내용을 수동으로 수정해야 하는 버그가 있다. kubeadm init
수행 완료 후, client-certificate-data
및 client-key-data
를 다음과 같이 교체하여,
로테이트된 kubelet 클라이언트 인증서를 가리키도록 kubelet.conf
를 업데이트해야 한다.
client-certificate: /var/lib/kubelet/pki/kubelet-client-current.pem
client-key: /var/lib/kubelet/pki/kubelet-client-current.pem
kubeadm은 컨트롤 플레인 업그레이드 동안 모든 인증서를 갱신한다.
이 기능은 가장 간단한 유스케이스를 해결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인증서 갱신에 대해 특별한 요구 사항이 없고 쿠버네티스 버전 업그레이드를 정기적으로(매 1년 이내 업그레이드 수행) 수행하는 경우, kubeadm은 클러스터를 최신 상태로 유지하고 합리적으로 보안을 유지한다.
인증서 갱신에 대해 보다 복잡한 요구 사항이 있는 경우, --certificate-renewal=false
를 kubeadm upgrade apply
또는 kubeadm upgrade node
와 함께 사용하여 기본 동작이 수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kubeadm upgrade node
명령에서
--certificate-renewal
의 기본값이 false
인 버그가
있다. 이 경우 --certificate-renewal=true
를 명시적으로 설정해야 한다.
kubeadm certs renew
명령을 사용하여 언제든지 인증서를 수동으로 갱신할 수 있다.
이 명령은 /etc/kubernetes/pki
에 저장된 CA(또는 프론트 프록시 CA) 인증서와 키를 사용하여 갱신을 수행한다.
명령을 실행한 후에는 컨트롤 플레인 파드를 재시작해야 한다.
이는 현재 일부 구성 요소 및 인증서에 대해 인증서를 동적으로 다시 로드하는 것이 지원되지 않기 때문이다.
스태틱(static) 파드는 API 서버가 아닌 로컬 kubelet에서 관리되므로
kubectl을 사용하여 삭제 및 재시작할 수 없다.
스태틱 파드를 다시 시작하려면 /etc/kubernetes/manifests/
에서 매니페스트 파일을 일시적으로 제거하고
20초를 기다리면 된다 (KubeletConfiguration struct의 fileCheckFrequency
값을 참고한다).
파드가 매니페스트 디렉터리에 더 이상 없는 경우 kubelet은 파드를 종료한다.
그런 다음 파일을 다시 이동할 수 있으며 또 다른 fileCheckFrequency
기간이 지나면,
kubelet은 파드를 생성하고 구성 요소에 대한 인증서 갱신을 완료할 수 있다.
certs renew
는 기존 인증서를 kubeadm-config 컨피그맵(ConfigMap) 대신 속성(공통 이름, 조직, SAN 등)의 신뢰할 수 있는 소스로 사용한다. 둘 다 동기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강력히 권장한다.
kubeadm certs renew
는 다음의 옵션을 제공한다.
쿠버네티스 인증서는 일반적으로 1년 후 만료일에 도달한다.
--csr-only
는 실제로 인증서를 갱신하지 않고 인증서 서명 요청을 생성하여 외부 CA로 인증서를 갱신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 단락을 참고한다.
모든 인증서 대신 단일 인증서를 갱신할 수도 있다.
이 섹션에서는 쿠버네티스 인증서 API를 사용하여 수동 인증서 갱신을 실행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한다.
쿠버네티스 인증 기관(Certificate Authority)은 기본적으로 작동하지 않는다. cert-manager와 같은 외부 서명자를 설정하거나, 빌트인 서명자를 사용할 수 있다.
빌트인 서명자는 kube-controller-manager
의 일부이다.
빌트인 서명자를 활성화하려면, --cluster-signing-cert-file
와 --cluster-signing-key-file
플래그를 전달해야 한다.
새 클러스터를 생성하는 경우, kubeadm 구성 파일을 사용할 수 있다.
apiVersion: kubeadm.k8s.io/v1beta3
kind: ClusterConfiguration
controllerManager:
extraArgs:
cluster-signing-cert-file: /etc/kubernetes/pki/ca.crt
cluster-signing-key-file: /etc/kubernetes/pki/ca.key
쿠버네티스 API로 CSR을 작성하려면 CertificateSigningRequest 생성을 본다.
이 섹션에서는 외부 CA를 사용하여 수동 인증서 갱신을 실행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한다.
외부 CA와 보다 효과적으로 통합하기 위해 kubeadm은 인증서 서명 요청(CSR)을 생성할 수도 있다. CSR은 클라이언트의 서명된 인증서에 대한 CA 요청을 나타낸다. kubeadm 관점에서, 일반적으로 온-디스크(on-disk) CA에 의해 서명되는 모든 인증서는 CSR로 생성될 수 있다. 그러나 CA는 CSR로 생성될 수 없다.
kubeadm certs renew --csr-only
로 인증서 서명 요청을 만들 수 있다.
CSR과 함께 제공되는 개인 키가 모두 출력된다.
--csr-dir
로 사용할 디텍터리를 전달하여 지정된 위치로 CSR을 출력할 수 있다.
--csr-dir
을 지정하지 않으면, 기본 인증서 디렉터리(/etc/kubernetes/pki
)가 사용된다.
kubeadm certs renew --csr-only
로 인증서를 갱신할 수 있다.
kubeadm init
과 마찬가지로 출력 디렉터리를 --csr-dir
플래그로 지정할 수 있다.
CSR에는 인증서 이름, 도메인 및 IP가 포함되지만, 용도를 지정하지는 않는다. 인증서를 발행할 때 올바른 인증서 용도를 지정하는 것은 CA의 책임이다.
openssl
의 경우
openssl ca
명령으로 수행한다.cfssl
의 경우
설정 파일에 용도를 지정한다.선호하는 방법으로 인증서에 서명한 후, 인증서와 개인 키를 PKI 디렉터리(기본적으로 /etc/kubernetes/pki
)에 복사해야 한다.
Kubeadm은 CA 인증서의 순환이나 교체 기능을 기본적으로 지원하지 않는다.
CA의 수동 순환이나 교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는 CA 인증서 수동 순환 문서를 참조한다.
기본적으로 kubeadm에 의해서 배포된 kubelet 인증서는 자가 서명된(self-signed) 것이다. 이것은 metrics-server와 같은 외부 서비스의 kubelet에 대한 연결은 TLS로 보안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제대로 서명된 인증서를 얻기 위해서 신규 kubeadm 클러스터의 kubelet을 구성하려면
다음의 최소 구성을 kubeadm init
에 전달해야 한다.
apiVersion: kubeadm.k8s.io/v1beta3
kind: ClusterConfiguration
---
apiVersion: kubelet.config.k8s.io/v1beta1
kind: KubeletConfiguration
serverTLSBootstrap: true
만약 이미 클러스터를 생성했다면 다음을 따라 이를 조정해야 한다.
kube-system
네임스페이스에서 kubelet-config-1.22
컨피그맵을 찾아서 수정한다.
해당 컨피그맵에는 kubelet
키가
KubeletConfiguration
문서를 값으로 가진다. serverTLSBootstrap: true
가 되도록 KubeletConfiguration 문서를 수정한다.serverTLSBootstrap: true
필드를 /var/lib/kubelet/config.yaml
에 추가한다.
그리고 systemctl restart kubelet
로 kubelet을 재시작한다.serverTLSBootstrap: true
필드는 kubelet 인증서를 이용한 부트스트랩을
certificates.k8s.io
API에 요청함으로써 활성화할 것이다. 한 가지 알려진 제약은
이 인증서들에 대한 CSR(인증서 서명 요청)들이 kube-controller-manager -
kubernetes.io/kubelet-serving
의
기본 서명자(default signer)에 의해서 자동으로 승인될 수 없다는 점이다.
이것은 사용자나 제 3의 컨트롤러의 액션을 필요로 할 것이다.
이 CSR들은 다음을 통해 볼 수 있다.
kubectl get csr
NAME AGE SIGNERNAME REQUESTOR CONDITION
csr-9wvgt 112s kubernetes.io/kubelet-serving system:node:worker-1 Pending
csr-lz97v 1m58s kubernetes.io/kubelet-serving system:node:control-plane-1 Pending
이를 승인하기 위해서는 다음을 수행한다.
kubectl certificate approve <CSR-name>
기본적으로, 이 인증서는 1년 후에 만기될 것이다. Kubeadm은
KubeletConfiguration
필드의 rotateCertificates
를 true
로 설정한다. 이것은 만기가
다가오면 인증서를 위한 신규 CSR 세트가 생성되는 것을 의미하며,
해당 순환(rotation)을 완료하기 위해서는 승인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 상세한 이해를 위해서는
인증서 순환를 확인한다.
만약 이 CSR들의 자동 승인을 위한 솔루션을 찾고 있다면 클라우드 제공자와 연락하여 대역 외 메커니즘(out of band mechanism)을 통해 노드의 신분을 검증할 수 있는 CSR 서명자를 가지고 있는지 문의하는 것을 추천한다.
제 3 자 커스텀 컨트롤러도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러는 CSR의 CommonName과 요청된 IPs 및 도메인 네임을 모두 검증하지 않는 한, 보안이 되는 메커니즘이 아니다. 이것을 통해 악의적 행위자가 kubelet 인증서(클라이언트 인증)를 사용하여 아무 IP나 도메인 네임에 대해 인증서를 요청하는 CSR의 생성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 페이지는 kubeadm으로 생성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1.21.x 버전에서 1.22.x 버전으로,
1.22.x 버전에서 1.22.y(여기서 y > x
)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업그레이드가 지원되지 않는 경우
마이너 버전을 건너뛴다.
이전 버전의 kubeadm을 사용하여 생성된 클러스터 업그레이드에 대한 정보를 보려면, 이 페이지 대신 다음의 페이지들을 참고한다.
추상적인 업그레이드 작업 절차는 다음과 같다.
kubeadm upgrade
는 워크로드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쿠버네티스 내부의 컴포넌트만 다루지만, 백업은 항상 모범 사례일 정도로 중요하다.OS 패키지 관리자를 사용하여 최신의 안정 버전(1.22)을 찾는다.
apt update
apt-cache madison kubeadm
# 목록에서 최신 버전(1.22)을 찾는다
# 1.22.x-00과 같아야 한다. 여기서 x는 최신 패치이다.
yum list --showduplicates kubeadm --disableexcludes=kubernetes
# 목록에서 최신 버전(1.22)을 찾는다
# 1.22.x-0과 같아야 한다. 여기서 x는 최신 패치이다.
컨트롤 플레인 노드의 업그레이드 절차는 한 번에 한 노드씩 실행해야 한다.
먼저 업그레이드할 컨트롤 플레인 노드를 선택한다. /etc/kubernetes/admin.conf
파일이 있어야 한다.
첫 번째 컨트롤 플레인 노드의 경우
# 1.22.x-00에서 x를 최신 패치 버전으로 바꾼다.
apt-mark unhold kubeadm && \
apt-get update && apt-get install -y kubeadm=1.22.x-00 && \
apt-mark hold kubeadm
-
# apt-get 버전 1.1부터 다음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apt-get update && \
apt-get install -y --allow-change-held-packages kubeadm=1.22.x-00
# 1.22.x-0에서 x를 최신 패치 버전으로 바꾼다.
yum install -y kubeadm-1.22.x-0 --disableexcludes=kubernetes
다운로드하려는 버전이 잘 받아졌는지 확인한다.
kubeadm version
업그레이드 계획을 확인한다.
kubeadm upgrade plan
이 명령은 클러스터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버전을 가져온다. 또한 컴포넌트 구성 버전 상태가 있는 표를 보여준다.
kubeadm upgrade
는 이 노드에서 관리하는 인증서를 자동으로 갱신한다.
인증서 갱신을 하지 않으려면 --certificate-renewal=false
플래그를 사용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인증서 관리 가이드를 참고한다.
kubeadm upgrade plan
이 수동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컴포넌트 구성을 표시하는 경우, 사용자는
--config
커맨드 라인 플래그를 통해 대체 구성이 포함된 구성 파일을 kubeadm upgrade apply
에 제공해야 한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kubeadm upgrade apply
가 오류와 함께 종료되고 업그레이드를 수행하지 않는다.
업그레이드할 버전을 선택하고, 적절한 명령을 실행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이 업그레이드를 위해 선택한 패치 버전으로 x를 바꾼다.
sudo kubeadm upgrade apply v1.22.x
명령이 완료되면 다음을 확인해야 한다.
[upgrade/successful] SUCCESS! Your cluster was upgraded to "v1.22.x". Enjoy!
[upgrade/kubelet] Now that your control plane is upgraded, please proceed with upgrading your kubelets if you haven't already done so.
CNI 제공자 플러그인을 수동으로 업그레이드한다.
CNI(컨테이너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제공자는 자체 업그레이드 지침을 따를 수 있다. 애드온 페이지에서 사용하는 CNI 제공자를 찾고 추가 업그레이드 단계가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한다.
CNI 제공자가 데몬셋(DaemonSet)으로 실행되는 경우 추가 컨트롤 플레인 노드에는 이 단계가 필요하지 않다.
다른 컨트롤 플레인 노드의 경우
첫 번째 컨트롤 플레인 노드와 동일하지만 다음을 사용한다.
sudo kubeadm upgrade node
아래 명령 대신 위의 명령을 사용한다.
sudo kubeadm upgrade apply
kubeadm upgrade plan
을 호출하고 CNI 공급자 플러그인을 업그레이드할 필요가 없다.
Prepare the node for maintenance by marking it unschedulable and evicting the workloads:
# <node-to-drain>을 드레인하는 노드의 이름으로 바꾼다.
kubectl drain <node-to-drain> --ignore-daemonsets
> # 1.22.x-00의 x를 최신 패치 버전으로 바꾼다 apt-mark unhold kubelet kubectl && \ apt-get update && apt-get install -y kubelet=1.22.x-00 kubectl=1.22.x-00 && \ apt-mark hold kubelet kubectl - # apt-get 버전 1.1부터 다음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apt-get update && \ apt-get install -y --allow-change-held-packages kubelet=1.22.x-00 kubectl=1.22.x-00
# 1.22.x-0에서 x를 최신 패치 버전으로 바꾼다 yum install -y kubelet-1.22.x-0 kubectl-1.22.x-0 --disableexcludes=kubernetes
sudo systemctl daemon-reload
sudo systemctl restart kubelet
노드를 스케줄 가능으로 표시하여 노드를 다시 온라인 상태로 전환한다.
# <node-to-drain>을 드레인하는 노드의 이름으로 바꾼다.
kubectl uncordon <node-to-drain>
워커 노드의 업그레이드 절차는 워크로드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최소 용량을 보장하면서, 한 번에 하나의 노드 또는 한 번에 몇 개의 노드로 실행해야 한다.
# 1.22.x-00의 x를 최신 패치 버전으로 바꾼다
apt-mark unhold kubeadm && \
apt-get update && apt-get install -y kubeadm=1.22.x-00 && \
apt-mark hold kubeadm
-
# apt-get 버전 1.1부터 다음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apt-get update && \
apt-get install -y --allow-change-held-packages kubeadm=1.22.x-00
# 1.22.x-0에서 x를 최신 패치 버전으로 바꾼다
yum install -y kubeadm-1.22.x-0 --disableexcludes=kubernetes
워커 노드의 경우 로컬 kubelet 구성을 업그레이드한다.
sudo kubeadm upgrade node
스케줄 불가능(unschedulable)으로 표시하고 워크로드를 축출하여 유지 보수할 노드를 준비한다.
# <node-to-drain>을 드레이닝하려는 노드 이름으로 바꾼다.
kubectl drain <node-to-drain> --ignore-daemonsets
# 1.22.x-00의 x를 최신 패치 버전으로 바꾼다
apt-mark unhold kubelet kubectl && \
apt-get update && apt-get install -y kubelet=1.22.x-00 kubectl=1.22.x-00 && \
apt-mark hold kubelet kubectl
-
# apt-get 버전 1.1부터 다음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apt-get update && \
apt-get install -y --allow-change-held-packages kubelet=1.22.x-00 kubectl=1.22.x-00
# 1.22.x-0에서 x를 최신 패치 버전으로 바꾼다
yum install -y kubelet-1.22.x-0 kubectl-1.22.x-0 --disableexcludes=kubernetes
kubelet을 다시 시작한다.
sudo systemctl daemon-reload
sudo systemctl restart kubelet
스케줄 가능(schedulable)으로 표시하여 노드를 다시 온라인 상태로 만든다.
# <node-to-drain>을 노드의 이름으로 바꾼다.
kubectl uncordon <node-to-drain>
모든 노드에서 kubelet을 업그레이드한 후 kubectl이 클러스터에 접근할 수 있는 곳에서 다음의 명령을 실행하여 모든 노드를 다시 사용할 수 있는지 확인한다.
kubectl get nodes
모든 노드에 대해 STATUS
열에 Ready
가 표시되어야 하고, 버전 번호가 업데이트되어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kubeadm upgrade
를 실행하는 중에 예기치 못한 종료로 인해 업그레이드가 실패하고 롤백하지 않는다면, kubeadm upgrade
를 다시 실행할 수 있다.
이 명령은 멱등성을 보장하며 결국 실제 상태가 선언한 의도한 상태인지 확인한다.
잘못된 상태에서 복구하기 위해, 클러스터가 실행 중인 버전을 변경하지 않고 kubeadm upgrade apply --force
를 실행할 수도 있다.
업그레이드하는 동안 kubeadm은 /etc/kubernetes/tmp
아래에 다음과 같은 백업 폴더를 작성한다.
kubeadm-backup-etcd-<date>-<time>
kubeadm-backup-manifests-<date>-<time>
kubeadm-backup-etcd
는 컨트롤 플레인 노드에 대한 로컬 etcd 멤버 데이터의 백업을 포함한다.
etcd 업그레이드가 실패하고 자동 롤백이 작동하지 않으면, 이 폴더의 내용을
/var/lib/etcd
에서 수동으로 복원할 수 있다. 외부 etcd를 사용하는 경우 이 백업 폴더는 비어있다.
kubeadm-backup-manifests
는 컨트롤 플레인 노드에 대한 정적 파드 매니페스트 파일의 백업을 포함한다.
업그레이드가 실패하고 자동 롤백이 작동하지 않으면, 이 폴더의 내용을
/etc/kubernetes/manifests
에서 수동으로 복원할 수 있다. 어떤 이유로 특정 컴포넌트의 업그레이드 전
매니페스트 파일과 업그레이드 후 매니페스트 파일 간에 차이가 없는 경우, 백업 파일은 기록되지 않는다.
kubeadm upgrade apply
는 다음을 수행한다.
Ready
상태에 있다CoreDNS
와 kube-proxy
매니페스트를 적용하고 필요한 모든 RBAC 규칙이 생성되도록 한다.kubeadm upgrade node
는 추가 컨트롤 플레인 노드에서 다음을 수행한다.
ClusterConfiguration
을 가져온다.kubeadm upgrade node
는 워커 노드에서 다음을 수행한다.
ClusterConfiguration
을 가져온다.Kubernetes v1.18 [beta]
쿠버네티스를 사용하여 리눅스와 윈도우 노드를 혼합하여 실행할 수 있으므로, 리눅스에서 실행되는 파드와 윈도우에서 실행되는 파드를 혼합할 수 있다. 이 페이지는 윈도우 노드를 클러스터에 등록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kubectl version
.
윈도우 컨테이너를 호스팅하는 윈도우 노드를 구성하려면 윈도우 서버 2019 라이선스 이상이 필요하다. VXLAN/오버레이 네트워킹을 사용하는 경우 KB4489899도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컨트롤 플레인에 접근할 수 있는 리눅스 기반의 쿠버네티스 kubeadm 클러스터(kubeadm을 사용하여 단일 컨트롤 플레인 클러스터 생성 참고)가 필요하다.
리눅스 기반 쿠버네티스 컨트롤 플레인 노드가 있으면 네트워킹 솔루션을 선택할 수 있다. 이 가이드는 VXLAN 모드의 플란넬(Flannel)을 사용하는 방법을 짧막하게 보여준다.
플란넬을 위한 쿠버네티스 컨트롤 플레인 준비
클러스터의 쿠버네티스 컨트롤 플레인에서 약간의 준비가 필요하다. 플란넬을 사용할 때 iptables 체인에 브릿지된 IPv4 트래픽을 활성화하는 것을 권장한다. 아래 명령을 모든 리눅스 노드에서 실행해야만 한다.
sudo sysctl net.bridge.bridge-nf-call-iptables=1
리눅스용 플란넬 다운로드 및 구성
가장 최근의 플란넬 매니페스트를 다운로드한다.
wget https://raw.githubusercontent.com/coreos/flannel/master/Documentation/kube-flannel.yml
VNI를 4096으로 설정하고 포트를 4789로 설정하려면 플란넬 매니페스트의 net-conf.json
섹션을 수정한다. 다음과 같을 것이다.
net-conf.json: |
{
"Network": "10.244.0.0/16",
"Backend": {
"Type": "vxlan",
"VNI": 4096,
"Port": 4789
}
}
Type
의 값을 "host-gw"
로 변경하고 VNI
와 Port
를 생략한다.
플란넬 매니페스트 적용 및 유효성 검사
플란넬 구성을 적용해보자.
kubectl apply -f kube-flannel.yml
몇 분 후에, 플란넬 파드 네트워크가 배포되었다면 모든 파드가 실행 중인 것으로 표시된다.
kubectl get pods -n kube-system
출력 결과에 리눅스 flannel 데몬셋(DaemonSet)이 실행 중인 것으로 나와야 한다.
NAMESPACE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
kube-system kube-flannel-ds-54954 1/1 Running 0 1m
윈도우 플란넬 및 kube-proxy 데몬셋 추가
이제 윈도우 호환 버전의 플란넬과 kube-proxy를 추가할 수 있다. 호환 가능한 kube-proxy 버전을 얻으려면, 이미지의 태그를 대체해야 한다. 다음의 예시는 쿠버네티스 v1.22.0의 사용법을 보여주지만, 사용자의 배포에 맞게 버전을 조정해야 한다.
curl -L https://github.com/kubernetes-sigs/sig-windows-tools/releases/latest/download/kube-proxy.yml | sed 's/VERSION/v1.22.0/g' | kubectl apply -f -
kubectl apply -f https://github.com/kubernetes-sigs/sig-windows-tools/releases/latest/download/flannel-overlay.yml
윈도우 노드에서 이더넷이 아닌 다른 인터페이스(예: "Ethernet0 2")를 사용하는 경우, flannel-host-gw.yml이나 flannel-overlay.yml 파일에서 다음 라인을 수정한다.
wins cli process run --path /k/flannel/setup.exe --args "--mode=overlay --interface=Ethernet"
그리고, 이에 따라 인터페이스를 지정해야 한다.
# 예시
curl -L https://github.com/kubernetes-sigs/sig-windows-tools/releases/latest/download/flannel-overlay.yml | sed 's/Ethernet/Ethernet0 2/g' | kubectl apply -f -
컨테이너
기능 설치
Install-WindowsFeature -Name containers
도커 설치 자세한 내용은 도커 엔진 설치 - 윈도우 서버 엔터프라이즈에서 확인할 수 있다.
curl.exe -LO https://raw.githubusercontent.com/kubernetes-sigs/sig-windows-tools/master/kubeadm/scripts/PrepareNode.ps1
.\PrepareNode.ps1 -KubernetesVersion v1.22.0
kubeadm
실행하여 노드에 조인컨트롤 플레인 호스트에서 kubeadm init
실행할 때 제공된 명령을 사용한다.
이 명령이 더 이상 없거나, 토큰이 만료된 경우, kubeadm token create --print-join-command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에서)를 실행하여 새 토큰 및 조인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curl.exe -LO https://github.com/kubernetes-sigs/sig-windows-tools/releases/latest/download/Install-Containerd.ps1
.\Install-Containerd.ps1
특정 버전의 containerD를 설치하려면 -ContainerDVersion를 사용하여 버전을 지정한다.
# 예
.\Install-Containerd.ps1 -ContainerDVersion 1.4.1
윈도우 노드에서 이더넷(예: "Ethernet0 2")이 아닌 다른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경우, -netAdapterName
으로 이름을 지정한다.
# 예
.\Install-Containerd.ps1 -netAdapterName "Ethernet0 2"
curl.exe -LO https://raw.githubusercontent.com/kubernetes-sigs/sig-windows-tools/master/kubeadm/scripts/PrepareNode.ps1
.\PrepareNode.ps1 -KubernetesVersion v1.22.0 -ContainerRuntime containerD
kubeadm
실행하여 노드에 조인컨트롤 플레인 호스트에서 `kubeadm init` 실행할 때 제공된 명령을 사용한다.
이 명령이 더 이상 없거나, 토큰이 만료된 경우, `kubeadm token create --print-join-command`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에서)를 실행하여 새 토큰 및 조인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cri-socket "npipe:////./pipe/containerd-containerd"
를 추가한다
이제 다음을 실행하여 클러스터에서 윈도우 노드를 볼 수 있다.
kubectl get nodes -o wide
새 노드가 NotReady
상태인 경우 플란넬 이미지가 여전히 다운로드 중일 수 있다.
kube-system
네임스페이스에서 flannel 파드를 확인하여 이전과 같이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kubectl -n kube-system get pods -l app=flannel
flannel 파드가 실행되면, 노드는 Ready
상태가 되고 워크로드를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Kubernetes v1.18 [beta]
이 페이지는 kubeadm으로 생성된 윈도우 노드를 업그레이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쿠버네티스 서버의 버전은 다음과 같거나 더 높아야 함. 버전: 1.17. 버전 확인을 위해서, 다음 커맨드를 실행kubectl version
.
윈도우 노드에서, kubeadm을 업그레이드한다.
# replace v1.22.0 with your desired version
curl.exe -Lo C:\k\kubeadm.exe https://dl.k8s.io//bin/windows/amd64/kubeadm.exe
쿠버네티스 API에 접근할 수 있는 머신에서, 스케줄 불가능한 것으로 표시하고 워크로드를 축출하여 유지 보수할 노드를 준비한다.
# <node-to-drain>을 드레이닝하려는 노드 이름으로 바꾼다
kubectl drain <node-to-drain> --ignore-daemonsets
다음과 비슷한 출력이 표시되어야 한다.
node/ip-172-31-85-18 cordoned
node/ip-172-31-85-18 drained
윈도우 노드에서, 다음의 명령을 호출하여 새 kubelet 구성을 동기화한다.
kubeadm upgrade node
윈도우 노드에서, kubelet을 업그레이드하고 다시 시작한다.
stop-service kubelet
curl.exe -Lo C:\k\kubelet.exe https://dl.k8s.io//bin/windows/amd64/kubelet.exe
restart-service kubelet
쿠버네티스 API에 접근할 수 있는 머신에서, 스케줄 가능으로 표시하여 노드를 다시 온라인으로 가져온다.
# <node-to-drain>을 노드의 이름으로 바꾼다
kubectl uncordon <node-to-drain>
쿠버네티스 API에 접근할 수 있는 머신에서, 다음을 실행하여, v1.22.0을 원하는 버전으로 다시 바꾼다.
curl -L https://github.com/kubernetes-sigs/sig-windows-tools/releases/latest/download/kube-proxy.yml | sed 's/VERSION/v1.22.0/g' | kubectl apply -f -
이 페이지는 네임스페이스에 대한 기본 메모리 요청량(request)과 상한(limit)을 구성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기본 메모리 상한이 있는 네임스페이스에서 컨테이너가 생성되고, 컨테이너가 자체 메모리 상한을 지정하지 않으면, 컨테이너에 기본 메모리 상한이 할당된다. 쿠버네티스는 이 문서의 뒷부분에서 설명하는 특정 조건에서 기본 메모리 요청량을 할당한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버전 확인을 위해서, 다음 커맨드를 실행kubectl version
.
클러스터의 각 노드에는 최소 2GiB의 메모리가 있어야 한다.
이 연습에서 생성한 리소스가 클러스터의 다른 리소스와 격리되도록 네임스페이스를 생성한다.
kubectl create namespace default-mem-example
다음은 리밋레인지 오브젝트의 구성 파일이다. 구성은 메모리 요청량 기본값(default)과 메모리 상한 기본값을 지정한다.
apiVersion: v1
kind: LimitRange
metadata:
name: mem-limit-range
spec:
limits:
- default:
memory: 512Mi
defaultRequest:
memory: 256Mi
type: Container
default-mem-example 네임스페이스에 리밋레인지를 생성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admin/resource/memory-defaults.yaml --namespace=default-mem-example
이제 컨테이너가 default-mem-example 네임스페이스에 생성되고, 컨테이너가 메모리 요청량 및 메모리 상한에 대해 고유한 값을 지정하지 않으면, 컨테이너에 메모리 요청량 기본값 256MiB와 메모리 상한 기본값 512MiB가 지정된다.
컨테이너가 하나인 파드의 구성 파일은 다음과 같다. 컨테이너는 메모리 요청량 및 상한을 지정하지 않는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default-mem-demo
spec:
containers:
- name: default-mem-demo-ctr
image: nginx
파드를 생성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admin/resource/memory-defaults-pod.yaml --namespace=default-mem-example
파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본다.
kubectl get pod default-mem-demo --output=yaml --namespace=default-mem-example
출력 결과는 파드의 컨테이너에 256MiB의 메모리 요청량과 512MiB의 메모리 상한이 있음을 나타낸다. 이것은 리밋레인지에 의해 지정된 기본값이다.
containers:
- image: nginx
imagePullPolicy: Always
name: default-mem-demo-ctr
resources:
limits:
memory: 512Mi
requests:
memory: 256Mi
파드를 삭제한다.
kubectl delete pod default-mem-demo --namespace=default-mem-example
컨테이너가 하나인 파드의 구성 파일은 다음과 같다. 컨테이너는 메모리 상한을 지정하지만, 요청량은 지정하지 않는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default-mem-demo-2
spec:
containers:
- name: default-mem-demo-2-ctr
image: nginx
resources:
limits:
memory: "1Gi"
파드를 생성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admin/resource/memory-defaults-pod-2.yaml --namespace=default-mem-example
파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본다.
kubectl get pod default-mem-demo-2 --output=yaml --namespace=default-mem-example
출력 결과는 컨테이너의 메모리 요청량이 메모리 상한과 일치하도록 설정되었음을 보여준다. 참고로 컨테이너에는 기본 메모리 요청량의 값인 256Mi가 할당되지 않았다.
resources:
limits:
memory: 1Gi
requests:
memory: 1Gi
컨테이너가 하나인 파드의 구성 파일은 다음과 같다. 컨테이너는 메모리 요청량을 지정하지만, 상한은 지정하지 않았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default-mem-demo-3
spec:
containers:
- name: default-mem-demo-3-ctr
image: nginx
resources:
requests:
memory: "128Mi"
파드를 생성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admin/resource/memory-defaults-pod-3.yaml --namespace=default-mem-example
파드 사양을 확인한다.
kubectl get pod default-mem-demo-3 --output=yaml --namespace=default-mem-example
출력 결과는 컨테이너의 메모리 요청량이 컨테이너의 구성 파일에 지정된 값으로 설정되었음을 보여준다. 컨테이너의 메모리 상한은 네임스페이스의 기본 메모리 상한인 512Mi로 설정되어 있다.
resources:
limits:
memory: 512Mi
requests:
memory: 128Mi
네임스페이스에 리소스 쿼터가 있는 경우, 메모리 상한에 기본값을 설정하는 것이 좋다. 다음은 리소스 쿼터가 네임스페이스에 적용하는 두 가지 제한 사항이다.
컨테이너가 자체 메모리 상한을 지정하지 않으면, 기본 상한이 부여되고, 쿼터에 의해 제한되는 네임스페이스에서 실행될 수 있다.
네임스페이스를 삭제한다.
kubectl delete namespace default-mem-example
이 페이지는 네임스페이스에 대한 기본 CPU 요청량(request) 및 상한(limit)을 구성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는 네임스페이스로 나눌 수 있다. 기본 CPU 상한이 있는 네임스페이스에서 컨테이너가 생성되고, 컨테이너가 자체 CPU 상한을 지정하지 않으면, 컨테이너에 기본 CPU 상한이 할당된다. 쿠버네티스는 이 문서의 뒷부분에서 설명하는 특정 조건에서 기본 CPU 요청량을 할당한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버전 확인을 위해서, 다음 커맨드를 실행kubectl version
.
이 연습에서 생성한 리소스가 클러스터의 나머지와 격리되도록 네임스페이스를 생성한다.
kubectl create namespace default-cpu-example
다음은 리밋레인지 오브젝트의 구성 파일이다. 구성은 기본 CPU 요청량 및 기본 CPU 상한을 지정한다.
apiVersion: v1
kind: LimitRange
metadata:
name: cpu-limit-range
spec:
limits:
- default:
cpu: 1
defaultRequest:
cpu: 0.5
type: Container
default-cpu-example 네임스페이스에 리밋레인지를 생성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admin/resource/cpu-defaults.yaml --namespace=default-cpu-example
이제 컨테이너가 default-cpu-example 네임스페이스에 생성되고, 컨테이너가 CPU 요청량 및 CPU 상한에 대해 고유한 값을 지정하지 않으면, 컨테이너에 CPU 요청량의 기본값 0.5와 CPU 상한 기본값 1이 부여된다.
컨테이너가 하나인 파드의 구성 파일은 다음과 같다. 컨테이너는 CPU 요청량과 상한을 지정하지 않는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default-cpu-demo
spec:
containers:
- name: default-cpu-demo-ctr
image: nginx
파드를 생성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admin/resource/cpu-defaults-pod.yaml --namespace=default-cpu-example
파드의 사양을 확인한다.
kubectl get pod default-cpu-demo --output=yaml --namespace=default-cpu-example
출력 결과는 파드의 컨테이너에 500 milicpu의 CPU 요청량과 1 cpu의 CPU 상한이 있음을 나타낸다. 이것은 리밋레인지에 의해 지정된 기본값이다.
containers:
- image: nginx
imagePullPolicy: Always
name: default-cpu-demo-ctr
resources:
limits:
cpu: "1"
requests:
cpu: 500m
컨테이너가 하나인 파드의 구성 파일은 다음과 같다. 컨테이너는 CPU 상한을 지정하지만, 요청량은 지정하지 않는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default-cpu-demo-2
spec:
containers:
- name: default-cpu-demo-2-ctr
image: nginx
resources:
limits:
cpu: "1"
파드를 생성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admin/resource/cpu-defaults-pod-2.yaml --namespace=default-cpu-example
파드 사양을 확인한다.
kubectl get pod default-cpu-demo-2 --output=yaml --namespace=default-cpu-example
출력 결과는 컨테이너의 CPU 요청량이 CPU 상한과 일치하도록 설정되었음을 보여준다. 참고로 컨테이너에는 CPU 요청량의 기본값인 0.5 cpu가 할당되지 않았다.
resources:
limits:
cpu: "1"
requests:
cpu: "1"
컨테이너가 하나인 파드의 구성 파일은 다음과 같다. 컨테이너는 CPU 요청량을 지정하지만, 상한은 지정하지 않았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default-cpu-demo-3
spec:
containers:
- name: default-cpu-demo-3-ctr
image: nginx
resources:
requests:
cpu: "0.75"
파드를 생성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admin/resource/cpu-defaults-pod-3.yaml --namespace=default-cpu-example
파드 사양을 확인한다.
kubectl get pod default-cpu-demo-3 --output=yaml --namespace=default-cpu-example
출력 결과는 컨테이너의 CPU 요청량이 컨테이너의 구성 파일에 지정된 값으로 설정되었음을 보여준다. 컨테이너의 CPU 상한은 1 cpu로 설정되며, 이는 네임스페이스의 CPU 상한 기본값이다.
resources:
limits:
cpu: "1"
requests:
cpu: 750m
네임스페이스에 리소스 쿼터가 있는 경우, CPU 상한에 대해 기본값을 설정하는 것이 좋다. 다음은 리소스 쿼터가 네임스페이스에 적용하는 두 가지 제한 사항이다.
컨테이너가 자체 CPU 상한을 지정하지 않으면, 상한 기본값이 부여되고, 쿼터에 의해 제한되는 네임스페이스에서 실행될 수 있다.
네임스페이스를 삭제한다.
kubectl delete namespace default-cpu-example
이 페이지는 네임스페이스에서 실행되는 컨테이너가 사용하는 메모리의 최솟값과 최댓값을 설정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리밋레인지(LimitRange) 오브젝트에 최소 및 최대 메모리 값을 지정한다. 파드가 리밋레인지에 의해 부과된 제약 조건을 충족하지 않으면, 네임스페이스에서 생성될 수 없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버전 확인을 위해서, 다음 커맨드를 실행kubectl version
.
클러스터의 각 노드에는 최소 1GiB의 메모리가 있어야 한다.
이 연습에서 생성한 리소스가 클러스터의 나머지와 격리되도록 네임스페이스를 생성한다.
kubectl create namespace constraints-mem-example
다음은 리밋레인지의 구성 파일이다.
apiVersion: v1
kind: LimitRange
metadata:
name: mem-min-max-demo-lr
spec:
limits:
- max:
memory: 1Gi
min:
memory: 500Mi
type: Container
리밋레인지를 생성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admin/resource/memory-constraints.yaml --namespace=constraints-mem-example
리밋레인지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본다.
kubectl get limitrange mem-min-max-demo-lr --namespace=constraints-mem-example --output=yaml
출력 결과는 예상대로 메모리의 최소 및 최대 제약 조건을 보여준다. 그러나 참고로 리밋레인지의 구성 파일에 기본값(default)을 지정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생성된다.
limits:
- default:
memory: 1Gi
defaultRequest:
memory: 1Gi
max:
memory: 1Gi
min:
memory: 500Mi
type: Container
이제 constraints-mem-example 네임스페이스에 컨테이너가 생성될 때마다, 쿠버네티스는 다음 단계를 수행한다.
컨테이너가 자체 메모리 요청량(request)과 상한(limit)을 지정하지 않으면, 기본 메모리 요청량과 상한을 컨테이너에 지정한다.
컨테이너에 500MiB 이상의 메모리 요청량이 있는지 확인한다.
컨테이너의 메모리 상한이 1GiB 이하인지 확인한다.
컨테이너가 하나인 파드의 구성 파일은 다음과 같다. 컨테이너 매니페스트는 600MiB의 메모리 요청량과 800MiB의 메모리 상한을 지정한다. 이들은 리밋레인지에 의해 부과된 메모리의 최소 및 최대 제약 조건을 충족한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constraints-mem-demo
spec:
containers:
- name: constraints-mem-demo-ctr
image: nginx
resources:
limits:
memory: "800Mi"
requests:
memory: "600Mi"
파드를 생성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admin/resource/memory-constraints-pod.yaml --namespace=constraints-mem-example
파드의 컨테이너가 실행 중인지 확인한다.
kubectl get pod constraints-mem-demo --namespace=constraints-mem-example
파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본다.
kubectl get pod constraints-mem-demo --output=yaml --namespace=constraints-mem-example
출력 결과는 컨테이너의 메모리 요청량이 600MiB이고 메모리 상한이 800MiB임을 나타낸다. 이는 리밋레인지에 의해 부과된 제약 조건을 충족한다.
resources:
limits:
memory: 800Mi
requests:
memory: 600Mi
파드를 삭제한다.
kubectl delete pod constraints-mem-demo --namespace=constraints-mem-example
컨테이너가 하나인 파드의 구성 파일은 다음과 같다. 컨테이너는 800MiB의 메모리 요청량과 1.5GiB의 메모리 상한을 지정한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constraints-mem-demo-2
spec:
containers:
- name: constraints-mem-demo-2-ctr
image: nginx
resources:
limits:
memory: "1.5Gi"
requests:
memory: "800Mi"
파드 생성을 시도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admin/resource/memory-constraints-pod-2.yaml --namespace=constraints-mem-example
컨테이너가 너무 큰 메모리 상한을 지정하므로, 출력 결과에 파드가 생성되지 않은 것으로 표시된다.
Error from server (Forbidden): error when creating "examples/admin/resource/memory-constraints-pod-2.yaml":
pods "constraints-mem-demo-2" is forbidden: maximum memory usage per Container is 1Gi, but limit is 1536Mi.
컨테이너가 하나인 파드의 구성 파일은 다음과 같다. 컨테이너는 100MiB의 메모리 요청량과 800MiB의 메모리 상한을 지정한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constraints-mem-demo-3
spec:
containers:
- name: constraints-mem-demo-3-ctr
image: nginx
resources:
limits:
memory: "800Mi"
requests:
memory: "100Mi"
파드 생성을 시도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admin/resource/memory-constraints-pod-3.yaml --namespace=constraints-mem-example
컨테이너가 너무 작은 메모리 요청량을 지정하므로, 출력 결과에 파드가 생성되지 않은 것으로 표시된다.
Error from server (Forbidden): error when creating "examples/admin/resource/memory-constraints-pod-3.yaml":
pods "constraints-mem-demo-3" is forbidden: minimum memory usage per Container is 500Mi, but request is 100Mi.
컨테이너가 하나인 파드의 구성 파일은 다음과 같다. 컨테이너는 메모리 요청량을 지정하지 않으며, 메모리 상한을 지정하지 않는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constraints-mem-demo-4
spec:
containers:
- name: constraints-mem-demo-4-ctr
image: nginx
파드를 생성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admin/resource/memory-constraints-pod-4.yaml --namespace=constraints-mem-example
파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본다.
kubectl get pod constraints-mem-demo-4 --namespace=constraints-mem-example --output=yaml
출력 결과는 파드의 컨테이너에 1GiB의 메모리 요청량과 1GiB의 메모리 상한이 있음을 보여준다. 컨테이너는 이러한 값을 어떻게 얻었을까?
resources:
limits:
memory: 1Gi
requests:
memory: 1Gi
컨테이너가 자체 메모리 요청량과 상한을 지정하지 않았으므로, 리밋레인지의 메모리의 요청량과 상한 기본값이 제공되었다.
이 시점에서, 컨테이너가 실행 중이거나 실행 중이 아닐 수 있다. 이 태스크의 전제 조건은 노드에 최소 1GiB의 메모리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각 노드에 1GiB의 메모리만 있는 경우, 노드에 할당할 수 있는 메모리가 1GiB의 메모리 요청량을 수용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메모리가 2GiB인 노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메모리가 1GiB 요청량을 수용하기에 충분할 것이다.
파드를 삭제한다.
kubectl delete pod constraints-mem-demo-4 --namespace=constraints-mem-example
리밋레인지에 의해 네임스페이스에 부과된 메모리의 최대 및 최소 제약 조건은 파드를 생성하거나 업데이트할 때만 적용된다. 리밋레인지를 변경해도, 이전에 생성된 파드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클러스터 관리자는 파드가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 양에 제한을 둘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클러스터의 각 노드에는 2GB의 메모리가 있다. 클러스터의 어떤 노드도 2GB 이상의 요청량을 지원할 수 없으므로, 2GB 이상의 메모리를 요청하는 파드를 수락하지 않으려고 한다.
클러스터는 운영 부서와 개발 부서에서 공유한다. 프로덕션 워크로드가 최대 8GB의 메모리를 소비하도록 하려면, 개발 워크로드를 512MB로 제한해야 한다. 프로덕션 및 개발을 위해 별도의 네임스페이스를 만들고, 각 네임스페이스에 메모리 제약 조건을 적용한다.
네임스페이스를 삭제한다.
kubectl delete namespace constraints-mem-example
이 페이지는 네임스페이스에서 컨테이너와 파드가 사용하는 CPU 리소스의 최솟값과 최댓값을 설정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리밋레인지(LimitRange) 오브젝트에 CPU의 최솟값과 최댓값을 지정한다. 리밋레인지에 의해 부과된 제약 조건을 파드가 충족하지 않으면, 네임스페이스에서 생성될 수 없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버전 확인을 위해서, 다음 커맨드를 실행kubectl version
.
태스크 예제를 실행하려면 클러스터에 적어도 1 CPU 이상이 사용 가능해야 한다.
이 연습에서 생성한 리소스가 클러스터의 나머지와 격리되도록 네임스페이스를 생성한다.
kubectl create namespace constraints-cpu-example
다음은 리밋레인지에 대한 구성 파일이다.
apiVersion: v1
kind: LimitRange
metadata:
name: cpu-min-max-demo-lr
spec:
limits:
- max:
cpu: "800m"
min:
cpu: "200m"
type: Container
리밋레인지를 생성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admin/resource/cpu-constraints.yaml --namespace=constraints-cpu-example
리밋레인지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본다.
kubectl get limitrange cpu-min-max-demo-lr --output=yaml --namespace=constraints-cpu-example
출력 결과는 예상대로 CPU의 최소와 최대 제약 조건을 보여준다. 그러나 참고로 리밋레인지에 대한 구성 파일에 기본값을 지정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생성된다.
limits:
- default:
cpu: 800m
defaultRequest:
cpu: 800m
max:
cpu: 800m
min:
cpu: 200m
type: Container
이제 constraints-cpu-example 네임스페이스에 컨테이너가 생성될 때마다, 쿠버네티스는 다음 단계를 수행한다.
컨테이너가 자체 CPU 요청량(request)과 상한(limit)을 지정하지 않으면, 컨테이너에 CPU 요청량과 상한의 기본값(default)을 지정한다.
컨테이너가 200 millicpu 이상의 CPU 요청량을 지정하는지 확인한다.
컨테이너가 800 millicpu 이하의 CPU 상한을 지정하는지 확인한다.
LimitRange
오브젝트를 생성할 때, huge-pages
또는 GPU에도 상한을 지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리소스들에 default
와 defaultRequest
가
모두 지정되어 있으면, 두 값은 같아야 한다.
컨테이너가 하나인 파드의 구성 파일은 다음과 같다. 컨테이너 매니페스트는 500 millicpu의 CPU 요청량 및 800 millicpu의 CPU 상한을 지정한다. 이는 리밋레인지에 의해 부과된 CPU의 최소와 최대 제약 조건을 충족시킨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constraints-cpu-demo
spec:
containers:
- name: constraints-cpu-demo-ctr
image: nginx
resources:
limits:
cpu: "800m"
requests:
cpu: "500m"
파드를 생성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admin/resource/cpu-constraints-pod.yaml --namespace=constraints-cpu-example
파드의 컨테이너가 실행 중인지 확인한다.
kubectl get pod constraints-cpu-demo --namespace=constraints-cpu-example
파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본다.
kubectl get pod constraints-cpu-demo --output=yaml --namespace=constraints-cpu-example
출력 결과는 컨테이너의 CPU 요청량이 500 millicpu이고, CPU 상한이 800 millicpu임을 나타낸다. 이는 리밋레인지에 의해 부과된 제약 조건을 만족시킨다.
resources:
limits:
cpu: 800m
requests:
cpu: 500m
kubectl delete pod constraints-cpu-demo --namespace=constraints-cpu-example
컨테이너가 하나인 파드의 구성 파일은 다음과 같다. 컨테이너는 500 millicpu의 CPU 요청량과 1.5 cpu의 CPU 상한을 지정한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constraints-cpu-demo-2
spec:
containers:
- name: constraints-cpu-demo-2-ctr
image: nginx
resources:
limits:
cpu: "1.5"
requests:
cpu: "500m"
파드 생성을 시도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admin/resource/cpu-constraints-pod-2.yaml --namespace=constraints-cpu-example
컨테이너가 너무 큰 CPU 상한을 지정하므로, 출력 결과에 파드가 생성되지 않은 것으로 표시된다.
Error from server (Forbidden): error when creating "examples/admin/resource/cpu-constraints-pod-2.yaml":
pods "constraints-cpu-demo-2" is forbidden: maximum cpu usage per Container is 800m, but limit is 1500m.
컨테이너가 하나인 파드의 구성 파일은 다음과 같다. 컨테이너는 100 millicpu의 CPU 요청량과 800 millicpu의 CPU 상한을 지정한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constraints-cpu-demo-3
spec:
containers:
- name: constraints-cpu-demo-3-ctr
image: nginx
resources:
limits:
cpu: "800m"
requests:
cpu: "100m"
파드 생성을 시도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admin/resource/cpu-constraints-pod-3.yaml --namespace=constraints-cpu-example
컨테이너가 너무 작은 CPU 요청량을 지정하므로, 출력 결과에 파드가 생성되지 않은 것으로 표시된다.
Error from server (Forbidden): error when creating "examples/admin/resource/cpu-constraints-pod-3.yaml":
pods "constraints-cpu-demo-3" is forbidden: minimum cpu usage per Container is 200m, but request is 100m.
컨테이너가 하나인 파드의 구성 파일은 다음과 같다. 컨테이너는 CPU 요청량을 지정하지 않으며, CPU 상한을 지정하지 않는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constraints-cpu-demo-4
spec:
containers:
- name: constraints-cpu-demo-4-ctr
image: vish/stress
파드를 생성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admin/resource/cpu-constraints-pod-4.yaml --namespace=constraints-cpu-example
파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본다.
kubectl get pod constraints-cpu-demo-4 --namespace=constraints-cpu-example --output=yaml
출력 결과는 파드의 컨테이너에 대한 CPU 요청량이 800 millicpu이고, CPU 상한이 800 millicpu임을 나타낸다. 컨테이너는 어떻게 이런 값을 얻었을까?
resources:
limits:
cpu: 800m
requests:
cpu: 800m
컨테이너가 자체 CPU 요청량과 상한을 지정하지 않았으므로, 리밋레인지로부터 CPU 요청량과 상한의 기본값이 주어졌다.
이 시점에서, 컨테이너는 실행 중이거나 실행 중이 아닐 수 있다. 이 태스크의 전제 조건은 클러스터에 1 CPU 이상 사용 가능해야 한다는 것이다. 각 노드에 1 CPU만 있는 경우, 노드에 할당할 수 있는 CPU가 800 millicpu의 요청량을 수용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2 CPU인 노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CPU가 800 millicpu 요청량을 수용하기에 충분할 것이다.
파드를 삭제한다.
kubectl delete pod constraints-cpu-demo-4 --namespace=constraints-cpu-example
리밋레인지에 의해 네임스페이스에 부과된 CPU의 최대 및 최소 제약 조건은 파드를 생성하거나 업데이트할 때만 적용된다. 리밋레인지를 변경해도, 이전에 생성된 파드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클러스터 관리자는 파드가 사용할 수 있는 CPU 리소스에 제한을 둘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클러스터의 각 노드에는 2 CPU가 있다. 클러스터의 어떤 노드도 요청량을 지원할 수 없기 때문에, 2 CPU 이상을 요청하는 파드를 수락하지 않으려고 한다.
클러스터는 프로덕션과 개발 부서에서 공유한다. 프로덕션 워크로드가 최대 3 CPU를 소비하도록 하고 싶지만, 개발 워크로드는 1 CPU로 제한하려고 한다. 프로덕션과 개발을 위해 별도의 네임스페이스를 생성하고, 각 네임스페이스에 CPU 제약 조건을 적용한다.
네임스페이스를 삭제한다.
kubectl delete namespace constraints-cpu-example
이 페이지는 네임스페이스에서 실행 중인 모든 컨테이너가 사용할 수 있는 총 메모리 및 CPU 양에 대한 쿼터를 설정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리소스쿼터(ResourceQuota) 오브젝트에 쿼터를 지정한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버전 확인을 위해서, 다음 커맨드를 실행kubectl version
.
클러스터의 각 노드에는 최소 1GiB의 메모리가 있어야 한다.
이 연습에서 생성한 리소스가 클러스터의 나머지와 격리되도록 네임스페이스를 생성한다.
kubectl create namespace quota-mem-cpu-example
다음은 리소스쿼터 오브젝트의 구성 파일이다.
apiVersion: v1
kind: ResourceQuota
metadata:
name: mem-cpu-demo
spec:
hard:
requests.cpu: "1"
requests.memory: 1Gi
limits.cpu: "2"
limits.memory: 2Gi
리소스쿼터를 생성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admin/resource/quota-mem-cpu.yaml --namespace=quota-mem-cpu-example
리소스쿼터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본다.
kubectl get resourcequota mem-cpu-demo --namespace=quota-mem-cpu-example --output=yaml
리소스쿼터는 이러한 요구 사항을 quota-mem-cpu-example 네임스페이스에 배치한다.
파드의 구성 파일은 다음과 같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quota-mem-cpu-demo
spec:
containers:
- name: quota-mem-cpu-demo-ctr
image: nginx
resources:
limits:
memory: "800Mi"
cpu: "800m"
requests:
memory: "600Mi"
cpu: "400m"
파드를 생성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admin/resource/quota-mem-cpu-pod.yaml --namespace=quota-mem-cpu-example
파드의 컨테이너가 실행 중인지 확인한다.
kubectl get pod quota-mem-cpu-demo --namespace=quota-mem-cpu-example
다시 한 번, 리소스쿼터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본다.
kubectl get resourcequota mem-cpu-demo --namespace=quota-mem-cpu-example --output=yaml
출력 결과는 쿼터와 사용된 쿼터를 함께 보여준다. 파드의 메모리와 CPU 요청량 및 상한이 쿼터를 초과하지 않은 것을 볼 수 있다.
status:
hard:
limits.cpu: "2"
limits.memory: 2Gi
requests.cpu: "1"
requests.memory: 1Gi
used:
limits.cpu: 800m
limits.memory: 800Mi
requests.cpu: 400m
requests.memory: 600Mi
다음은 두 번째 파드의 구성 파일이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quota-mem-cpu-demo-2
spec:
containers:
- name: quota-mem-cpu-demo-2-ctr
image: redis
resources:
limits:
memory: "1Gi"
cpu: "800m"
requests:
memory: "700Mi"
cpu: "400m"
구성 파일에서, 파드의 메모리 요청량이 700MiB임을 알 수 있다. 사용된 메모리 요청량과 이 새 메모리 요청량의 합계가 메모리 요청량 쿼터를 초과한다. 600MiB + 700MiB > 1GiB
파드 생성을 시도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admin/resource/quota-mem-cpu-pod-2.yaml --namespace=quota-mem-cpu-example
두 번째 파드는 생성되지 않는다. 출력 결과는 두 번째 파드를 생성하면 메모리 요청량의 총 합계가 메모리 요청량 쿼터를 초과함을 보여준다.
Error from server (Forbidden): error when creating "examples/admin/resource/quota-mem-cpu-pod-2.yaml":
pods "quota-mem-cpu-demo-2" is forbidden: exceeded quota: mem-cpu-demo,
requested: requests.memory=700Mi,used: requests.memory=600Mi, limited: requests.memory=1Gi
이 연습에서 보았듯이, 리소스쿼터를 사용하여 네임스페이스에서 실행 중인 모든 컨테이너에 대한 메모리 요청량의 총 합계를 제한할 수 있다. 메모리 상한, CPU 요청량 및 CPU 상한의 총 합계를 제한할 수도 있다.
모든 컨테이너에 대한 합계 대신 개별 컨테이너를 제한하려면, 리밋레인지(LimitRange)를 사용한다.
네임스페이스를 삭제한다.
kubectl delete namespace quota-mem-cpu-example
이 페이지는 네임스페이스에서 실행할 수 있는 총 파드 수에 대한 쿼터를 설정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리소스쿼터(ResourceQuota) 오브젝트에 쿼터를 지정한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버전 확인을 위해서, 다음 커맨드를 실행kubectl version
.
이 실습에서 생성한 리소스가 클러스터의 나머지와 격리되도록 네임스페이스를 생성한다.
kubectl create namespace quota-pod-example
다음은 리소스쿼터 오브젝트의 구성 파일이다.
apiVersion: v1
kind: ResourceQuota
metadata:
name: pod-demo
spec:
hard:
pods: "2"
리소스쿼터를 생성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admin/resource/quota-pod.yaml --namespace=quota-pod-example
리소스쿼터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본다.
kubectl get resourcequota pod-demo --namespace=quota-pod-example --output=yaml
출력 결과는 네임스페이스에 두 개의 파드 쿼터가 있고, 현재 파드가 없음을 보여준다. 즉, 쿼터 중 어느 것도 사용되지 않았다.
spec:
hard:
pods: "2"
status:
hard:
pods: "2"
used:
pods: "0"
다음은 디플로이먼트(Deployment) 구성 파일이다.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pod-quota-demo
spec:
selector:
matchLabels:
purpose: quota-demo
replicas: 3
template:
metadata:
labels:
purpose: quota-demo
spec:
containers:
- name: pod-quota-demo
image: nginx
구성 파일에서, replicas: 3
은 쿠버네티스가 모두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세 개의 파드를 만들도록 지시한다.
디플로이먼트를 생성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admin/resource/quota-pod-deployment.yaml --namespace=quota-pod-example
디플로이먼트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본다.
kubectl get deployment pod-quota-demo --namespace=quota-pod-example --output=yaml
출력 결과는 디플로이먼트에서 3개의 레플리카를 지정하더라도, 쿼터로 인해 2개의 파드만 생성되었음을 보여준다.
spec:
...
replicas: 3
...
status:
availableReplicas: 2
...
lastUpdateTime: 2017-07-07T20:57:05Z
message: 'unable to create pods: pods "pod-quota-demo-1650323038-" is forbidden:
exceeded quota: pod-demo, requested: pods=1, used: pods=2, limited: pods=2'
네임스페이스를 삭제한다.
kubectl delete namespace quota-pod-example
클라이언트 인증서로 인증을 사용하는 경우 easyrsa
, openssl
또는 cfssl
을 통해 인증서를 수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easyrsa 는 클러스터 인증서를 수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easyrsa3의 패치 버전을 다운로드하여 압축을 풀고, 초기화한다.
curl -LO https://storage.googleapis.com/kubernetes-release/easy-rsa/easy-rsa.tar.gz
tar xzf easy-rsa.tar.gz
cd easy-rsa-master/easyrsa3
./easyrsa init-pki
새로운 인증 기관(CA)을 생성한다. --batch
는 자동 모드를 설정한다.
--req-cn
는 CA의 새 루트 인증서에 대한 일반 이름(Common Name (CN))을 지정한다.
./easyrsa --batch "--req-cn=${MASTER_IP}@`date +%s`" build-ca nopass
서버 인증서와 키를 생성한다.
--subject-alt-name
인수는 API 서버에 접근이 가능한 IP와 DNS
이름을 설정한다. MASTER_CLUSTER_IP
는 일반적으로 API 서버와
컨트롤러 관리자 컴포넌트에 대해 --service-cluster-ip-range
인수로
지정된 서비스 CIDR의 첫 번째 IP이다. --days
인수는 인증서가 만료되는
일 수를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아래 샘플은 기본 DNS 이름으로 cluster.local
을
사용한다고 가정한다.
./easyrsa --subject-alt-name="IP:${MASTER_IP},"\
"IP:${MASTER_CLUSTER_IP},"\
"DNS:kubernetes,"\
"DNS:kubernetes.default,"\
"DNS:kubernetes.default.svc,"\
"DNS:kubernetes.default.svc.cluster,"\
"DNS:kubernetes.default.svc.cluster.local" \
--days=10000 \
build-server-full server nopass
pki/ca.crt
, pki/issued/server.crt
그리고 pki/private/server.key
를 디렉터리에 복사한다.
API 서버 시작 파라미터에 다음 파라미터를 채우고 추가한다.
--client-ca-file=/yourdirectory/ca.crt
--tls-cert-file=/yourdirectory/server.crt
--tls-private-key-file=/yourdirectory/server.key
openssl 은 클러스터 인증서를 수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ca.key를 2048bit로 생성한다.
openssl genrsa -out ca.key 2048
ca.key에 따라 ca.crt를 생성한다(인증서 유효 기간을 사용하려면 -days를 사용한다).
openssl req -x509 -new -nodes -key ca.key -subj "/CN=${MASTER_IP}" -days 10000 -out ca.crt
server.key를 2048bit로 생성한다.
openssl genrsa -out server.key 2048
인증서 서명 요청(Certificate Signing Request (CSR))을 생성하기 위한 설정 파일을 생성한다.
파일에 저장하기 전에 꺾쇠 괄호(예: <MASTER_IP>
)로
표시된 값을 실제 값으로 대체한다(예: csr.conf
).
MASTER_CLUSTER_IP
의 값은 이전 하위 섹션에서
설명한 대로 API 서버의 서비스 클러스터 IP이다.
또한, 아래 샘플에서는 cluster.local
을 기본 DNS 도메인
이름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 req ]
default_bits = 2048
prompt = no
default_md = sha256
req_extensions = req_ext
distinguished_name = dn
[ dn ]
C = <국가(country)>
ST = <도(state)>
L = <시(city)>
O = <조직(organization)>
OU = <조직 단위(organization unit)>
CN = <MASTER_IP>
[ req_ext ]
subjectAltName = @alt_names
[ alt_names ]
DNS.1 = kubernetes
DNS.2 = kubernetes.default
DNS.3 = kubernetes.default.svc
DNS.4 = kubernetes.default.svc.cluster
DNS.5 = kubernetes.default.svc.cluster.local
IP.1 = <MASTER_IP>
IP.2 = <MASTER_CLUSTER_IP>
[ v3_ext ]
authorityKeyIdentifier=keyid,issuer:always
basicConstraints=CA:FALSE
keyUsage=keyEncipherment,dataEncipherment
extendedKeyUsage=serverAuth,clientAuth
subjectAltName=@alt_names
설정 파일을 기반으로 인증서 서명 요청을 생성한다.
openssl req -new -key server.key -out server.csr -config csr.conf
ca.key, ca.crt 그리고 server.csr을 사용해서 서버 인증서를 생성한다.
openssl x509 -req -in server.csr -CA ca.crt -CAkey ca.key \
-CAcreateserial -out server.crt -days 10000 \
-extensions v3_ext -extfile csr.conf
인증서 서명 요청을 확인한다.
openssl req -noout -text -in ./server.csr
인증서를 확인한다.
openssl x509 -noout -text -in ./server.crt
마지막으로, API 서버 시작 파라미터에 동일한 파라미터를 추가한다.
cfssl 은 인증서 생성을 위한 또 다른 도구이다.
아래에 표시된 대로 커맨드 라인 도구를 다운로드하여 압축을 풀고 준비한다. 사용 중인 하드웨어 아키텍처 및 cfssl 버전에 따라 샘플 명령을 조정해야 할 수도 있다.
curl -L https://github.com/cloudflare/cfssl/releases/download/v1.5.0/cfssl_1.5.0_linux_amd64 -o cfssl
chmod +x cfssl
curl -L https://github.com/cloudflare/cfssl/releases/download/v1.5.0/cfssljson_1.5.0_linux_amd64 -o cfssljson
chmod +x cfssljson
curl -L https://github.com/cloudflare/cfssl/releases/download/v1.5.0/cfssl-certinfo_1.5.0_linux_amd64 -o cfssl-certinfo
chmod +x cfssl-certinfo
아티팩트(artifact)를 보유할 디렉터리를 생성하고 cfssl을 초기화한다.
mkdir cert
cd cert
../cfssl print-defaults config > config.json
../cfssl print-defaults csr > csr.json
CA 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JSON 설정 파일을 ca-config.json
예시와 같이 생성한다.
{
"signing": {
"default": {
"expiry": "8760h"
},
"profiles": {
"kubernetes": {
"usages": [
"signing",
"key encipherment",
"server auth",
"client auth"
],
"expiry": "8760h"
}
}
}
}
CA 인증서 서명 요청(CSR)을 위한 JSON 설정 파일을
ca-csr.json
예시와 같이 생성한다. 꺾쇠 괄호로 표시된
값을 사용하려는 실제 값으로 변경한다.
{
"CN": "kubernetes",
"key": {
"algo": "rsa",
"size": 2048
},
"names":[{
"C": "<국가(country)>",
"ST": "<도(state)>",
"L": "<시(city)>",
"O": "<조직(organization)>",
"OU": "<조직 단위(organization unit)>"
}]
}
CA 키(ca-key.pem
)와 인증서(ca.pem
)을 생성한다.
../cfssl gencert -initca ca-csr.json | ../cfssljson -bare ca
API 서버의 키와 인증서를 생성하기 위한 JSON 구성파일을
server-csr.json
예시와 같이 생성한다. 꺾쇠 괄호 안의 값을
사용하려는 실제 값으로 변경한다. MASTER_CLUSTER_IP
는
이전 하위 섹션에서 설명한 API 서버의 클러스터 IP이다.
아래 샘플은 기본 DNS 도메인 이름으로 cluster.local
을
사용한다고 가정한다.
{
"CN": "kubernetes",
"hosts": [
"127.0.0.1",
"<MASTER_IP>",
"<MASTER_CLUSTER_IP>",
"kubernetes",
"kubernetes.default",
"kubernetes.default.svc",
"kubernetes.default.svc.cluster",
"kubernetes.default.svc.cluster.local"
],
"key": {
"algo": "rsa",
"size": 2048
},
"names": [{
"C": "<국가(country)>",
"ST": "<도(state)>",
"L": "<시(city)>",
"O": "<조직(organization)>",
"OU": "<조직 단위(organization unit)>"
}]
}
API 서버 키와 인증서를 생성하면, 기본적으로
server-key.pem
과 server.pem
파일에 각각 저장된다.
../cfssl gencert -ca=ca.pem -ca-key=ca-key.pem \
--config=ca-config.json -profile=kubernetes \
server-csr.json | ../cfssljson -bare server
클라이언트 노드는 자체 서명된 CA 인증서를 유효한 것으로 인식하지 않을 수 있다. 비-프로덕션 디플로이먼트 또는 회사 방화벽 뒤에서 실행되는 디플로이먼트의 경우, 자체 서명된 CA 인증서를 모든 클라이언트에 배포하고 유효한 인증서의 로컬 목록을 새로 고칠 수 있다.
각 클라이언트에서, 다음 작업을 수행한다.
sudo cp ca.crt /usr/local/share/ca-certificates/kubernetes.crt
sudo update-ca-certificates
Updating certificates in /etc/ssl/certs...
1 added, 0 removed; done.
Running hooks in /etc/ca-certificates/update.d....
done.
certificates.k8s.io
API를 사용해서
여기에
설명된 대로 인증에 사용할 x509 인증서를 프로비전 할 수 있다.
이 페이지는 쿠버네티스에서 캘리코(Calico) 클러스터를 생성하는 몇 가지 빠른 방법을 살펴본다.
클라우드나 지역 클러스터 중에 어디에 배포할지 결정한다.
사전요구사항: gcloud.
캘리코로 GKE 클러스터를 시작하려면, --enable-network-policy
플래그를 추가한다.
문법
gcloud container clusters create [클러스터_이름] --enable-network-policy
예시
gcloud container clusters create my-calico-cluster --enable-network-policy
배포를 확인하기 위해, 다음 커맨드를 이용하자.
kubectl get pods --namespace=kube-system
캘리코 파드는 calico
로 시작한다. 각각의 상태가 Running
임을 확인하자.
Kubeadm을 이용해서 15분 이내에 지역 단일 호스트 캘리코 클러스터를 생성하려면, 캘리코 빠른 시작을 참고한다.
클러스터가 동작하면, 쿠버네티스 네트워크 폴리시(NetworkPolicy)를 시도하기 위해 네트워크 폴리시 선언하기를 따라 할 수 있다.
이 페이지는 어떻게 네트워크 폴리시(NetworkPolicy)로 실리움(Cilium)를 사용하는지 살펴본다.
실리움의 배경에 대해서는 실리움 소개를 읽어보자.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버전 확인을 위해서, 다음 커맨드를 실행kubectl version
.
실리움에 쉽게 친숙해지기 위해 Minikube에 실리움을 기본적인 데몬셋으로 설치를 수행하는 실리움 쿠버네티스 시작하기 안내를 따라 해볼 수 있다.
Minikube를 시작하려면 최소 버전으로 >= v1.5.2 이 필요하고, 다음의 실행 파라미터로 실행한다.
minikube version
minikube version: v1.5.2
minikube start --network-plugin=cni
minikube의 경우 CLI 도구를 사용하여 실리움을 설치할 수 있다. 실리움은 클러스터 구성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성공적인 설치를 위해 적절한 구성 요소를 설치한다.
curl -LO https://github.com/cilium/cilium-cli/releases/latest/download/cilium-linux-amd64.tar.gz
sudo tar xzvfC cilium-linux-amd64.tar.gz /usr/local/bin
rm cilium-linux-amd64.tar.gz
cilium install
🔮 Auto-detected Kubernetes kind: minikube
✨ Running "minikube" validation checks
✅ Detected minikube version "1.20.0"
ℹ️ Cilium version not set, using default version "v1.10.0"
🔮 Auto-detected cluster name: minikube
🔮 Auto-detected IPAM mode: cluster-pool
🔮 Auto-detected datapath mode: tunnel
🔑 Generating CA...
2021/05/27 02:54:44 [INFO] generate received request
2021/05/27 02:54:44 [INFO] received CSR
2021/05/27 02:54:44 [INFO] generating key: ecdsa-256
2021/05/27 02:54:44 [INFO] encoded CSR
2021/05/27 02:54:44 [INFO] signed certificate with serial number 48713764918856674401136471229482703021230538642
🔑 Generating certificates for Hubble...
2021/05/27 02:54:44 [INFO] generate received request
2021/05/27 02:54:44 [INFO] received CSR
2021/05/27 02:54:44 [INFO] generating key: ecdsa-256
2021/05/27 02:54:44 [INFO] encoded CSR
2021/05/27 02:54:44 [INFO] signed certificate with serial number 3514109734025784310086389188421560613333279574
🚀 Creating Service accounts...
🚀 Creating Cluster roles...
🚀 Creating ConfigMap...
🚀 Creating Agent DaemonSet...
🚀 Creating Operator Deployment...
⌛ Waiting for Cilium to be installed...
시작하기 안내서의 나머지 부분은 예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L3/L4(예, IP 주소 + 포트) 모두의 보안 정책뿐만 아니라 L7(예, HTTP)의 보안 정책을 적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실리움을 실 서비스 용도의 배포에 관련한 자세한 방법은 실리움 쿠버네티스 설치 안내를 살펴본다. 이 문서는 자세한 요구사항, 방법과 실제 데몬셋 예시를 포함한다.
실리움으로 클러스터를 배포하면 파드가 kube-system
네임스페이스에 추가된다.
파드의 목록을 보려면 다음을 실행한다.
kubectl get pods --namespace=kube-system -l k8s-app=cilium
다음과 유사한 파드의 목록을 볼 것이다.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cilium-kkdhz 1/1 Running 0 3m23s
...
cilium
파드는 클러스터 각 노드에서 실행되며, 리눅스 BPF를 사용해서
해당 노드의 파드에 대한 트래픽 네트워크 폴리시를 적용한다.
클러스터가 동작하면, 실리움으로 쿠버네티스 네트워크 폴리시를 시도하기 위해 네트워크 폴리시 선언하기를 따라 할 수 있다. 재미있게 즐기고, 질문이 있다면 실리움 슬랙 채널을 이용하여 연락한다.
이 페이지는 네트워크 폴리시(NetworkPolicy)로 큐브 라우터(Kube-router)를 사용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운영 중인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다. 클러스터가 없다면, Kops, Bootkube, Kubeadm 등을 이용해서 클러스터를 생성할 수 있다.
큐브 라우터 애드온은 갱신된 모든 네트워크 폴리시 및 파드에 대해 쿠버네티스 API 서버를 감시하고, 정책에 따라 트래픽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도록 iptables 규칙와 ipset을 구성하는 네트워크 폴리시 컨트롤러와 함께 제공된다. 큐브 라우터 애드온을 설치하는 큐브 라우터를 클러스터 인스톨러와 함께 사용하기 안내서를 따라해 봅니다.
큐브 라우터 애드온을 설치한 후에는, 쿠버네티스 네트워크 폴리시를 시도하기 위해 네트워크 폴리시 선언하기를 따라 할 수 있다.
이 페이지는 네트워크 폴리시(NetworkPolicy)로 로마나(Romana)를 사용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kubeadm 시작하기의 1, 2, 3 단계를 완료하자.
Kubeadm을 위한 컨테이너화된 설치 안내서를 따른다.
네트워크 폴리시를 적용하기 위해 다음 중에 하나를 사용하자.
로마나를 설치한 후에는, 쿠버네티스 네트워크 폴리시를 시도하기 위해 네트워크 폴리시 선언하기를 따라 할 수 있다.
이 페이지는 네트워크 폴리시(NetworkPolicy)로 위브넷(Weave Net)를 사용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다. 맨 땅에서부터 시작하기를 위해서 kubeadm 시작하기 안내서를 따른다.
애드온을 통한 쿠버네티스 통합하기 가이드를 따른다.
쿠버네티스의 위브넷 애드온은 쿠버네티스의 모든 네임스페이스의
네크워크 정책 어노테이션을 자동으로 모니터링하며,
정책에 따라 트래픽을 허용하고 차단하는 iptables
규칙을 구성하는
네트워크 폴리시 컨트롤러와 함께 제공된다.
위브넷이 동작하는지 확인한다.
다음 커맨드를 입력한다.
kubectl get pods -n kube-system -o wide
출력은 다음과 유사하다.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IP NODE
weave-net-1t1qg 2/2 Running 0 9d 192.168.2.10 worknode3
weave-net-231d7 2/2 Running 1 7d 10.2.0.17 worknodegpu
weave-net-7nmwt 2/2 Running 3 9d 192.168.2.131 masternode
weave-net-pmw8w 2/2 Running 0 9d 192.168.2.216 worknode2
위브넷 파드를 가진 각 노드와 모든 파드는 Running
이고 2/2 READY
이다(2/2
는 각 파드가 weave
와 weave-npc
를 가지고 있음을 뜻한다).
위브넷 애드온을 설치하고 나서, 쿠버네티스 네트워크 폴리시를 시도하기 위해 네트워크 폴리시 선언하기를 따라 할 수 있다. 질문이 있으면 슬랙 #weave-community 이나 Weave 유저그룹에 연락한다.
이 페이지는 클러스터 안에서 사용자의 DNS 파드(Pod) 를 설정하고 DNS 변환(DNS resolution) 절차를 사용자 정의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클러스터는 CoreDNS 애드온을 구동하고 있어야 한다.
CoreDNS로 이관하기
는 kubeadm
을 이용하여 kube-dns
로부터 이관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쿠버네티스 서버의 버전은 다음과 같거나 더 높아야 함. 버전: v1.12.
버전 확인을 위해서, 다음 커맨드를 실행 kubectl version
.
DNS는 애드온 관리자 인 클러스터 애드온을 사용하여 자동으로 시작되는 쿠버네티스 내장 서비스이다.
쿠버네티스 v1.12 부터, CoreDNS는 kube-dns를 대체하여 권장되는 DNS 서버이다. 만약 사용자의 클러스터가 원래 kube-dns를 사용하였을 경우,
CoreDNS 대신 kube-dns
를 계속 사용할 수도 있다.
metadata.name
필드에 kube-dns
로 이름이 지정된다.
이를 통해, 기존의 kube-dns
서비스 이름을 사용하여 클러스터 내부의 주소를 확인하는 워크로드에 대한 상호 운용성이 증가된다. kube-dns
로 서비스 이름을 사용하면, 해당 DNS 공급자가 어떤 공통 이름으로 실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구현 세부 정보를 추상화한다.
CoreDNS를 디플로이먼트(Deployment)로 실행하고 있을 경우, 일반적으로 고정 IP 주소를 갖는 쿠버네티스 서비스로 노출된다.
Kubelet 은 --cluster-dns=<dns-service-ip>
플래그를 사용하여 DNS 확인자 정보를 각 컨테이너에 전달한다.
DNS 이름에도 도메인이 필요하다. 사용자는 kubelet 에 있는 --cluster-domain=<default-local-domain>
플래그를
통하여 로컬 도메인을 설정할 수 있다.
DNS 서버는 정방향 조회(A 및 AAAA 레코드), 포트 조회(SRV 레코드), 역방향 IP 주소 조회(PTR 레코드) 등을 지원한다. 더 자세한 내용은 서비스 및 파드용 DNS를 참고한다.
만약 파드의 dnsPolicy
가 default
로 지정되어 있는 경우,
파드는 자신이 실행되는 노드의 이름 변환(name resolution) 구성을 상속한다.
파드의 DNS 변환도 노드와 동일하게 작동해야 한다.
그 외에는 알려진 이슈를 참고한다.
만약 위와 같은 방식을 원하지 않거나, 파드를 위해 다른 DNS 설정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kubelet 의 --resolv-conf
플래그를 사용할 수 있다.
파드가 DNS를 상속받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이 플래그를 ""로 설정한다.
DNS 상속을 위해 /etc/resolv.conf
이외의 파일을 지정할 경우 유효한 파일 경로를 설정한다.
CoreDNS는 dns 명세를 준수하며 클러스터 DNS 역할을 할 수 있는, 범용적인 권한을 갖는 DNS 서버이다.
CoreDNS는 모듈형이자 플러그인이 가능한 DNS 서버이며, 각 플러그인들은 CoreDNS에 새로운 기능을 부가한다. 이는 CoreDNS 구성 파일인 Corefile을 관리하여 구성할 수 있다. 클러스터 관리자는 CoreDNS Corefile에 대한 컨피그맵을 수정하여 해당 클러스터에 대한 DNS 서비스 검색 동작을 변경할 수 있다.
쿠버네티스에서 CoreDNS는 아래의 기본 Corefile 구성으로 설치된다.
apiVersion: v1
kind: ConfigMap
metadata:
name: coredns
namespace: kube-system
data:
Corefile: |
.:53 {
errors
health {
lameduck 5s
}
ready
kubernetes cluster.local in-addr.arpa ip6.arpa {
pods insecure
fallthrough in-addr.arpa ip6.arpa
ttl 30
}
prometheus :9153
forward . /etc/resolv.conf
cache 30
loop
reload
loadbalance
}
Corefile의 구성은 CoreDNS의 아래 플러그인을 포함한다.
http://localhost:8080/health
에 기록된다. 이 확장 구문에서 lameduck
은 프로세스를 비정상 상태(unhealthy)로 만들고, 프로세스가 종료되기 전에 5초 동안 기다린다.ttl
을 사용하면 응답에 대한 사용자 정의 TTL 을 지정할 수 있으며, 기본값은 5초이다. 허용되는 최소 TTL은 0초이며, 최대값은 3600초이다. 레코드가 캐싱되지 않도록 할 경우, TTL을 0으로 설정한다.
pods insecure
옵션은 kube-dns 와의 하위 호환성을 위해 제공된다. pods verified
옵션을 사용하여, 일치하는 IP의 동일 네임스페이스(Namespace)에 파드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A 레코드를 반환하게 할 수 있다. pods disabled
옵션은 파드 레코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사용된다.http://localhost:9153/metrics
에서 사용 가능하다.사용자는 컨피그맵을 변경하여 기본 CoreDNS 동작을 변경할 수 있다.
CoreDNS는 포워드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스텁 도메인 및 업스트림 네임서버를 구성할 수 있다.
만약 클러스터 운영자가 10.150.0.1 에 위치한 Consul 도메인 서버를 가지고 있고, 모든 Consul 이름의 접미사가 .consul.local 인 경우, CoreDNS에서 이를 구성하기 위해 클러스터 관리자는 CoreDNS 컨피그맵에서 다음 구문을 생성한다.
consul.local:53 {
errors
cache 30
forward . 10.150.0.1
}
모든 비 클러스터의 DNS 조회가 172.16.0.1 의 특정 네임서버를 통과하도록 할 경우, /etc/resolv.conf
대신 forward
를 네임서버로 지정한다.
forward . 172.16.0.1
기본 Corefile
구성에 따른 최종 컨피그맵은 다음과 같다.
apiVersion: v1
kind: ConfigMap
metadata:
name: coredns
namespace: kube-system
data:
Corefile: |
.:53 {
errors
health
kubernetes cluster.local in-addr.arpa ip6.arpa {
pods insecure
fallthrough in-addr.arpa ip6.arpa
}
prometheus :9153
forward . 172.16.0.1
cache 30
loop
reload
loadbalance
}
consul.local:53 {
errors
cache 30
forward . 10.150.0.1
}
Kubeadm
툴은 kube-dns 컨피그맵에서 동일한 설정의 CoreDNS 컨피그맵으로의
자동 변환을 지원한다.
CoreDNS는 kube-dns 이상의 기능을 지원한다.
StubDomains
과 upstreamNameservers
를 지원하도록 생성된 kube-dns의 컨피그맵은 CoreDNS의 forward
플러그인으로 변환된다.
kube-dns에 대한 이 컨피그맵 예제는 stubDomains 및 upstreamNameservers를 지정한다.
apiVersion: v1
data:
stubDomains: |
{"abc.com" : ["1.2.3.4"], "my.cluster.local" : ["2.3.4.5"]}
upstreamNameservers: |
["8.8.8.8", "8.8.4.4"]
kind: ConfigMap
CoreDNS에서는 동등한 설정으로 Corefile을 생성한다.
abc.com:53 {
errors
cache 30
forward . 1.2.3.4
}
my.cluster.local:53 {
errors
cache 30
forward . 2.3.4.5
}
기본 플러그인으로 구성된 완전한 Corefile.
.:53 {
errors
health
kubernetes cluster.local in-addr.arpa ip6.arpa {
pods insecure
fallthrough in-addr.arpa ip6.arpa
}
federation cluster.local {
foo foo.feddomain.com
}
prometheus :9153
forward . 8.8.8.8 8.8.4.4
cache 30
}
abc.com:53 {
errors
cache 30
forward . 1.2.3.4
}
my.cluster.local:53 {
errors
cache 30
forward . 2.3.4.5
}
kube-dns에서 CoreDNS로 이관하기 위하여, kube-dns를 CoreDNS로 교체하여 적용하는 방법에 대한 상세 정보는 블로그 기사를 참고한다.
또한 공식적인 CoreDNS 배포 스크립트를 사용하여 이관할 수도 있다.
Kubernetes v1.5 [alpha]
구글 컴퓨트 엔진(Google Compute Engine, 이하 GCE)의 kube-up
이나 kube-down
스크립트에 쿠버네티스 컨트롤 플레인 노드를 복제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스크립트들은 프로덕션 용도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으며, 프로젝트의 CI에서만 주로 사용된다.
이 문서는 kube-up/down 스크립트를 사용하여 고가용(HA) 컨트롤 플레인을 관리하는 방법과 GCE와 함께 사용하기 위해 HA 컨트롤 플레인을 구현하는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버전 확인을 위해서, 다음 커맨드를 실행kubectl version
.
새 HA 호환 클러스터를 생성하려면, kube-up
스크립트에 다음 플래그를 설정해야 한다.
MULTIZONE=true
- 서버의 기본 영역(zone)과 다른 영역에서 컨트롤 플레인 kubelet이 제거되지 않도록 한다.
여러 영역에서 컨트롤 플레인 노드를 실행(권장됨)하려는 경우에 필요하다.
ENABLE_ETCD_QUORUM_READ=true
- 모든 API 서버에서 읽은 내용이 최신 데이터를 반환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true인 경우, Etcd의 리더 복제본에서 읽는다.
이 값을 true로 설정하는 것은 선택 사항이다. 읽기는 더 안정적이지만 느리게 된다.
선택적으로, 첫 번째 컨트롤 플레인 노드가 생성될 GCE 영역을 지정할 수 있다. 다음 플래그를 설정한다.
KUBE_GCE_ZONE=zone
- 첫 번째 컨트롤 플레인 노드가 실행될 영역.다음 샘플 커맨드는 europe-west1-b GCE 영역에 HA 호환 클러스터를 구성한다.
MULTIZONE=true KUBE_GCE_ZONE=europe-west1-b ENABLE_ETCD_QUORUM_READS=true ./cluster/kube-up.sh
위의 커맨드는 하나의 컨트롤 플레인 노드를 포함하는 클러스터를 생성한다. 그러나 후속 커맨드로 새 컨트롤 플레인 노드를 추가할 수 있다.
HA 호환 클러스터를 생성했다면, 여기에 컨트롤 플레인 노드를 추가할 수 있다.
kube-up
스크립트에 다음 플래그를 사용하여 컨트롤 플레인 노드를 추가한다.
KUBE_REPLICATE_EXISTING_MASTER=true
- 기존 컨트롤 플레인 노드의 복제본을
만든다.
KUBE_GCE_ZONE=zone
- 컨트롤 플레인 노드가 실행될 영역.
반드시 다른 컨트롤 플레인 노드가 존재하는 영역과 동일한 지역(region)에 있어야 한다.
HA 호환 클러스터를 시작할 때, 상속되는 MULTIZONE
이나 ENABLE_ETCD_QUORUM_READS
플래그를 따로
설정할 필요는 없다.
다음 샘플 커맨드는 기존 HA 호환 클러스터에서 컨트롤 플레인 노드를 복제한다.
KUBE_GCE_ZONE=europe-west1-c KUBE_REPLICATE_EXISTING_MASTER=true ./cluster/kube-up.sh
다음 플래그가 있는 kube-down
스크립트를 사용하여 HA 클러스터에서 컨트롤 플레인 노드를 제거할 수 있다.
KUBE_DELETE_NODES=false
- kubelet을 삭제하지 않기 위한 것이다.
KUBE_GCE_ZONE=zone
- 컨트롤 플레인 노드가 제거될 영역.
KUBE_REPLICA_NAME=replica_name
- (선택) 제거할 컨트롤 플레인 노드의 이름.
명시하지 않으면, 해당 영역의 모든 복제본이 제거된다.
다음 샘플 커맨드는 기존 HA 클러스터에서 컨트롤 플레인 노드를 제거한다.
KUBE_DELETE_NODES=false KUBE_GCE_ZONE=europe-west1-c ./cluster/kube-down.sh
HA 클러스터의 컨트롤 플레인 노드 중 하나가 동작에 실패하면, 클러스터에서 해당 노드를 제거하고 동일한 영역에 새 컨트롤 플레인 노드를 추가하는 것이 가장 좋다. 다음 샘플 커맨드로 이 과정을 시연한다.
KUBE_DELETE_NODES=false KUBE_GCE_ZONE=replica_zone KUBE_REPLICA_NAME=replica_name ./cluster/kube-down.sh
KUBE_GCE_ZONE=replica-zone KUBE_REPLICATE_EXISTING_MASTER=true ./cluster/kube-up.sh
다른 영역에 컨트롤 플레인 노드를 배치하도록 한다. 한 영역이 동작에 실패하는 동안, 해당 영역에 있는 컨트롤 플레인 노드도 모두 동작에 실패할 것이다. 영역 장애를 극복하기 위해 노드를 여러 영역에 배치한다 (더 자세한 내용은 멀티 영역를 참조한다).
두 개의 노드로 구성된 컨트롤 플레인은 사용하지 않는다. 두 개의 노드로 구성된 컨트롤 플레인에서의 합의를 위해서는 지속적 상태(persistent state) 변경 시 두 컨트롤 플레인 노드가 모두 정상적으로 동작 중이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두 컨트롤 플레인 노드 모두 필요하고, 둘 중 한 컨트롤 플레인 노드에만 장애가 발생해도 클러스터의 심각한 장애 상태를 초래한다. 따라서 HA 관점에서는 두 개의 노드로 구성된 컨트롤 플레인은 단일 노드로 구성된 컨트롤 플레인보다도 못하다.
컨트롤 플레인 노드를 추가하면, 클러스터의 상태(Etcd)도 새 인스턴스로 복사된다. 클러스터가 크면, 이 상태를 복제하는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 이 작업은 etcd 관리 가이드에 기술한 대로 Etcd 데이터 디렉터리를 마이그레이션하여 속도를 높일 수 있다. (향후에 Etcd 데이터 디렉터리 마이그레이션 지원 추가를 고려 중이다)
각 컨트롤 플레인 노드는 다음 모드에서 다음 구성 요소를 실행한다.
Etcd 인스턴스: 모든 인스턴스는 합의를 사용하여 함께 클러스터화 한다.
API 서버: 각 서버는 내부 Etcd와 통신한다. 클러스터의 모든 API 서버가 가용하게 된다.
컨트롤러, 스케줄러, 클러스터 오토스케일러: 임대 방식을 이용한다. 각 인스턴스 중 하나만이 클러스터에서 활성화된다.
애드온 매니저: 각 매니저는 애드온의 동기화를 유지하려고 독립적으로 작업한다.
또한 API 서버 앞단에 외부/내부 트래픽을 라우팅하는 로드 밸런서가 있을 것이다.
두 번째 컨트롤 플레인 노드를 배치할 때, 두 개의 복제본에 대한 로드 밸런서가 생성될 것이고, 첫 번째 복제본의 IP 주소가 로드 밸런서의 IP 주소로 승격된다. 비슷하게 끝에서 두 번째의 컨트롤 플레인 노드를 제거한 후에는 로드 밸런서가 제거되고 해당 IP 주소는 마지막으로 남은 복제본에 할당된다. 로드 밸런서 생성 및 제거는 복잡한 작업이며, 이를 전파하는 데 시간(~20분)이 걸릴 수 있다.
쿠버네티스 서비스에서 최신의 쿠버네티스 API 서버 목록을 유지하는 대신, 시스템은 모든 트래픽을 외부 IP 주소로 보낸다.
단일 노드 컨트롤 플레인의 경우, IP 주소는 단일 컨트롤 플레인 노드를 가리킨다.
고가용성 컨트롤 플레인의 경우, IP 주소는 컨트롤 플레인 노드 앞의 로드밸런서를 가리킨다.
마찬가지로 Kubelet은 외부 IP 주소를 사용하여 컨트롤 플레인과 통신한다.
쿠버네티스는 각 컨트롤 플레인 노드의 외부 퍼블릭 IP 주소와 내부 IP 주소를 대상으로 TLS 인증서를 발급한다. 컨트롤 플레인 노드의 임시 퍼블릭 IP 주소에 대한 인증서는 없다. 임시 퍼블릭 IP 주소를 통해 컨트롤 플레인 노드에 접근하려면, TLS 검증을 건너뛰어야 한다.
etcd를 클러스터로 구축하려면, etcd 인스턴스간 통신에 필요한 포트를 열어야 한다(클러스터 내부 통신용). 이러한 배포를 안전하게 하기 위해, etcd 인스턴스간의 통신은 SSL을 이용하여 승인한다.
Kubernetes v1.20 [alpha]
API 서버 식별 기능은
기능 게이트에
의해 제어되며 기본적으로 활성화되지 않는다.
API 서버
시작 시 APIServerIdentity
라는 기능 게이트를 활성화하여 API 서버 신원을 활성화할 수 있다.
kube-apiserver \
--feature-gates=APIServerIdentity=true \
# …다른 플래그는 평소와 같다.
부트스트랩 중에 각 kube-apiserver는 고유한 ID를 자신에게 할당한다. ID는
kube-apiserver-{UUID}
형식이다. 각 kube-apiserver는
kube-system 네임스페이스에
임대를 생성한다.
임대 이름은 kube-apiserver의 고유 ID이다. 임대에는
k8s.io/component=kube-apiserver
라는 레이블이 있다. 각 kube-apiserver는
IdentityLeaseRenewIntervalSeconds
(기본값은 10초)마다 임대를 새로 갱신한다. 각
kube-apiserver는 IdentityLeaseDurationSeconds
(기본값은 3600초)마다
모든 kube-apiserver 식별 ID 임대를 확인하고,
IdentityLeaseDurationSeconds
이상 갱신되지 않은 임대를 삭제한다.
IdentityLeaseRenewIntervalSeconds
및 IdentityLeaseDurationSeconds
는
kube-apiserver 플래그 identity-lease-renew-interval-seconds
및 identity-lease-duration-seconds
로 구성된다.
이 기능을 활성화하는 것은 HA API 서버 조정과 관련된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전제조건이다(예: StorageVersionAPI
기능 게이트).
이 페이지는 특별한 요구사항이 없는 퍼시스턴트볼륨클레임(PersistentVolumeClaim)의 볼륨을 프로비저닝 하는데 사용되는 기본 스토리지 클래스를 변경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버전 확인을 위해서, 다음 커맨드를 실행kubectl version
.
설치 방법에 따라, 사용자의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는 기본으로 표시된 기존 스토리지클래스와 함께 배포될 수 있다. 이 기본 스토리지클래스는 특정 스토리지 클래스가 필요하지 않은 퍼시스턴트볼륨클레임에 대해 스토리지를 동적으로 프로비저닝 하기 위해 사용된다. 더 자세한 내용은 퍼시스턴트볼륨클레임 문서를 보자.
미리 설치된 기본 스토리지클래스가 사용자의 예상되는 워크로드에 적합하지 않을수도 있다. 예를 들어, 너무 가격이 높은 스토리지를 프로비저닝 해야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에, 기본 스토리지 클래스를 변경하거나 완전히 비활성화 하여 스토리지의 동적 프로비저닝을 방지할 수 있다.
기본 스토리지클래스를 삭제하는 경우, 사용자의 클러스터에서 구동 중인 애드온 매니저에 의해 자동으로 다시 생성될 수 있으므로 정상적으로 삭제가 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애드온 관리자 및 개별 애드온을 비활성화 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설치 문서를 참조하자.
사용자의 클러스터에 있는 스토리지클래스 목록을 조회한다.
kubectl get storageclass
결과는 아래와 유사하다.
NAME PROVISIONER AGE
standard (default) kubernetes.io/gce-pd 1d
gold kubernetes.io/gce-pd 1d
기본 스토리지클래스는 (default)
로 표시되어 있다.
기본 스토리지클래스를 기본값이 아닌 것으로 표시한다.
기본 스토리지클래스에는
storageclass.kubernetes.io/is-default-class
의 값이 true
로 설정되어 있다.
다른 값이거나 어노테이션이 없을 경우 false
로 처리된다.
스토리지클래스를 기본값이 아닌 것으로 표시하려면, 그 값을 false
로 변경해야 한다.
kubectl patch storageclass standard -p '{"metadata": {"annotations":{"storageclass.kubernetes.io/is-default-class":"false"}}}'
여기서 standard
는 사용자가 선택한 스토리지클래스의 이름이다.
스토리지클래스를 기본값으로 표시한다.
이전 과정과 유사하게, 어노테이션을 추가/설정해야 한다.
storageclass.kubernetes.io/is-default-class=true
.
kubectl patch storageclass gold -p '{"metadata": {"annotations":{"storageclass.kubernetes.io/is-default-class":"true"}}}'
최대 1개의 스토리지클래스를 기본값으로 표시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두자. 만약
2개 이상이 기본값으로 표시되면, 명시적으로 storageClassName
가 지정되지 않은 PersistentVolumeClaim
은 생성될 수 없다.
사용자가 선택한 스토리지클래스가 기본값으로 되어있는지 확인한다.
kubectl get storageclass
결과는 아래와 유사하다.
NAME PROVISIONER AGE
standard kubernetes.io/gce-pd 1d
gold (default) kubernetes.io/gce-pd 1d
이 문서는 사용자가 쿠버네티스 네트워크폴리시 API를 사용하여 파드(Pod)가 서로 통신하는 방법을 제어하는 네트워크 폴리시를 선언하는데 도움을 준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쿠버네티스 서버의 버전은 다음과 같거나 더 높아야 함. 버전: v1.8. 버전 확인을 위해서, 다음 커맨드를 실행kubectl version
.
네트워크 폴리시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제공자를 구성하였는지 확인해야 한다. 다음과 같이 네트워크폴리시를 지원하는 많은 네트워크 제공자들이 있다.
nginx
디플로이먼트(Deployment)를 생성하고 서비스(Service)를 통해 노출하기쿠버네티스 네트워크 폴리시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nginx
디플로이먼트를 생성한다.
kubectl create deployment nginx --image=nginx
deployment.apps/nginx created
nginx
라는 이름의 서비스를 통해 디플로이먼트를 노출한다.
kubectl expose deployment nginx --port=80
service/nginx exposed
위 명령어들은 nginx 파드에 대한 디플로이먼트를 생성하고, nginx
라는 이름의 서비스를 통해 디플로이먼트를 노출한다. nginx
파드와 디플로이먼트는 default
네임스페이스(namespace)에 존재한다.
kubectl get svc,pod
NAME CLUSTER-IP EXTERNAL-IP PORT(S) AGE
service/kubernetes 10.100.0.1 <none> 443/TCP 46m
service/nginx 10.100.0.16 <none> 80/TCP 33s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pod/nginx-701339712-e0qfq 1/1 Running 0 35s
사용자는 다른 파드에서 새 nginx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default
네임스페이스에 있는 다른 파드에서 nginx
서비스에 접근하기 위하여, busybox 컨테이너를 생성한다.
kubectl run busybox --rm -ti --image=busybox -- /bin/sh
사용자 쉘에서, 다음의 명령을 실행한다.
wget --spider --timeout=1 nginx
Connecting to nginx (10.100.0.16:80)
remote file exists
nginx
서비스에 대해 접근 제한하기access: true
레이블을 가지고 있는 파드만 nginx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네트워크폴리시 오브젝트를 생성한다.
apiVersion: networking.k8s.io/v1
kind: NetworkPolicy
metadata:
name: access-nginx
spec:
podSelector:
matchLabels:
app: nginx
ingress:
- from:
- podSelector:
matchLabels:
access: "true"
네트워크폴리시 오브젝트의 이름은 유효한 DNS 서브도메인 이름이어야 한다.
podSelector
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이 정책이 app=nginx
레이블을 갖는 파드를 선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레이블은 nginx
디플로이먼트에 있는 파드에 자동으로 추가된다. 빈 podSelector
는 네임스페이스의 모든 파드를 선택한다.
kubectl을 사용하여 위 nginx-policy.yaml
파일로부터 네트워크폴리시를 생성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service/networking/nginx-policy.yaml
networkpolicy.networking.k8s.io/access-nginx created
올바른 레이블이 없는 파드에서 nginx
서비스에 접근하려 할 경우, 요청 타임 아웃이 발생한다.
kubectl run busybox --rm -ti --image=busybox -- /bin/sh
사용자 쉘에서, 다음의 명령을 실행한다.
wget --spider --timeout=1 nginx
Connecting to nginx (10.100.0.16:80)
wget: download timed out
사용자는 요청이 허용되도록 하기 위하여 올바른 레이블을 갖는 파드를 생성한다.
kubectl run busybox --rm -ti --labels="access=true" --image=busybox -- /bin/sh
사용자 쉘에서, 다음의 명령을 실행한다.
wget --spider --timeout=1 nginx
Connecting to nginx (10.100.0.16:80)
remote file exists
이 페이지는 노드의 확장 리소스를 지정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확장 리소스를 통해 클러스터 관리자는 쿠버네티스에게 알려지지 않은 노드-레벨 리소스를 알릴 수 있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버전 확인을 위해서, 다음 커맨드를 실행kubectl version
.
kubectl get nodes
이 연습에 사용할 노드 중 하나를 선택한다.
노드에서 새로운 확장 리소스를 알리려면, 쿠버네티스 API 서버에 HTTP PATCH 요청을 보낸다. 예를 들어, 노드 중 하나에 4개의 동글(dongle)이 있다고 가정한다. 다음은 노드에 4개의 동글 리소스를 알리는 PATCH 요청의 예이다.
PATCH /api/v1/nodes/<your-node-name>/status HTTP/1.1
Accept: application/json
Content-Type: application/json-patch+json
Host: k8s-master:8080
[
{
"op": "add",
"path": "/status/capacity/example.com~1dongle",
"value": "4"
}
]
참고로 쿠버네티스는 동글이 무엇인지 또는 동글이 무엇을 위한 것인지 알 필요가 없다. 위의 PATCH 요청은 노드에 동글이라고 하는 네 가지 항목이 있음을 쿠버네티스에 알려준다.
쿠버네티스 API 서버에 요청을 쉽게 보낼 수 있도록 프록시를 시작한다.
kubectl proxy
다른 명령 창에서 HTTP PATCH 요청을 보낸다.
<your-node-name>
을 노드의 이름으로 바꾼다.
curl --header "Content-Type: application/json-patch+json" \
--request PATCH \
--data '[{"op": "add", "path": "/status/capacity/example.com~1dongle", "value": "4"}]' \
http://localhost:8001/api/v1/nodes/<your-node-name>/status
~1
은 패치 경로의 / 문자에 대한
인코딩이다. JSON-Patch의 작업 경로값은 JSON-Pointer로
해석된다. 자세한 내용은 IETF RFC 6901의
섹션 3을 참고한다.
출력은 노드가 4개의 동글 용량을 가졌음을 나타낸다.
"capacity": {
"cpu": "2",
"memory": "2049008Ki",
"example.com/dongle": "4",
노드의 정보를 확인한다.
kubectl describe node <your-node-name>
다시 한 번, 출력에 동글 리소스가 표시된다.
Capacity:
cpu: 2
memory: 2049008Ki
example.com/dongle: 4
이제,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는 특정 개수의 동글을 요청하는 파드를 만들 수 있다. 컨테이너에 확장 리소스 할당하기를 참고한다.
확장 리소스는 메모리 및 CPU 리소스와 비슷하다. 예를 들어, 노드에서 실행 중인 모든 컴포넌트가 공유할 특정 양의 메모리와 CPU가 노드에 있는 것처럼, 노드에서 실행 중인 모든 컴포넌트가 특정 동글을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개발자가 특정 양의 메모리와 CPU를 요청하는 파드를 생성할 수 있는 것처럼, 특정 동글을 요청하는 파드를 생성할 수 있다.
확장 리소스는 쿠버네티스에게 불투명하다. 쿠버네티스는 그것들이 무엇인지 전혀 모른다. 쿠버네티스는 노드에 특정 개수의 노드만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확장 리소스는 정수로 알려야 한다. 예를 들어, 노드는 4.5개의 동글이 아닌, 4개의 동글을 알릴 수 있다.
노드에 800GiB의 특별한 종류의 디스크 스토리지가 있다고 가정한다. example.com/special-storage와 같은 특별한 스토리지의 이름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런 다음 특정 크기, 100GiB의 청크로 알릴 수 있다. 이 경우, 노드에는 example.com/special-storage 유형의 8가지 리소스가 있다고 알린다.
Capacity:
...
example.com/special-storage: 8
이 특별한 스토리지에 대한 임의 요청을 허용하려면, 1바이트 크기의 청크로 특별한 스토리지를 알릴 수 있다. 이 경우, example.com/special-storage 유형의 800Gi 리소스를 알린다.
Capacity:
...
example.com/special-storage: 800Gi
그런 다음 컨테이너는 최대 800Gi의 임의 바이트 수의 특별한 스토리지를 요청할 수 있다.
다음은 노드에서 동글 알림을 제거하는 PATCH 요청이다.
PATCH /api/v1/nodes/<your-node-name>/status HTTP/1.1
Accept: application/json
Content-Type: application/json-patch+json
Host: k8s-master:8080
[
{
"op": "remove",
"path": "/status/capacity/example.com~1dongle",
}
]
쿠버네티스 API 서버에 요청을 쉽게 보낼 수 있도록 프록시를 시작한다.
kubectl proxy
다른 명령 창에서 HTTP PATCH 요청을 보낸다.
<your-node-name>
을 노드의 이름으로 바꾼다.
curl --header "Content-Type: application/json-patch+json" \
--request PATCH \
--data '[{"op": "remove", "path": "/status/capacity/example.com~1dongle"}]' \
http://localhost:8001/api/v1/nodes/<your-node-name>/status
동글 알림이 제거되었는지 확인한다.
kubectl describe node <your-node-name> | grep dongle
(출력이 보이지 않아야 함)
이 페이지는 CoreDNS 업그레이드 프로세스와 kube-dns 대신 CoreDNS를 설치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쿠버네티스 서버의 버전은 다음과 같거나 더 높아야 함. 버전: v1.9. 버전 확인을 위해서, 다음 커맨드를 실행kubectl version
.
CoreDNS는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의 DNS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유연하고 확장 가능한 DNS 서버이다. 쿠버네티스와 동일하게, CoreDNS 프로젝트도 CNCF가 관리한다.
사용자는 기존 디플로이먼트인 kube-dns를 교체하거나, 클러스터를 배포하고 업그레이드하는 kubeadm과 같은 툴을 사용하여 클러스터 안의 kube-dns 대신 CoreDNS를 사용할 수 있다.
Kube-dns의 배포나 교체에 관한 매뉴얼은 CoreDNS GitHub 프로젝트에 있는 문서를 확인하자.
쿠버네티스 버전 1.10 이상에서, kube-dns
를 사용하는 클러스터를 업그레이드하기 위하여
kubeadm
을 사용할 때 CoreDNS로 전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kubeadm
은
kube-dns
컨피그맵(ConfigMap)을 기반으로 스텁 도메인(stub domain), 업스트림 네임 서버의
설정을 유지하며 CoreDNS 설정("Corefile")을 생성한다.
만약 kube-dns에서 CoreDNS로 이동하는 경우, 업그레이드 과정에서 기능 게이트의 CoreDNS
값을 true
로 설정해야 한다.
예를 들어, v1.11.0
로 업그레이드 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kubeadm upgrade apply v1.11.0 --feature-gates=CoreDNS=true
쿠버네티스 1.13 이상에서 기능 게이트의 CoreDNS
항목은 제거되었으며, CoreDNS가 기본적으로 사용된다.
1.11 미만 버전일 경우 업그레이드 과정에서 만들어진 파일이 Corefile을 덮어쓴다. 만약 컨피그맵을 사용자 정의한 경우, 기존의 컨피그맵을 저장해야 한다. 새 컨피그맵이 시작된 후에 변경 사항을 다시 적용해야 할 수도 있다.
만약 쿠버네티스 1.11 이상 버전에서 CoreDNS를 사용하는 경우, 업그레이드 과정에서, 기존의 Corefile이 유지된다.
쿠버네티스 버전 1.21에서, kubeadm 의 kube-dns
지원 기능이 삭제되었다.
CoreDNS는 쿠버네티스 1.9 버전부터 사용할 수 있다. 쿠버네티스와 함께 제공되는 CoreDNS의 버전과 CoreDNS의 변경 사항은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CoreDNS는 사용자 정의 이미지를 사용하거나 CoreDNS만 업그레이드 하려는 경우에 수동으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업그레이드를 원활하게 수행하는 데 유용한 가이드라인 및 연습을 참고하자.
리소스 활용이 중요한 경우, CoreDNS 구성을 조정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더 자세한 내용은 CoreDNS 스케일링에 대한 설명서를 확인하자.
Corefile
을 수정하여 kube-dns 보다 더 많은 유스케이스를 지원하도록
CoreDNS를 구성할 수 있다.
더 자세한 내용은 CoreDNS 웹사이트을 확인하자.
API 서버, 스케줄러 및 컨트롤러 매니저와 같은 쿠버네티스 주요 컴포넌트들은 컨트롤 플레인 노드에서 동작한다. 반면, 애드온들은 일반 클러스터 노드에서 동작한다. 이러한 애드온들 중 일부(예: 메트릭 서버, DNS, UI)는 클러스터 전부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데 필수적일 수 있다. 만약, 필수 애드온이 축출되고(수동 축출, 혹은 업그레이드와 같은 동작으로 인한 의도하지 않은 축출) pending 상태가 된다면, 클러스터가 더 이상 제대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사용률이 매우 높은 클러스터에서 해당 애드온이 축출되자마자 다른 대기중인 파드가 스케줄링되거나 다른 이유로 노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자원량이 줄어들어 pending 상태가 발생할 수 있다)
유의할 점은, 파드를 중요(critical)로 표시하는 것은 축출을 완전히 방지하기 위함이 아니다. 이것은 단지 파드가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것만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중요로 표시한 스태틱(static) 파드는 축출될 수 없다. 반면, 중요로 표시한 일반적인(non-static) 파드의 경우 항상 다시 스케줄링된다.
파드를 중요로 표시하기 위해서는, 해당 파드에 대해 priorityClassName을 system-cluster-critical
이나 system-node-critical
로 설정한다. system-node-critical
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며, 심지어 system-cluster-critical
보다도 우선 순위가 높다.
이 페이지는 클러스터 컨트롤 플레인의 특정한 API 버전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API 서버에 --runtime-config=api/<version>
커맨드 라인 인자를 사용함으로서 특정한 API 버전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할 수 있다. 이 인자에 대한 값으로는 콤마로 구분된 API 버전의 목록을 사용한다.
뒤쪽에 위치한 값은 앞쪽의 값보다 우선적으로 사용된다.
이 runtime-config
커맨드 라인 인자에는 다음의 두 개의 특수 키를 사용할 수도 있다.
api/all
: 사용할 수 있는 모든 API를 선택한다.api/legacy
: 레거시 API만을 선택한다. 여기서 레거시 API란 명시적으로
사용이 중단된 모든 API를 가리킨다.예를 들어서, v1을 제외한 모든 API 버전을 비활성화하기 위해서는 kube-apiserver
에
--runtime-config=api/all=false,api/v1=true
인자를 사용한다.
kube-apiserver
컴포넌트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문서
를 참고한다.
이 페이지는 쿠버네티스 API를 사용하여 클러스터에 접근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버전 확인을 위해서, 다음 커맨드를 실행kubectl version
.
쿠버네티스 API에 처음 접근하는 경우, 쿠버네티스
커맨드 라인 도구인 kubectl
을 사용한다.
클러스터에 접근하려면, 클러스터 위치를 알고 접근할 수 있는 자격 증명이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시작하기 가이드를 통해 작업하거나, 다른 사람이 클러스터를 설정하고 자격 증명과 위치를 제공할 때 자동으로 설정된다.
다음의 명령으로 kubectl이 알고 있는 위치와 자격 증명을 확인한다.
kubectl config view
많은 예제는 kubectl 사용에 대한 소개를 제공한다. 전체 문서는 kubectl 매뉴얼에 있다.
kubectl은 API 서버 찾기와 인증을 처리한다. curl
이나 wget
과 같은 http 클라이언트 또는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REST API에
직접 접근하려는 경우, API 서버를 찾고 인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Go 또는 Python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프록시 모드에서 kubectl에 접근할 수 있다.
다음 명령은 kubectl을 리버스 프록시로 작동하는 모드에서 실행한다. API 서버 찾기와 인증을 처리한다.
다음과 같이 실행한다.
kubectl proxy --port=8080 &
자세한 내용은 kubectl 프록시를 참고한다.
그런 다음 curl, wget 또는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API를 탐색할 수 있다.
curl http://localhost:8080/api/
출력은 다음과 비슷하다.
{
"versions": [
"v1"
],
"serverAddressByClientCIDRs": [
{
"clientCIDR": "0.0.0.0/0",
"serverAddress": "10.0.1.149:443"
}
]
}
다음과 같이 인증 토큰을 API 서버에 직접 전달하여 kubectl 프록시 사용을 피할 수 있다.
grep/cut
방식을 사용한다.
# .KUBECONFIG에 여러 콘텍스트가 있을 수 있으므로, 가능한 모든 클러스터를 확인한다.
kubectl config view -o jsonpath='{"Cluster name\tServer\n"}{range .clusters[*]}{.name}{"\t"}{.cluster.server}{"\n"}{end}'
# 위의 출력에서 상호 작용하려는 클러스터의 이름을 선택한다.
export CLUSTER_NAME="some_server_name"
# 클러스터 이름을 참조하는 API 서버를 가리킨다.
APISERVER=$(kubectl config view -o jsonpath="{.clusters[?(@.name==\"$CLUSTER_NAME\")].cluster.server}")
# 토큰 값을 얻는다
TOKEN=$(kubectl get secrets -o jsonpath="{.items[?(@.metadata.annotations['kubernetes\.io/service-account\.name']=='default')].data.token}"|base64 --decode)
# TOKEN으로 API 탐색
curl -X GET $APISERVER/api --header "Authorization: Bearer $TOKEN" --insecure
출력은 다음과 비슷하다.
{
"kind": "APIVersions",
"versions": [
"v1"
],
"serverAddressByClientCIDRs": [
{
"clientCIDR": "0.0.0.0/0",
"serverAddress": "10.0.1.149:443"
}
]
}
jsonpath
방식을 사용한다.
APISERVER=$(kubectl config view --minify -o jsonpath='{.clusters[0].cluster.server}')
TOKEN=$(kubectl get secret $(kubectl get serviceaccount default -o jsonpath='{.secrets[0].name}') -o jsonpath='{.data.token}' | base64 --decode )
curl $APISERVER/api --header "Authorization: Bearer $TOKEN" --insecure
{
"kind": "APIVersions",
"versions": [
"v1"
],
"serverAddressByClientCIDRs": [
{
"clientCIDR": "0.0.0.0/0",
"serverAddress": "10.0.1.149:443"
}
]
}
위의 예는 --insecure
플래그를 사용한다. 이로 인해 MITM 공격이
발생할 수 있다. kubectl이 클러스터에 접근하면 저장된 루트 인증서와
클라이언트 인증서를 사용하여 서버에 접근한다. (~/.kube
디렉터리에
설치된다.) 클러스터 인증서는 일반적으로 자체 서명되므로,
http 클라이언트가 루트 인증서를 사용하도록 하려면 특별한 구성이
필요할 수 있다.
일부 클러스터에서, API 서버는 인증이 필요하지 않다. 로컬 호스트에서 제공되거나, 방화벽으로 보호될 수 있다. 이에 대한 표준은 없다. 쿠버네티스 API에 대한 접근 제어은 클러스터 관리자로서 이를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향후 고 가용성 지원과 충돌할 수 있다.
쿠버네티스는 공식적으로 Go, Python, Java, dotnet, Javascript 및 Haskell 용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를 지원한다. 쿠버네티스 팀이 아닌 작성자가 제공하고 유지 관리하는 다른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가 있다. 다른 언어에서 API에 접근하고 인증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를 참고한다.
go get k8s.io/client-go@kubernetes-<kubernetes-version-number>
어떤 버전이 지원되는지를 확인하려면 https://github.com/kubernetes/client-go/releases를 참고한다.import "k8s.io/client-go/kubernetes"
가 맞다.
Go 클라이언트는 kubectl CLI가 API 서버를 찾아 인증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kubeconfig 파일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예제를 참고한다.
package main
import (
"context"
"fmt"
"k8s.io/apimachinery/pkg/apis/meta/v1"
"k8s.io/client-go/kubernetes"
"k8s.io/client-go/tools/clientcmd"
)
func main() {
// kubeconfig에서 현재 콘텍스트를 사용한다
// path-to-kubeconfig -- 예를 들어, /root/.kube/config
config, _ := clientcmd.BuildConfigFromFlags("", "<path-to-kubeconfig>")
// clientset을 생성한다
clientset, _ := kubernetes.NewForConfig(config)
// 파드를 나열하기 위해 API에 접근한다
pods, _ := clientset.CoreV1().Pods("").List(context.TODO(), v1.ListOptions{})
fmt.Printf("There are %d pods in the cluster\n", len(pods.Items))
}
애플리케이션이 클러스터 내의 파드로 배치된 경우, 파드 내에서 API 접근을 참고한다.
Python 클라이언트를 사용하려면, 다음 명령을 실행한다. pip install kubernetes
추가 설치 옵션은 Python Client Library 페이지를 참고한다.
Python 클라이언트는 kubectl CLI가 API 서버를 찾아 인증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kubeconfig 파일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예제를 참고한다.
from kubernetes import client, config
config.load_kube_config()
v1=client.CoreV1Api()
print("Listing pods with their IPs:")
ret = v1.list_pod_for_all_namespaces(watch=False)
for i in ret.items:
print("%s\t%s\t%s" % (i.status.pod_ip, i.metadata.namespace, i.metadata.name))
Java 클라이언트를 설치하려면, 다음을 실행한다.
# java 라이브러리를 클론한다
git clone --recursive https://github.com/kubernetes-client/java
# 프로젝트 아티팩트, POM 등을 설치한다
cd java
mvn install
어떤 버전이 지원되는지를 확인하려면 https://github.com/kubernetes-client/java/releases를 참고한다.
Java 클라이언트는 kubectl CLI가 API 서버를 찾아 인증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kubeconfig 파일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예제를 참고한다.
package io.kubernetes.client.examples;
import io.kubernetes.client.ApiClient;
import io.kubernetes.client.ApiException;
import io.kubernetes.client.Configuration;
import io.kubernetes.client.apis.CoreV1Api;
import io.kubernetes.client.models.V1Pod;
import io.kubernetes.client.models.V1PodList;
import io.kubernetes.client.util.ClientBuilder;
import io.kubernetes.client.util.KubeConfig;
import java.io.File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
*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외부의 애플리케이션에서 Java API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간단한 예
*
* <p>이것을 실행하는 가장 쉬운 방법: mvn exec:java
* -Dexec.mainClass="io.kubernetes.client.examples.KubeConfigFileClientExample"
*
*/
public class KubeConfigFileClient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ApiException {
// KubeConfig의 파일 경로
String kubeConfigPath = "~/.kube/config";
// 파일시스템에서 클러스터 외부 구성인 kubeconfig 로드
ApiClient client =
ClientBuilder.kubeconfig(KubeConfig.loadKubeConfig(new FileReader(kubeConfigPath))).build();
// 전역 디폴트 api-client를 위에서 정의한 클러스터 내 클라이언트로 설정
Configuration.setDefaultApiClient(client);
// CoreV1Api는 전역 구성에서 디폴트 api-client를 로드
CoreV1Api api = new CoreV1Api();
// CoreV1Api 클라이언트를 호출한다
V1PodList list = api.listPodForAllNamespaces(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System.out.println("Listing all pods: ");
for (V1Pod item : list.getItems()) {
System.out.println(item.getMetadata().getName());
}
}
}
dotnet 클라이언트를 사용하려면, 다음 명령을 실행한다. dotnet add package KubernetesClient --version 1.6.1
추가 설치 옵션은 dotnet Client Library 페이지를 참고한다. 어떤 버전이 지원되는지를 확인하려면 https://github.com/kubernetes-client/csharp/releases를 참고한다.
dotnet 클라이언트는 kubectl CLI가 API 서버를 찾아 인증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kubeconfig 파일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예제를 참고한다.
using System;
using k8s;
namespace simple
{
internal class PodList
{
private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var config = KubernetesClientConfiguration.BuildDefaultConfig();
IKubernetes client = new Kubernetes(config);
Console.WriteLine("Starting Request!");
var list = client.ListNamespacedPod("default");
foreach (var item in list.Items)
{
Console.WriteLine(item.Metadata.Name);
}
if (list.Items.Count == 0)
{
Console.WriteLine("Empty!");
}
}
}
}
JavaScript 클라이언트를 설치하려면, 다음 명령을 실행한다. npm install @kubernetes/client-node
어떤 버전이 지원되는지를 확인하려면 https://github.com/kubernetes-client/javascript/releases를 참고한다.
JavaScript 클라이언트는 kubectl CLI가 API 서버를 찾아 인증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kubeconfig 파일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예제를 참고한다.
const k8s = require('@kubernetes/client-node');
const kc = new k8s.KubeConfig();
kc.loadFromDefault();
const k8sApi = kc.makeApiClient(k8s.CoreV1Api);
k8sApi.listNamespacedPod('default').then((res) => {
console.log(res.body);
});
어떤 버전이 지원되는지를 확인하려면 https://github.com/kubernetes-client/haskell/releases를 참고한다.
Haskell 클라이언트는 kubectl CLI가 API 서버를 찾아 인증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kubeconfig 파일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예제를 참고한다.
exampleWithKubeConfig :: IO ()
exampleWithKubeConfig = do
oidcCache <- atomically $ newTVar $ Map.fromList []
(mgr, kcfg) <- mkKubeClientConfig oidcCache $ KubeConfigFile "/path/to/kubeconfig"
dispatchMime
mgr
kcfg
(CoreV1.listPodForAllNamespaces (Accept MimeJSON))
>>= print
이 페이지는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서 실행되는 서비스에 연결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버전 확인을 위해서, 다음 커맨드를 실행kubectl version
.
쿠버네티스에서, 노드, 파드 및 서비스는 모두 고유한 IP를 가진다. 당신의 데스크탑 PC와 같은 클러스터 외부 장비에서는 클러스터 상의 노드 IP, 파드 IP, 서비스 IP로 라우팅되지 않아서 접근할 수 없을 것이다.
클러스터 외부에서 노드, 파드 및 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한 몇 가지 옵션이 있다.
NodePort
또는 LoadBalancer
타입의
서비스를 사용한다. 서비스와
kubectl expose 문서를 참고한다.일반적으로 kube-system에 의해 클러스터에 실행되는 몇 가지 서비스가 있다.
kubectl cluster-info
커맨드로 이 서비스의 리스트를 볼 수 있다.
kubectl cluster-info
출력은 다음과 비슷하다.
Kubernetes master is running at https://104.197.5.247
elasticsearch-logging is running at https://104.197.5.247/api/v1/namespaces/kube-system/services/elasticsearch-logging/proxy
kibana-logging is running at https://104.197.5.247/api/v1/namespaces/kube-system/services/kibana-logging/proxy
kube-dns is running at https://104.197.5.247/api/v1/namespaces/kube-system/services/kube-dns/proxy
grafana is running at https://104.197.5.247/api/v1/namespaces/kube-system/services/monitoring-grafana/proxy
heapster is running at https://104.197.5.247/api/v1/namespaces/kube-system/services/monitoring-heapster/proxy
각 서비스에 접근하기 위한 프록시-작업 URL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이 클러스터에는 https://104.197.5.247/api/v1/namespaces/kube-system/services/elasticsearch-logging/proxy/
로
접근할 수 있는 (Elasticsearch를 사용한) 클러스터 수준 로깅이 활성화되어 있다. 적합한 자격 증명이 전달되는 경우나 kubectl proxy를 통해 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의 URL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localhost:8080/api/v1/namespaces/kube-system/services/elasticsearch-logging/proxy/
.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kubectl cluster-info
명령을 사용하여 서비스의 프록시 URL을 검색한다. 서비스 엔드포인트, 접미사 및 매개 변수를 포함하는 프록시 URL을 작성하려면, 서비스의 프록시 URL에 추가하면 된다.
http://
kubernetes_master_address
/api/v1/namespaces/
namespace_name
/services/
[https:]service_name[:port_name]
/proxy
포트에 대한 이름을 지정하지 않은 경우, URL에 port_name 을 지정할 필요가 없다.
Elasticsearch 서비스 엔드포인트 _search?q=user:kimchy
에 접근하려면, 다음을 사용한다.
http://104.197.5.247/api/v1/namespaces/kube-system/services/elasticsearch-logging/proxy/_search?q=user:kimchy
Elasticsearch 클러스터 상태 정보 _cluster/health?pretty=true
에 접근하려면, 다음을 사용한다.
https://104.197.5.247/api/v1/namespaces/kube-system/services/elasticsearch-logging/proxy/_cluster/health?pretty=true
상태 정보는 다음과 비슷하다.
{
"cluster_name" : "kubernetes_logging",
"status" : "yellow",
"timed_out" : false,
"number_of_nodes" : 1,
"number_of_data_nodes" : 1,
"active_primary_shards" : 5,
"active_shards" : 5,
"relocating_shards" : 0,
"initializing_shards" : 0,
"unassigned_shards" : 5
}
https Elasticsearch 서비스 상태 정보 _cluster/health?pretty=true
에 접근하려면, 다음을 사용한다.
https://104.197.5.247/api/v1/namespaces/kube-system/services/https:elasticsearch-logging/proxy/_cluster/health?pretty=true
브라우저의 주소 표시줄에 apiserver 프록시 URL을 넣을 수 있다. 그러나,
Kubernetes v1.21 [alpha]
토폴로지 인지 힌트 는 엔드포인트슬라이스(EndpointSlices)에 포함되어 있는 토폴로지 정보를 이용해 토폴로지 인지 라우팅을 가능하게 한다. 이 방법은 트래픽을 해당 트래픽이 시작된 곳과 최대한 근접하도록 라우팅하는데, 이를 통해 비용을 줄이거나 네트워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쿠버네티스 서버의 버전은 다음과 같거나 더 높아야 함. 버전: 1.21. 버전 확인을 위해서, 다음 커맨드를 실행kubectl version
.
토폴로지 인지 힌트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필수 구성 요소가 필요하다.
서비스 토폴로지 힌트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kube-apiserver, kube-controller-manager, kube-proxy에 대해
TopologyAwareHints
기능 게이트를
활성화한다.
--feature-gates="TopologyAwareHints=true"
이 페이지는 쿠버네티스 퍼시트턴트볼륨(PersistentVolume)의 반환 정책을 변경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버전 확인을 위해서, 다음 커맨드를 실행kubectl version
.
퍼시스턴트볼륨은 "Retain(보존)", "Recycle(재활용)", "Delete(삭제)" 를 포함한
다양한 반환 정책을 갖는다. 동적으로 프로비저닝 된 퍼시스턴트볼륨의 경우
기본 반환 정책은 "Delete" 이다. 이는 사용자가 해당 PersistentVolumeClaim
을 삭제하면,
동적으로 프로비저닝 된 볼륨이 자동적으로 삭제됨을 의미한다.
볼륨에 중요한 데이터가 포함된 경우, 이러한 자동 삭제는 부적절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Retain" 정책을 사용하는 것이 더 적합하다.
"Retain" 정책에서, 사용자가 퍼시스턴트볼륨클레임을 삭제할 경우 해당하는
퍼시스턴트볼륨은 삭제되지 않는다.
대신, Released
단계로 이동되어, 모든 데이터를 수동으로 복구할 수 있다.
사용자의 클러스터에서 퍼시스턴트볼륨을 조회한다.
kubectl get pv
결과는 아래와 같다.
NAME CAPACITY ACCESSMODES RECLAIMPOLICY STATUS CLAIM STORAGECLASS REASON AGE
pvc-b6efd8da-b7b5-11e6-9d58-0ed433a7dd94 4Gi RWO Delete Bound default/claim1 manual 10s
pvc-b95650f8-b7b5-11e6-9d58-0ed433a7dd94 4Gi RWO Delete Bound default/claim2 manual 6s
pvc-bb3ca71d-b7b5-11e6-9d58-0ed433a7dd94 4Gi RWO Delete Bound default/claim3 manual 3s
이 목록은 동적으로 프로비저닝 된 볼륨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각 볼륨에 바인딩 되어 있는 퍼시스턴트볼륨클레임(PersistentVolumeClaim)의 이름도 포함한다.
사용자의 퍼시스턴트볼륨 중 하나를 선택한 후에 반환 정책을 변경한다.
kubectl patch pv <your-pv-name> -p '{"spec":{"persistentVolumeReclaimPolicy":"Retain"}}'
<your-pv-name>
는 사용자가 선택한 퍼시스턴트볼륨의 이름이다.
윈도우에서는, 공백이 포함된 모든 JSONPath 템플릿에 _겹_ 따옴표를 사용해야 한다.(bash에 대해 위에서 표시된 홑 따옴표가 아니다.) 따라서 템플릿의 모든 표현식에서 홑 따옴표를 쓰거나, 이스케이프 처리된 겹 따옴표를 써야 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kubectl patch pv <your-pv-name> -p "{\"spec\":{\"persistentVolumeReclaimPolicy\":\"Retain\"}}"
선택한 PersistentVolume이 올바른 정책을 갖는지 확인한다.
kubectl get pv
결과는 아래와 같다.
NAME CAPACITY ACCESSMODES RECLAIMPOLICY STATUS CLAIM STORAGECLASS REASON AGE
pvc-b6efd8da-b7b5-11e6-9d58-0ed433a7dd94 4Gi RWO Delete Bound default/claim1 manual 40s
pvc-b95650f8-b7b5-11e6-9d58-0ed433a7dd94 4Gi RWO Delete Bound default/claim2 manual 36s
pvc-bb3ca71d-b7b5-11e6-9d58-0ed433a7dd94 4Gi RWO Retain Bound default/claim3 manual 33s
위 결과에서, default/claim3
클레임과 바인딩 되어 있는 볼륨이 Retain
반환 정책을
갖는 것을 볼 수 있다. 사용자가 default/claim3
클레임을 삭제할 경우,
볼륨은 자동으로 삭제 되지 않는다.
persistentVolumeReclaimPolicy
필드에 대해 보기.이 페이지는 메모리 요청량 과 메모리 상한 을 컨테이너에 어떻게 지정하는지 보여준다. 컨테이너는 요청량 만큼의 메모리 확보가 보장되나 상한보다 더 많은 메모리는 사용할 수 없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버전 확인을 위해서, 다음 커맨드를 실행kubectl version
.
클러스터의 각 노드에 최소 300 MiB 메모리가 있어야 한다.
이 페이지의 몇 가지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클러스터 내 metrics-server 서비스 실행이 필요하다. 이미 실행 중인 metrics-server가 있다면 다음 단계를 건너뛸 수 있다.
Minikube를 사용 중이라면, 다음 명령어를 실행해 metric-server를 활성화할 수 있다.
minikube addons enable metrics-server
metric-server가 실행 중인지 확인하거나 다른 제공자의 리소스 메트릭 API (metrics.k8s.io
)를 확인하기 위해
다음의 명령어를 실행한다.
kubectl get apiservices
리소스 메트릭 API를 사용할 수 있다면 출력에
metrics.k8s.io
에 대한 참조가 포함되어 있다.
NAME
v1beta1.metrics.k8s.io
이 예제에서 생성할 자원과 클러스터 내 나머지를 분리하기 위해 네임스페이스를 생성한다.
kubectl create namespace mem-example
컨테이너에 메모리 요청량을 지정하기 위해서는 컨테이너의 리소스 매니페스트에
resources:requests
필드를 포함한다. 리소스 상한을 지정하기 위해서는
resources:limits
필드를 포함한다.
이 예제에서 하나의 컨테이너를 가진 파드를 생성한다. 생성된 컨테이너는 100 MiB 메모리 요청량과 200 MiB 메모리 상한을 갖는다. 이 것이 파드 구성 파일이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memory-demo
namespace: mem-example
spec:
containers:
- name: memory-demo-ctr
image: polinux/stress
resources:
limits:
memory: "200Mi"
requests:
memory: "100Mi"
command: ["stress"]
args: ["--vm", "1", "--vm-bytes", "150M", "--vm-hang", "1"]
구성 파일 내 args
섹션은 컨테이너가 시작될 때 아규먼트를 제공한다.
"--vm-bytes", "150M"
아규먼트는 컨테이너가 150 MiB 할당을 시도 하도록 한다.
파드 생성: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pods/resource/memory-request-limit.yaml --namespace=mem-example
파드 컨테이너가 실행 중인지 확인:
kubectl get pod memory-demo --namespace=mem-example
파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 보기:
kubectl get pod memory-demo --output=yaml --namespace=mem-example
출력은 파드 내 하나의 컨테이너에 100MiB 메모리 요청량과 200 MiB 메모리 상한이 있는 것을 보여준다.
...
resources:
limits:
memory: 200Mi
requests:
memory: 100Mi
...
kubectl top
을 실행하여 파드 메트릭 가져오기:
kubectl top pod memory-demo --namespace=mem-example
출력은 파드가 약 150 MiB 해당하는 약 162,900,000 바이트 메모리를 사용하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파드의 100 MiB 요청 보다 많으나 파드의 200 MiB 상한보다는 적다.
NAME CPU(cores) MEMORY(bytes)
memory-demo <something> 162856960
파드 삭제:
kubectl delete pod memory-demo --namespace=mem-example
노드 내 메모리가 충분하다면 컨테이너는 지정한 요청량보다 많은 메모리를 사용 할 수 있다. 그러나 컨테이너는 지정한 메모리 상한보다 많은 메모리를 사용할 수 없다. 만약 컨테이너가 지정한 메모리 상한보다 많은 메모리를 할당하면 해당 컨테이너는 종료 대상 후보가 된다. 만약 컨테이너가 지속적으로 지정된 상한보다 많은 메모리를 사용한다면, 해당 컨테이너는 종료된다. 만약 종료된 컨테이너가 재실행 가능하다면 다른 런타임 실패와 마찬가지로 kubelet에 의해 재실행된다.
이 예제에서는 상한보다 많은 메모리를 할당하려는 파드를 생성한다. 이 것은 50 MiB 메모리 요청량과 100 MiB 메모리 상한을 갖는 하나의 컨테이너를 갖는 파드의 구성 파일이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memory-demo-2
namespace: mem-example
spec:
containers:
- name: memory-demo-2-ctr
image: polinux/stress
resources:
requests:
memory: "50Mi"
limits:
memory: "100Mi"
command: ["stress"]
args: ["--vm", "1", "--vm-bytes", "250M", "--vm-hang", "1"]
구성 파일의 args
섹션에서 컨테이너가
100 MiB 상한을 훨씬 초과하는 250 MiB의 메모리를 할당하려는 것을 볼 수 있다.
파드 생성: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pods/resource/memory-request-limit-2.yaml --namespace=mem-example
파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 보기:
kubectl get pod memory-demo-2 --namespace=mem-example
이 시점에 컨테이너가 실행되거나 종료되었을 수 있다. 컨테이너가 종료될 때까지 이전의 명령을 반복한다.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memory-demo-2 0/1 OOMKilled 1 24s
컨테이너 상태의 상세 상태 보기:
kubectl get pod memory-demo-2 --output=yaml --namespace=mem-example
컨테이너가 메모리 부족 (OOM) 으로 종료되었음이 출력된다.
lastState:
terminated:
containerID: docker://65183c1877aaec2e8427bc95609cc52677a454b56fcb24340dbd22917c23b10f
exitCode: 137
finishedAt: 2017-06-20T20:52:19Z
reason: OOMKilled
startedAt: null
이 예제에서 컨테이너는 재실행 가능하여 kubelet에 의해 재실행된다. 컨테이너가 종료되었다 재실행되는 것을 보기 위해 다음 명령을 몇 번 반복한다.
kubectl get pod memory-demo-2 --namespace=mem-example
출력은 컨테이너의 종료, 재실행, 재종료, 재실행 등을 보여준다.
kubectl get pod memory-demo-2 --namespace=mem-example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memory-demo-2 0/1 OOMKilled 1 37s
kubectl get pod memory-demo-2 --namespace=mem-example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memory-demo-2 1/1 Running 2 40s
파드 내역에 대한 상세 정보 보기:
kubectl describe pod memory-demo-2 --namespace=mem-example
컨테이너가 반복적으로 시작하고 실패 하는 출력을 보여준다.
... Normal Created Created container with id 66a3a20aa7980e61be4922780bf9d24d1a1d8b7395c09861225b0eba1b1f8511
... Warning BackOff Back-off restarting failed container
클러스터 노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 보기:
kubectl describe nodes
출력에는 컨테이너가 메모리 부족으로 종료된 기록이 포함된다.
Warning OOMKilling Memory cgroup out of memory: Kill process 4481 (stress) score 1994 or sacrifice child
파드 삭제:
kubectl delete pod memory-demo-2 --namespace=mem-example
메모리 요청량과 상한은 컨테이너와 관련있지만, 파드가 가지는 메모리 요청량과 상한으로 이해하면 유용하다. 파드의 메모리 요청량은 파드 내 모든 컨테이너의 메모리 요청량의 합이다. 마찬가지로 파드의 메모리 상한은 파드 내 모든 컨테이너의 메모리 상한의 합이다.
파드는 요청량을 기반하여 스케줄링된다. 노드에 파드의 메모리 요청량을 충족하기에 충분한 메모리가 있는 경우에만 파드가 노드에서 스케줄링된다.
이 예제에서는 메모리 요청량이 너무 커 클러스터 내 모든 노드의 용량을 초과하는 파드를 생성한다. 다음은 클러스터 내 모든 노드의 용량을 초과할 수 있는 1000 GiB 메모리 요청을 포함하는 컨테이너를 갖는 파드의 구성 파일이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memory-demo-3
namespace: mem-example
spec:
containers:
- name: memory-demo-3-ctr
image: polinux/stress
resources:
limits:
memory: "1000Gi"
requests:
memory: "1000Gi"
command: ["stress"]
args: ["--vm", "1", "--vm-bytes", "150M", "--vm-hang", "1"]
파드 생성: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pods/resource/memory-request-limit-3.yaml --namespace=mem-example
파드 상태 보기:
kubectl get pod memory-demo-3 --namespace=mem-example
파드 상태가 PENDING 상태임이 출력된다. 즉 파드는 어떤 노드에서도 실행되도록 스케줄 되지 않고 PENDING가 계속 지속된다.
kubectl get pod memory-demo-3 --namespace=mem-example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memory-demo-3 0/1 Pending 0 25s
이벤트를 포함한 파드 상세 정보 보기:
kubectl describe pod memory-demo-3 --namespace=mem-example
출력은 노드 내 메모리가 부족하여 파드가 스케줄링될 수 없음을 보여준다.
Events:
... Reason Message
------ -------
... FailedScheduling No nodes are available that match all of the following predicates:: Insufficient memory (3).
메모리 리소스는 byte 단위로 측정된다. 다음 접미사 중 하나로 정수 또는 고정 소수점으로 메모리를 표시할 수 있다. E, P, T, G, M, K, Ei, Pi, Ti, Gi, Mi, Ki. 예를 들어 다음은 거의 유사한 값을 나타낸다.
128974848, 129e6, 129M , 123Mi
파드 삭제:
kubectl delete pod memory-demo-3 --namespace=mem-example
컨테이너에 메모리 상한을 지정하지 않으면 다음 중 하나가 적용된다.
컨테이너가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 상한은 없다. 컨테이너가 실행 중인 노드에서 사용 가능한 모든 메모리를 사용하여 OOM Killer가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부족으로 인한 종료 시 메모리 상한이 없는 컨테이너가 종료될 가능성이 크다.
기본 메모리 상한을 갖는 네임스페이스 내에서 실행중인 컨테이너는 자동으로 기본 메모리 상한이 할당된다. 클러스터 관리자들은 LimitRange를 사용해 메모리 상한의 기본 값을 지정 가능하다.
클러스터에서 실행되는 컨테이너에 메모리 요청량과 상한을 구성하여 클러스터 내 노드들의 메모리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파드의 메모리 요청량을 적게 유지하여 파드가 높은 확률로 스케줄링 될 수 있도록 한다. 메모리 상한이 메모리 요청량보다 크면 다음 두 가지가 수행된다.
네임스페이스를 지운다. 이 작업을 통해 네임스페이스 내 생성했던 모든 파드들은 삭제된다.
kubectl delete namespace mem-example
Kubernetes v1.18 [stable]
이 페이지에서는 윈도우 노드에서 실행될 파드 및 컨테이너에 runAsUserName
설정을 사용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이는 리눅스 관련 runAsUser
설정과 거의 동일하여, 컨테이너의 기본값과 다른 username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있어야 하며 클러스터와 통신하도록 kubectl 명령줄 도구를 구성해야 한다. 클러스터에는 윈도우 워커 노드가 있어야 하고, 해당 노드에서 윈도우 워크로드를 실행하는 컨테이너의 파드가 스케쥴 된다.
파드의 컨테이너 프로세스를 실행할 username을 지정하려면 파드 명세에 securityContext
필드 (PodSecurityContext) 를 포함시키고, 그 안에 runAsUserName
필드를 포함하는 windowsOptions
(WindowsSecurityContextOptions) 필드를 추가한다.
파드에 지정하는 윈도우 보안 컨텍스트 옵션은 파드의 모든 컨테이너 및 초기화 컨테이너에 적용된다.
다음은 runAsUserName
필드가 설정된 윈도우 파드의 구성 파일이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run-as-username-pod-demo
spec:
securityContext:
windowsOptions:
runAsUserName: "ContainerUser"
containers:
- name: run-as-username-demo
image: mcr.microsoft.com/windows/servercore:ltsc2019
command: ["ping", "-t", "localhost"]
nodeSelector:
kubernetes.io/os: windows
파드를 생성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windows/run-as-username-pod.yaml
파드의 컨테이너가 실행 중인지 확인한다.
kubectl get pod run-as-username-pod-demo
실행 중인 컨테이너의 셸에 접근한다.
kubectl exec -it run-as-username-pod-demo -- powershell
셸이 올바른 username인 사용자로 실행 중인지 확인한다.
echo $env:USERNAME
결과는 다음과 같다.
ContainerUser
컨테이너의 프로세스를 실행할 username을 지정하려면, 컨테이너 매니페스트에 securityContext
필드 (SecurityContext) 를 포함시키고 그 안에 runAsUserName
필드를 포함하는 windowsOptions
(WindowsSecurityContextOptions) 필드를 추가한다.
컨테이너에 지정하는 윈도우 보안 컨텍스트 옵션은 해당 개별 컨테이너에만 적용되며 파드 수준에서 지정한 설정을 재정의한다.
다음은 한 개의 컨테이너에 runAsUserName
필드가 파드 수준 및 컨테이너 수준에서 설정되는 파드의 구성 파일이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run-as-username-container-demo
spec:
securityContext:
windowsOptions:
runAsUserName: "ContainerUser"
containers:
- name: run-as-username-demo
image: mcr.microsoft.com/windows/servercore:ltsc2019
command: ["ping", "-t", "localhost"]
securityContext:
windowsOptions:
runAsUserName: "ContainerAdministrator"
nodeSelector:
kubernetes.io/os: windows
파드를 생성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windows/run-as-username-container.yaml
파드의 컨테이너가 실행 중인지 확인한다.
kubectl get pod run-as-username-container-demo
실행 중인 컨테이너의 셸에 접근한다.
kubectl exec -it run-as-username-container-demo -- powershell
셸이 사용자에게 올바른 username(컨테이너 수준에서 설정된 사용자)을 실행 중인지 확인한다.
echo $env:USERNAME
결과는 다음과 같다.
ContainerAdministrator
이 기능을 사용하려면 runAsUserName
필드에 설정된 값이 유효한 username이어야 한다. 형식은 DOMAIN\USER
여야하고, 여기서 DOMAIN\
은 선택 사항이다. 윈도우 username은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는다. 또한 DOMAIN
및 USER
와 관련된 몇 가지 제약사항이 있다.
runAsUserName
필드는 비워 둘 수 없으며 제어 문자를 포함할 수 없다. (ASCII 값: 0x00-0x1F
, 0x7F
)DOMAIN
은 NetBios 이름 또는 DNS 이름이어야 하며 각각 고유한 제한이 있다.
.
(마침표)으로 시작할 수 없으며 다음 문자를 포함할 수 없다. \ / : * ? " < > |
.
), 대시(-
)로만 구성되며, 마침표 또는 대시로 시작하거나 끝날 수 없다.USER
는 최대 20자이며, 오직 마침표나 공백들로는 구성할 수 없고, 다음 문자는 포함할 수 없다. " / \ [ ] : ; | = , + * ? < > @
.runAsUserName
필드에 허용되는 값의 예 : ContainerAdministrator
,ContainerUser
, NT AUTHORITY\NETWORK SERVICE
, NT AUTHORITY\LOCAL SERVICE
.
이러한 제약사항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 와 여기를 확인한다.
이 페이지는 특정 서비스 품질(QoS) 클래스를 할당하기 위해 어떻게 파드를 구성해야 하는지 보여준다. 쿠버네티스는 QoS 클래스를 사용하여 파드 스케줄링과 축출을 결정한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버전 확인을 위해서, 다음 커맨드를 실행kubectl version
.
쿠버네티스가 파드를 생성할 때, 파드에 다음의 QoS 클래스 중 하나를 할당한다.
이 연습에서 생성한 리소스가 클러스터의 나머지와 격리되도록 네임스페이스를 생성한다.
kubectl create namespace qos-example
파드에 Guaranteed QoS 클래스 할당을 위한 전제 조건은 다음과 같다.
이러한 제약은 초기화 컨테이너와 앱 컨테이너 모두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다음은 하나의 컨테이너를 갖는 파드의 구성 파일이다. 해당 컨테이너는 메모리 상한과 메모리 요청량을 갖고 있고, 200MiB로 동일하다. 해당 컨테이너는 CPU 상한과 CPU 요청량을 가지며, 700 milliCPU로 동일하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qos-demo
namespace: qos-example
spec:
containers:
- name: qos-demo-ctr
image: nginx
resources:
limits:
memory: "200Mi"
cpu: "700m"
requests:
memory: "200Mi"
cpu: "700m"
파드를 생성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pods/qos/qos-pod.yaml --namespace=qos-example
파드의 상세 정보를 본다.
kubectl get pod qos-demo --namespace=qos-example --output=yaml
출력 결과는 쿠버네티스가 파드에 Guaranteed QoS 클래스를 부여했음을 보여준다. 또한 파드의 컨테이너가 메모리 요청량과 일치하는 메모리 상한을 가지며, CPU 요청량과 일치하는 CPU 상한을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spec:
containers:
...
resources:
limits:
cpu: 700m
memory: 200Mi
requests:
cpu: 700m
memory: 200Mi
...
status:
qosClass: Guaranteed
파드를 삭제한다.
kubectl delete pod qos-demo --namespace=qos-example
다음의 경우 파드에 Burstable QoS 클래스가 부여된다.
컨테이너가 하나인 파드의 구성 파일은 다음과 같다. 컨테이너는 200MiB의 메모리 상한과 100MiB의 메모리 요청량을 가진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qos-demo-2
namespace: qos-example
spec:
containers:
- name: qos-demo-2-ctr
image: nginx
resources:
limits:
memory: "200Mi"
requests:
memory: "100Mi"
파드를 생성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pods/qos/qos-pod-2.yaml --namespace=qos-example
파드의 상세 정보를 본다.
kubectl get pod qos-demo-2 --namespace=qos-example --output=yaml
출력 결과는 쿠버네티스가 파드에 Burstable QoS 클래스를 부여했음을 보여준다.
spec:
containers:
- image: nginx
imagePullPolicy: Always
name: qos-demo-2-ctr
resources:
limits:
memory: 200Mi
requests:
memory: 100Mi
...
status:
qosClass: Burstable
파드를 삭제한다.
kubectl delete pod qos-demo-2 --namespace=qos-example
파드에 QoS 클래스 BestEffort를 제공하려면, 파드의 컨테이너에 메모리 또는 CPU의 상한이나 요청량이 없어야 한다.
컨테이너가 하나인 파드의 구성 파일이다. 해당 컨테이너는 메모리 또는 CPU의 상한이나 요청량을 갖지 않는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qos-demo-3
namespace: qos-example
spec:
containers:
- name: qos-demo-3-ctr
image: nginx
파드를 생성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pods/qos/qos-pod-3.yaml --namespace=qos-example
파드의 상세 정보를 본다.
kubectl get pod qos-demo-3 --namespace=qos-example --output=yaml
출력 결과는 쿠버네티스가 파드에 BestEffort QoS 클래스를 부여했음을 보여준다.
spec:
containers:
...
resources: {}
...
status:
qosClass: BestEffort
파드를 삭제한다.
kubectl delete pod qos-demo-3 --namespace=qos-example
컨테이너가 두 개인 파드의 구성 파일이다. 한 컨테이너는 200MiB의 메모리 요청량을 지정한다. 다른 컨테이너는 어떤 요청량이나 상한을 지정하지 않는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qos-demo-4
namespace: qos-example
spec:
containers:
- name: qos-demo-4-ctr-1
image: nginx
resources:
requests:
memory: "200Mi"
- name: qos-demo-4-ctr-2
image: redis
참고로 이 파드는 Burstable QoS 클래스의 기준을 충족한다. 즉, Guaranteed QoS 클래스에 대한 기준을 충족하지 않으며, 해당 컨테이너 중 하나가 메모리 요청량을 갖는다.
파드를 생성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pods/qos/qos-pod-4.yaml --namespace=qos-example
파드의 상세 정보를 본다.
kubectl get pod qos-demo-4 --namespace=qos-example --output=yaml
출력 결과는 쿠버네티스가 파드에 Burstable QoS 클래스를 부여했음을 보여준다.
spec:
containers:
...
name: qos-demo-4-ctr-1
resources:
requests:
memory: 200Mi
...
name: qos-demo-4-ctr-2
resources: {}
...
status:
qosClass: Burstable
파드를 삭제한다.
kubectl delete pod qos-demo-4 --namespace=qos-example
네임스페이스를 삭제한다.
kubectl delete namespace qos-example
이 페이지는 스토리지의 볼륨을 사용하는 파드를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컨테이너 파일 시스템은 컨테이너가 살아있는 동안만 존재한다. 따라서 컨테이너가 종료되고 재시작할 때, 파일 시스템 변경사항이 손실된다. 컨테이너와 독립적이며 보다 일관된 스토리지를 위해 사용자는 볼륨을 사용할 수 있다. 이것은 레디스(Redis)와 같은 키-값 저장소나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스테이트풀 애플리케이션에 매우 중요하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버전 확인을 위해서, 다음 커맨드를 실행kubectl version
.
이 연습에서는 하나의 컨테이너를 실행하는 파드를 생성한다. 이 파드는 컨테이너가 종료되고, 재시작 하더라도 파드의 수명동안 지속되는 emptyDir 유형의 볼륨이 있다. 파드의 구성 파일은 다음과 같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redis
spec:
containers:
- name: redis
image: redis
volumeMounts:
- name: redis-storage
mountPath: /data/redis
volumes:
- name: redis-storage
emptyDir: {}
파드 생성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pods/storage/redis.yaml
파드의 컨테이너가 Running 중인지 확인하고, 파드의 변경사항을 지켜본다.
kubectl get pod redis --watch
출력은 이와 유사하다.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redis 1/1 Running 0 13s
다른 터미널에서 실행 중인 컨테이너의 셸을 획득한다.
kubectl exec -it redis -- /bin/bash
셸에서 /data/redis
로 이동하고, 파일을 생성한다.
root@redis:/data# cd /data/redis/
root@redis:/data/redis# echo Hello > test-file
셸에서 실행 중인 프로세스 목록을 확인한다.
root@redis:/data/redis# apt-get update
root@redis:/data/redis# apt-get install procps
root@redis:/data/redis# ps aux
출력은 이와 유사하다.
USER PID %CPU %MEM VSZ RSS TTY STAT START TIME COMMAND
redis 1 0.1 0.1 33308 3828 ? Ssl 00:46 0:00 redis-server *:6379
root 12 0.0 0.0 20228 3020 ? Ss 00:47 0:00 /bin/bash
root 15 0.0 0.0 17500 2072 ? R+ 00:48 0:00 ps aux
셸에서 Redis 프로세스를 강제종료(kill)한다.
root@redis:/data/redis# kill <pid>
여기서 <pid>
는 Redis 프로세스 ID(PID) 이다.
원래 터미널에서, Redis 파드의 변경을 지켜본다. 결국, 다음과 유사한 것을 보게 될 것이다.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redis 1/1 Running 0 13s
redis 0/1 Completed 0 6m
redis 1/1 Running 1 6m
이때, 컨테이너는 종료되고 재시작된다. 이는
Redis 파드의
restartPolicy는
Always
이기 때문이다.
재시작된 컨테이너의 셸을 획득한다.
kubectl exec -it redis -- /bin/bash
셸에서 /data/redis
로 이동하고, test-file
이 여전히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root@redis:/data/redis# cd /data/redis/
root@redis:/data/redis# ls
test-file
이 연습을 위해 생성한 파드를 삭제한다.
kubectl delete pod redis
이 페이지는 스토리지에 대해 퍼시스턴트볼륨클레임(PersistentVolumeClaim)을 사용하도록 파드를 설정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과정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클러스터 관리자로서, 물리적 스토리지와 연결되는 퍼시스턴트볼륨을 생성한다. 볼륨을 특정 파드와 연결하지 않는다.
그 다음 개발자 / 클러스터 사용자의 역할로서, 적합한 퍼시스턴트볼륨에 자동으로 바인딩되는 퍼시스턴트볼륨클레임을 생성한다.
스토리지에 대해 위의 퍼시스턴트볼륨클레임을 사용하는 파드를 생성한다.
사용자는 노드가 단 하나만 있는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사용자의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만약 사용자가 아직 단일 노드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하여 클러스터 하나를 생성할 수 있다.
퍼시스턴트 볼륨의 관련 자료에 익숙해지도록 한다.
사용자 클러스터의 단일 노드에 연결되는 셸을 연다. 셸을 여는 방법은
클러스터 설정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Minikube를 사용하는 경우,
minikube ssh
명령어를 입력하여 노드로 연결되는 셸을 열 수 있다.
해당 노드의 셸에서 /mnt/data
디렉터리를 생성한다.
# 사용자 노드에서 슈퍼유저로 명령을 수행하기 위하여
# "sudo"를 사용한다고 가정한다
sudo mkdir /mnt/data
/mnt/data
디렉터리에서 index.html
파일을 생성한다.
# 이번에도 사용자 노드에서 슈퍼유저로 명령을 수행하기 위하여
# "sudo"를 사용한다고 가정한다
sudo sh -c "echo 'Hello from Kubernetes storage' > /mnt/data/index.html"
sudo
이외의 슈퍼유저 접근 툴을 사용하는 경우,
sudo
를 해당 툴의 이름으로 바꾸면, 동일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index.html
파일이 존재하는지 테스트한다.
cat /mnt/data/index.html
결과는 다음과 같다.
Hello from Kubernetes storage
이제 사용자 노드에서 셸을 종료해도 된다.
이 예제에서, 사용자는 hostPath 퍼시스턴트볼륨을 생성한다. 쿠버네티스는 단일 노드에서의 개발과 테스트를 위해 hostPath를 지원한다. hostPath 퍼시스턴트볼륨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스토리지를 모방하기 위해, 노드의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사용한다.
운영 클러스터에서, 사용자가 hostPath를 사용하지는 않는다. 대신, 클러스터 관리자는 Google Compute Engine 영구 디스크, NFS 공유 또는 Amazone Elastic Block Store 볼륨과 같은 네트워크 자원을 프로비저닝한다. 클러스터 관리자는 스토리지클래스(StorageClasses)를 사용하여 동적 프로비저닝을 설정할 수도 있다.
hostPath 퍼시스턴트볼륨의 설정 파일은 아래와 같다.
apiVersion: v1
kind: PersistentVolume
metadata:
name: task-pv-volume
labels:
type: local
spec:
storageClassName: manual
capacity:
storage: 10Gi
accessModes:
- ReadWriteOnce
hostPath:
path: "/mnt/data"
설정 파일에 클러스터 노드의 /mnt/data
에 볼륨이 있다고
지정한다. 또한 설정에서 볼륨 크기를 10 기가바이트로 지정하고 단일 노드가
읽기-쓰기 모드로 볼륨을 마운트할 수 있는 ReadWriteOnce
접근 모드를
지정한다. 여기서는
퍼시스턴트볼륨클레임의 스토리지클래스 이름을
manual
로 정의하며, 퍼시스턴트볼륨클레임의 요청을
이 퍼시스턴트볼륨에 바인딩하는데 사용한다.
퍼시스턴트볼륨을 생성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pods/storage/pv-volume.yaml
퍼시스턴트볼륨에 대한 정보를 조회한다.
kubectl get pv task-pv-volume
결과는 퍼시스턴트볼륨의 STATUS
가 Available
임을 보여준다. 이는
아직 퍼시스턴트볼륨클레임이 바인딩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NAME CAPACITY ACCESSMODES RECLAIMPOLICY STATUS CLAIM STORAGECLASS REASON AGE
task-pv-volume 10Gi RWO Retain Available manual 4s
다음 단계는 퍼시스턴트볼륨클레임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파드는 퍼시스턴트볼륨클레임을 사용하여 물리적인 스토리지를 요청한다. 이 예제에서,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드에 대해 읽기-쓰기 접근을 지원하며 최소 3 기가바이트의 볼륨을 요청하는 퍼시스턴트볼륨클레임을 생성한다.
퍼시스턴트볼륨클레임에 대한 설정 파일은 다음과 같다.
apiVersion: v1
kind: PersistentVolumeClaim
metadata:
name: task-pv-claim
spec:
storageClassName: manual
accessModes:
- ReadWriteOnce
resources:
requests:
storage: 3Gi
퍼시스턴트볼륨클레임을 생성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pods/storage/pv-claim.yaml
사용자가 퍼시스턴트볼륨클레임을 생성한 후에, 쿠버네티스 컨트롤 플레인은 클레임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퍼시스턴트볼륨을 찾는다. 컨트롤 플레인이 동일한 스토리지클래스를 갖는 적절한 퍼시스턴트볼륨을 찾으면, 볼륨에 클레임을 바인딩한다.
퍼시스턴트볼륨을 다시 확인한다.
kubectl get pv task-pv-volume
이제 결과는 STATUS
가 Bound
임을 보여준다.
NAME CAPACITY ACCESSMODES RECLAIMPOLICY STATUS CLAIM STORAGECLASS REASON AGE
task-pv-volume 10Gi RWO Retain Bound default/task-pv-claim manual 2m
퍼시스턴트볼륨클레임을 확인한다.
kubectl get pvc task-pv-claim
결과는 퍼시스턴트볼륨클레임이 사용자의 퍼시스턴트볼륨인 task-pv-volume
에
바인딩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NAME STATUS VOLUME CAPACITY ACCESSMODES STORAGECLASS AGE
task-pv-claim Bound task-pv-volume 10Gi RWO manual 30s
다음 단계는 볼륨으로 퍼시스턴트볼륨클레임을 사용하는 파드를 만드는 단계이다.
파드에 대한 설정 파일은 다음과 같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task-pv-pod
spec:
volumes:
- name: task-pv-storage
persistentVolumeClaim:
claimName: task-pv-claim
containers:
- name: task-pv-container
image: nginx
ports:
- containerPort: 80
name: "http-server"
volumeMounts:
- mountPath: "/usr/share/nginx/html"
name: task-pv-storage
파드의 설정 파일은 퍼시스턴트볼륨클레임을 지정하지만, 퍼시스턴트볼륨을 지정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유념하자. 파드의 관점에서 볼때, 클레임은 볼륨이다.
파드를 생성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pods/storage/pv-pod.yaml
파드의 컨테이너가 실행 중임을 확인한다.
kubectl get pod task-pv-pod
사용자 파드에서 구동되고 있는 컨테이너에 셸로 접근한다.
kubectl exec -it task-pv-pod -- /bin/bash
사용자의 셸에서, nginx가 hostPath 볼륨으로부터 index.html
파일을
제공하는지 확인한다.
# 이전 단계에서 "kubectl exec" 명령을 실행한 root 셸 안에서
# 다음의 3개 명령을 실행해야 한다.
apt update
apt install curl
curl http://localhost/
결과는 hostPath 볼륨에 있는 index.html
파일에 사용자가 작성한 텍스트를
보여준다.
Hello from Kubernetes storage
만약 사용자가 위와 같은 메시지를 확인하면, 파드가 퍼시스턴트볼륨클레임의 스토리지를 사용하도록 성공적으로 설정한 것이다.
파드, 퍼시스턴트볼륨클레임, 퍼시스턴트볼륨을 삭제한다.
kubectl delete pod task-pv-pod
kubectl delete pvc task-pv-claim
kubectl delete pv task-pv-volume
만약 클러스터의 노드에 대한 셸이 열려져 있지 않은 경우, 이전과 동일한 방식으로 새로운 셸을 연다.
사용자 노드의 셸에서, 생성한 파일과 디렉터리를 제거한다.
# 사용자 노드에서 슈퍼유저로 명령을 수행하기 위하여
# "sudo"를 사용한다고 가정한다
sudo rm /mnt/data/index.html
sudo rmdir /mnt/data
이제 사용자 노드에서 셸을 종료해도 된다.
그룹 ID(GID)로 설정된 스토리지는 동일한 GID를 사용하는 파드에서만 쓰기 작업을 허용한다. GID가 일치하지 않거나 누락되었을 경우 권한 거부 오류가 발생한다. 사용자와의 조정 필요성을 줄이기 위하여 관리자는 퍼시스턴트 볼륨에 GID로 어노테이션을 달 수 있다. 그 뒤에, 퍼시스턴트볼륨을 사용하는 모든 파드에 대하여 GID가 자동으로 추가된다.
다음과 같이 pv.beta.kubernetes.io/gid
어노테이션을 사용한다.
apiVersion: v1
kind: PersistentVolume
metadata:
name: pv1
annotations:
pv.beta.kubernetes.io/gid: "1234"
파드가 GID 어노테이션이 있는 퍼시스턴트볼륨을 사용하면, 어노테이션으로 달린 GID가 파드의 보안 컨텍스트에 지정된 GID와 동일한 방식으로 파드의 모든 컨테이너에 적용된다. 파드의 명세 혹은 퍼시스턴트볼륨의 어노테이션으로부터 생성된 모든 GID는, 각 컨테이너에서 실행되는 첫 번째 프로세스에 적용된다.
이 페이지는 프라이빗 도커 레지스트리나 리포지터리로부터 이미지를 받아오기 위해 시크릿(Secret)을 사용하는 파드를 생성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버전 확인을 위해서, 다음 커맨드를 실행kubectl version
.
이 실습을 수행하기 위해, 도커 ID와 비밀번호가 필요하다.
노트북에 프라이빗 이미지를 받아오기 위하여 레지스트리 인증을 필수로 수행해야 한다.
docker login
프롬프트가 나타나면, 도커 사용자 이름(username)과 비밀번호(password)를 입력하자.
로그인 프로세스는 권한 토큰 정보를 가지고 있는 config.json
파일을 생성하거나 업데이트 한다.
config.json
파일을 확인하자.
cat ~/.docker/config.json
하단과 유사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
"auths": {
"https://index.docker.io/v1/": {
"auth": "c3R...zE2"
}
}
}
auth
항목이 아닌, 저장소의 이름을 값으로 사용하는 credsStore
항목을 확인할 수 있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는 프라이빗 이미지를 받아올 때, 컨테이너 레지스트리에 인증하기 위하여
kubernetes.io/dockerconfigjson
타입의 시크릿을 사용한다.
만약 이미 docker login
을 수행하였다면, 이 때 생성된 자격 증명을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로 복사할 수 있다.
kubectl create secret generic regcred \
--from-file=.dockerconfigjson=<path/to/.docker/config.json> \
--type=kubernetes.io/dockerconfigjson
오브젝트에 대한 더 세밀한 제어(새로운 시크릿에 대한 네임스페이스나 레이블을 지정하는 등)가 필요할 경우, 시크릿을 사용자 정의한 후에 저장할 수도 있다. 다음을 확인하자.
.dockerconfigjson
으로 설정한다data[".dockerconfigjson"]
필드에 자르지 않고 한 줄로 이어서 붙여넣는다type
을 kubernetes.io/dockerconfigjson
으로 설정한다예:
apiVersion: v1
kind: Secret
metadata:
name: myregistrykey
namespace: awesomeapps
data:
.dockerconfigjson: UmVhbGx5IHJlYWxseSByZWVlZWVlZWVlZWFhYWFhYWFhYWFhYWFhYWFhYWFhYWFhYWFhYWxsbGxsbGxsbGxsbGxsbGxsbGxsbGxsbGxsbGxsbGx5eXl5eXl5eXl5eXl5eXl5eXl5eSBsbGxsbGxsbGxsbGxsbG9vb29vb29vb29vb29vb29vb29vb29vb29vb25ubm5ubm5ubm5ubm5ubm5ubm5ubm5ubmdnZ2dnZ2dnZ2dnZ2dnZ2dnZ2cgYXV0aCBrZXlzCg==
type: kubernetes.io/dockerconfigjson
만약 error: no objects passed to create
메세지가 출력될 경우, base64로 인코딩된 문자열이 유효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또한 Secret "myregistrykey" is invalid: data[.dockerconfigjson]: invalid value ...
메세지가 출력될 경우,
base64로 인코딩된 문자열이 정상적으로 디코딩되었으나, .docker/config.json
파일로 파싱되지 못한 것을 의미한다.
regcred
라는 이름의 시크릿을 생성하자.
kubectl create secret docker-registry regcred --docker-server=<your-registry-server> --docker-username=<your-name> --docker-password=<your-pword> --docker-email=<your-email>
아래의 각 항목에 대한 설명을 참고한다.
<your-registry-server>
은 프라이빗 도커 저장소의 FQDN 주소이다.
도커허브(DockerHub)는 https://index.docker.io/v2/
를 사용한다.<your-name>
은 도커 사용자의 계정이다.<your-pword>
은 도커 사용자의 비밀번호이다.<your-email>
은 도커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이다.이를 통해 regcred
라는 시크릿으로 클러스터 내에서 도커 자격 증명을 생성했다.
kubectl
이 구동 중인 동안 사용자의 PC의 다른 사용자들에게
보일 수도 있다.
regcred
검증하기방금 생성한 regcred
시크릿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YAML 형식으로 시크릿을 확인하자.
kubectl get secret regcred --output=yaml
결과는 다음과 같다.
apiVersion: v1
kind: Secret
metadata:
...
name: regcred
...
data:
.dockerconfigjson: eyJodHRwczovL2luZGV4L ... J0QUl6RTIifX0=
type: kubernetes.io/dockerconfigjson
.dockerconfigjson
필드의 값은 도커 자격 증명의 base64 인코딩 결과이다.
.dockerconfigjson
필드의 값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크릿 데이터를 읽을 수 있는
형식으로 변경한다.
kubectl get secret regcred --output="jsonpath={.data.\.dockerconfigjson}" | base64 --decode
결과는 다음과 같다.
{"auths":{"your.private.registry.example.com":{"username":"janedoe","password":"xxxxxxxxxxx","email":"jdoe@example.com","auth":"c3R...zE2"}}}
auth
필드의 값을 확인하기 위하여, base64로 인코딩된 데이터를 읽을 수 있는 형식으로 변경한다.
echo "c3R...zE2" | base64 --decode
결과로,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가 :
로 연결되어 아래와 같이 표현된다.
janedoe:xxxxxxxxxxx
참고로 시크릿 데이터에는 사용자의 로컬에 있는 ~/.docker/config.json
파일과 유사한 인증 토큰이 포함되어 있다.
이를 통해 regcred
라는 시크릿으로 클러스터 내에서 도커 자격 증명을 생성했다.
다음은 regcred
에 있는 도커 자격 증명에 접근해야 하는 파드의 구성 파일이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private-reg
spec:
containers:
- name: private-reg-container
image: <your-private-image>
imagePullSecrets:
- name: regcred
아래의 파일을 다운로드받는다.
wget -O my-private-reg-pod.yaml https://k8s.io/examples/pods/private-reg-pod.yaml
my-private-reg-pod.yaml
파일 안에서, <your-private-image>
값을 다음과 같은 프라이빗 저장소 안의 이미지 경로로 변경한다.
your.private.registry.example.com/janedoe/jdoe-private:v1
프라이빗 저장소에서 이미지를 받아오기 위하여, 쿠버네티스에서 자격 증명이 필요하다.
구성 파일의 imagePullSecrets
필드를 통해 쿠버네티스가
regcred
라는 시크릿으로부터 자격 증명을 가져올 수 있다.
시크릿을 사용해서 파드를 생성하고, 파드가 실행되는지 확인하자.
kubectl apply -f my-private-reg-pod.yaml
kubectl get pod private-reg
imagePullSecrets
필드에 대해 읽어보기.이 문서는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의 특정 노드에 노드 어피니티를 사용해 쿠버네티스 파드를 할당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쿠버네티스 서버의 버전은 다음과 같거나 더 높아야 함. 버전: v1.10. 버전 확인을 위해서, 다음 커맨드를 실행kubectl version
.
클러스터의 노드를 레이블과 함께 나열하자.
kubectl get nodes --show-labels
결과는 아래와 같다.
NAME STATUS ROLES AGE VERSION LABELS
worker0 Ready <none> 1d v1.13.0 ...,kubernetes.io/hostname=worker0
worker1 Ready <none> 1d v1.13.0 ...,kubernetes.io/hostname=worker1
worker2 Ready <none> 1d v1.13.0 ...,kubernetes.io/hostname=worker2
노드 한 개를 선택하고, 레이블을 추가하자.
kubectl label nodes <your-node-name> disktype=ssd
<your-node-name>
는 선택한 노드의 이름이다.
선택한 노드가 disktype=ssd
레이블을 갖고 있는지 확인하자.
kubectl get nodes --show-labels
결과는 아래와 같다.
NAME STATUS ROLES AGE VERSION LABELS
worker0 Ready <none> 1d v1.13.0 ...,disktype=ssd,kubernetes.io/hostname=worker0
worker1 Ready <none> 1d v1.13.0 ...,kubernetes.io/hostname=worker1
worker2 Ready <none> 1d v1.13.0 ...,kubernetes.io/hostname=worker2
위의 결과에서, worker0
노드에 disktype=ssd
레이블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매니페스트는 disktype: ssd
라는 requiredDuringSchedulingIgnoredDuringExecution
노드 어피니티를 가진 파드를 설명한다.
파드가 disktype=ssd
레이블이 있는 노드에만 스케줄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nginx
spec:
affinity:
nodeAffinity:
requiredDuringSchedulingIgnoredDuringExecution:
nodeSelectorTerms:
- matchExpressions:
- key: disktype
operator: In
values:
- ssd
containers:
- name: nginx
image: nginx
imagePullPolicy: IfNotPresent
매니페스트를 적용하여 선택한 노드에 스케줄된 파드를 생성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pods/pod-nginx-required-affinity.yaml
파드가 선택한 노드에서 실행 중인지 확인하자.
kubectl get pods --output=wide
결과는 아래와 같다.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IP NODE
nginx 1/1 Running 0 13s 10.200.0.4 worker0
이 매니페스트는 disktype: ssd
라는 preferredDuringSchedulingIgnoredDuringExecution
노드 어피니티를 가진 파드를 설명한다.
파드가 disktype=ssd
레이블이 있는 노드를 선호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nginx
spec:
affinity:
nodeAffinity:
preferredDuringSchedulingIgnoredDuringExecution:
- weight: 1
preference:
matchExpressions:
- key: disktype
operator: In
values:
- ssd
containers:
- name: nginx
image: nginx
imagePullPolicy: IfNotPresent
매니페스트를 적용하여 선택한 노드에 스케줄된 파드를 생성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pods/pod-nginx-preferred-affinity.yaml
파드가 선택한 노드에서 실행 중인지 확인하자.
kubectl get pods --output=wide
결과는 아래와 같다.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IP NODE
nginx 1/1 Running 0 13s 10.200.0.4 worker0
노드 어피니티에 대해 더 알아보기.
이 문서는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의 특정 노드에 쿠버네티스 파드를 할당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버전 확인을 위해서, 다음 커맨드를 실행kubectl version
.
클러스터의 노드를 레이블과 함께 나열하자.
kubectl get nodes --show-labels
결과는 아래와 같다.
NAME STATUS ROLES AGE VERSION LABELS
worker0 Ready <none> 1d v1.13.0 ...,kubernetes.io/hostname=worker0
worker1 Ready <none> 1d v1.13.0 ...,kubernetes.io/hostname=worker1
worker2 Ready <none> 1d v1.13.0 ...,kubernetes.io/hostname=worker2
노드 한 개를 선택하고, 레이블을 추가하자.
kubectl label nodes <your-node-name> disktype=ssd
<your-node-name>
는 선택한 노드의 이름이다.
선택한 노드가 disktype=ssd
레이블을 갖고 있는지 확인하자.
kubectl get nodes --show-labels
결과는 아래와 같다.
NAME STATUS ROLES AGE VERSION LABELS
worker0 Ready <none> 1d v1.13.0 ...,disktype=ssd,kubernetes.io/hostname=worker0
worker1 Ready <none> 1d v1.13.0 ...,kubernetes.io/hostname=worker1
worker2 Ready <none> 1d v1.13.0 ...,kubernetes.io/hostname=worker2
위의 결과에서, worker0
노드에 disktype=ssd
레이블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파드 구성 파일은 disktype: ssd
라는 선택하는 노드 셀렉터를 가진 파드를
설명한다.
즉, disktype=ssd
레이블이 있는 노드에 파드가 스케줄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nginx
labels:
env: test
spec:
containers:
- name: nginx
image: nginx
imagePullPolicy: IfNotPresent
nodeSelector:
disktype: ssd
구성 파일을 사용해서 선택한 노드로 스케줄되도록 파드를 생성하자.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pods/pod-nginx.yaml
파드가 선택한 노드에서 실행 중인지 확인하자.
kubectl get pods --output=wide
결과는 아래와 같다.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IP NODE
nginx 1/1 Running 0 13s 10.200.0.4 worker0
nodeName
설정을 통해 특정 노드로 파드를 배포할 수 있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nginx
spec:
nodeName: foo-node # 특정 노드에 파드 스케줄
containers:
- name: nginx
image: nginx
imagePullPolicy: IfNotPresent
설정 파일을 사용해 foo-node
노드에 파드를 스케줄되도록 만들어 보자.
이 페이지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전에 파드를 초기화하기 위해 어떻게 초기화 컨테이너를 구성해야 하는지 보여준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버전 확인을 위해서, 다음 커맨드를 실행kubectl version
.
이 연습에서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컨테이너와 하나의 초기화 컨테이너를 갖는 파드를 생성한다. 초기화 컨테이너는 애플리케이션 시작 전에 실행을 종료한다.
아래는 해당 파드의 구성 파일이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init-demo
spec:
containers:
- name: nginx
image: nginx
ports:
- containerPort: 80
volumeMounts:
- name: workdir
mountPath: /usr/share/nginx/html
# 이 컨테이너들은 파드 초기화 중에 실행된다.
initContainers:
- name: install
image: busybox
command:
- wget
- "-O"
- "/work-dir/index.html"
- http://info.cern.ch
volumeMounts:
- name: workdir
mountPath: "/work-dir"
dnsPolicy: Default
volumes:
- name: workdir
emptyDir: {}
이 구성 파일에서, 파드가 가진 볼륨을 초기화 컨테이너와 애플리케이션 컨테이너가 공유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초기화 컨테이너는 공유된 볼륨을
/work-dir
에 마운트하고, 애플리케이션 컨테이너는 공유된 볼륨을
/usr/share/nginx/html
에 마운트한다. 초기화 컨테이너는 다음 명령을 실행 후
종료한다.
wget -O /work-dir/index.html http://info.cern.ch
초기화 컨테이너는 nginx 서버의 루트 디렉터리 내 index.html
파일을
저장한다.
파드를 생성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pods/init-containers.yaml
nginx 컨테이너가 실행 중인지 확인한다.
kubectl get pod init-demo
출력 결과는 nginx 컨테이너가 실행 중임을 보여준다.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init-demo 1/1 Running 0 1m
init-demo 파드 내 실행 중인 nginx 컨테이너의 셸을 실행한다.
kubectl exec -it init-demo -- /bin/bash
셸에서 GET 요청을 nginx 서버로 전송한다.
root@nginx:~# apt-get update
root@nginx:~# apt-get install curl
root@nginx:~# curl localhost
출력 결과는 nginx가 초기화 컨테이너에 의해 저장된 웹 페이지를 제공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html><head></head><body><header>
<title>http://info.cern.ch</title>
</header>
<h1>http://info.cern.ch - home of the first website</h1>
...
<li><a href="http://info.cern.ch/hypertext/WWW/TheProject.html">Browse the first website</a></li>
...
스태틱 파드 는 API 서버 없이 특정 노드에 있는 kubelet 데몬에 의해 직접 관리된다. 컨트롤 플레인에 의해 관리되는 파드(예를 들어 디플로이먼트(Deployment))와는 달리, kubelet 이 각각의 스태틱 파드를 감시한다. (만약 실패할 경우 다시 구동한다.)
스태틱 파드는 항상 특정 노드에 있는 하나의 Kubelet에 매여 있다.
Kubelet 은 각각의 스태틱 파드에 대하여 쿠버네티스 API 서버에서 미러 파드(mirror pod)를 생성하려고 자동으로 시도한다. 즉, 노드에서 구동되는 파드는 API 서버에 의해서 볼 수 있지만, API 서버에서 제어될 수는 없다. 파드 이름에는 노드 호스트 이름 앞에 하이픈을 붙여 접미사로 추가된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버전 확인을 위해서, 다음 커맨드를 실행kubectl version
.
이 페이지는 파드를 실행하기 위해 도커(Docker)를 사용하며, 노드에서 Fedora 운영 체제를 구동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다른 배포판이나 쿠버네티스 설치 지침과는 다소 상이할 수 있다.
파일 시스템이 호스팅하는 구성 파일이나 웹이 호스팅하는 구성 파일을 사용하여 스태틱 파드를 구성할 수 있다.
매니페스트는 특정 디렉터리에 있는 JSON 이나 YAML 형식의 표준 파드 정의이다.
kubelet 구성 파일의 staticPodPath: <the directory>
필드를 사용하자.
명시한 디렉터리를 정기적으로 스캔하여, 디렉터리 안의 YAML/JSON 파일이 생성되거나 삭제되었을 때 스태틱 파드를 생성하거나 삭제한다.
Kubelet 이 특정 디렉터리를 스캔할 때 점(.)으로 시작하는 단어를 무시한다는 점을 유의하자.
예를 들어, 다음은 스태틱 파드로 간단한 웹 서버를 구동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스태틱 파드를 실행할 노드를 선택한다. 이 예제에서는 my-model
이다.
ssh my-node1
/etc/kubelet.d
와 같은 디렉터리를 선택하고 웹 서버 파드의 정의를 해당 위치에, 예를 들어 /etc/kubelet.d/static-web.yaml
에 배치한다.
# kubelet 이 동작하고 있는 노드에서 이 명령을 수행한다.
mkdir /etc/kubelet.d/
cat <<EOF >/etc/kubelet.d/static-web.yaml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static-web
labels:
role: myrole
spec:
containers:
- name: web
image: nginx
ports:
- name: web
containerPort: 80
protocol: TCP
EOF
노드에서 kubelet 실행 시에 --pod-manifest-path=/etc/kubelet.d/
와 같이 인자를 제공하여 해당 디렉터리를 사용하도록 구성한다. Fedora 의 경우 이 줄을 포함하기 위하여 /etc/kubernetes/kubelet
파일을 다음과 같이 수정한다.
KUBELET_ARGS="--cluster-dns=10.254.0.10 --cluster-domain=kube.local --pod-manifest-path=/etc/kubelet.d/"
혹은 kubelet 구성 파일에
staticPodPath: <the directory>
필드를 추가한다.
kubelet을 재시작한다. Fedora의 경우 아래와 같이 수행한다.
# kubelet 이 동작하고 있는 노드에서 이 명령을 수행한다.
systemctl restart kubelet
Kubelet은 --manifest-url=<URL>
의 인수로 지정된 파일을 주기적으로 다운로드하여
해당 파일을 파드의 정의가 포함된 JSON/YAML 파일로 해석한다.
파일시스템이 호스팅 하는 매니페스트 의 작동 방식과
유사하게 kubelet은 스케줄에 맞춰 매니페스트 파일을 다시 가져온다. 스태틱 파드의 목록에
변경된 부분이 있을 경우, kubelet 은 이를 적용한다.
이 방법을 사용하기 위하여 다음을 수행한다.
kubelet 에게 파일의 URL을 전달하기 위하여 YAML 파일을 생성하고 이를 웹 서버에 저장한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static-web
labels:
role: myrole
spec:
containers:
- name: web
image: nginx
ports:
- name: web
containerPort: 80
protocol: TCP
선택한 노드에서 --manifest-url=<manifest-url>
을 실행하여 웹 메니페스트를 사용하도록 kubelet을 구성한다. Fedora 의 경우 이 줄을 포함하기 위하여 /etc/kubernetes/kubelet
파일을 수정한다.
KUBELET_ARGS="--cluster-dns=10.254.0.10 --cluster-domain=kube.local --manifest-url=<manifest-url>"
Kubelet을 재시작한다. Fedora의 경우 아래와 같이 수행한다.
# kubelet 이 동작하고 있는 노드에서 이 명령을 수행한다.
systemctl restart kubelet
Kubelet 을 시작하면, 정의된 모든 스태틱 파드가 자동으로 시작된다. 스태틱 파드를 정의하고, kubelet을 재시작했으므로, 새로운 스태틱 파드가 이미 실행 중이어야 한다.
(노드에서) 구동되고 있는 (스태틱 파드를 포함한) 컨테이너들을 볼 수 있다.
# kubelet 이 동작하고 있는 노드에서 이 명령을 수행한다.
docker ps
결과는 다음과 유사하다.
CONTAINER ID IMAGE COMMAND CREATED STATUS PORTS NAMES
f6d05272b57e nginx:latest "nginx" 8 minutes ago Up 8 minutes k8s_web.6f802af4_static-web-fk-node1_default_67e24ed9466ba55986d120c867395f3c_378e5f3c
API 서버에서 미러 파드를 볼 수 있다.
kubectl get pods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static-web-my-node1 1/1 Running 0 2m
스태틱 파드에 있는 레이블 은 미러 파드로 전파된다. 셀렉터 등을 통하여 이러한 레이블을 사용할 수 있다.
만약 API 서버로부터 미러 파드를 지우기 위하여 kubectl
을 사용하려 해도,
kubelet 은 스태틱 파드를 지우지 않는다.
kubectl delete pod static-web-my-node1
pod "static-web-my-node1" deleted
파드가 여전히 구동 중인 것을 볼 수 있다.
kubectl get pods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static-web-my-node1 1/1 Running 0 12s
kubelet 이 구동 중인 노드로 돌아가서 도커 컨테이너를 수동으로 중지할 수 있다. 일정 시간이 지나면, kubelet이 파드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다시 시작하는 것을 볼 수 있다.
# kubelet 이 동작하고 있는 노드에서 이 명령을 수행한다.
docker stop f6d05272b57e # 예제를 수행하는 사용자의 컨테이너 ID로 변경한다.
sleep 20
docker ps
CONTAINER ID IMAGE COMMAND CREATED ...
5b920cbaf8b1 nginx:latest "nginx -g 'daemon of 2 seconds ago ...
실행 중인 kubelet 은 주기적으로, 설정된 디렉터리(예제에서는 /etc/kubelet.d
)에서 변경 사항을 스캔하고, 이 디렉터리에 새로운 파일이 생성되거나 삭제될 경우, 파드를 생성/삭제 한다.
# 예제를 수행하는 사용자가 파일시스템이 호스팅하는 스태틱 파드 설정을 사용한다고 가정한다.
# kubelet 이 동작하고 있는 노드에서 이 명령을 수행한다.
#
mv /etc/kubelet.d/static-web.yaml /tmp
sleep 20
docker ps
# 구동 중인 nginx 컨테이너가 없는 것을 확인한다.
mv /tmp/static-web.yaml /etc/kubelet.d/
sleep 20
docker ps
CONTAINER ID IMAGE COMMAND CREATED ...
e7a62e3427f1 nginx:latest "nginx -g 'daemon of 27 seconds ago
쿠버네티스 오브젝트는 여러 개의 오브젝트 구성 파일을
디렉터리에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kubectl apply
를
사용하여 재귀적으로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업데이트함으로써 생성, 업데이트 및 삭제할 수 있다.
이 방식은 변경사항을 되돌려 오브젝트 구성 파일에 병합하지 않고
활성 오브젝트에 가해진 기록을 유지한다. kubectl diff
는 또한
apply
가 어떠한 변경사항을 이루어질지에 대한 프리뷰를 제공한다.
kubectl
를 설치한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버전 확인을 위해서, 다음 커맨드를 실행kubectl version
.
kubectl
툴은 세 가지 방식의 오브젝트 관리를 지원한다.
오브젝트 관리 방식의 종류별 장단점에 대한 논의는 쿠버네티스 오브젝트 관리를 참고한다.
선언형 오브젝트 구성은 쿠버네티스 오브젝트 정의와 구성에 대한 확실한 이해가 필요하다. 아직 그렇지 못하다면, 먼저 다음 문서를 읽고 이해한다.
다음은 이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한 정의이다.
kubectl apply
에 구성 파일을 전달하는지에 대해 보여준다. 구성 파일은 일반적으로 Git과 같은, 소스 컨트롤에 저장된다.kubectl apply
를 실행하여 변경사항을 기록한다.기존에 존재하는 것을 제외한, 지정한 디렉터리 내 구성 파일에 의해 정의된 모든 오브젝트를 생성하기 위해 kubectl apply
를
사용한다.
kubectl apply -f <디렉터리>/
이것은 각 오브젝트에 대해 kubectl.kubernetes.io/last-applied-configuration: '{...}'
어노테이션을 설정한다. 해당 어노테이션은 오브젝트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했던
오브젝트 구성 파일의 내용을 포함한다.
-R
플래그를 추가한다.
다음은 오브젝트 구성 파일에 대한 예시이다.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nginx-deployment
spec:
selector:
matchLabels:
app: nginx
minReadySeconds: 5
template:
metadata:
labels:
app: nginx
spec:
containers:
- name: nginx
image: nginx:1.14.2
ports:
- containerPort: 80
생성될 오브젝트를 출력하려면 kubectl diff
를 실행한다.
kubectl diff -f https://k8s.io/examples/application/simple_deployment.yaml
diff
는 kube-apiserver
의 활성화가 필요한
서버사이드 dry-run을 사용한다.
diff
는 dry-run 모드에서 서버 측 적용 요청을 수행하므로,
PATCH
, CREATE
, 그리고 UPDATE
권한을 부여해야 한다.
자세한 것은
Dry-Run 인증을 본다.
kubectl apply
를 사용하여 오브젝트를 생성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application/simple_deployment.yaml
kubectl get
을 사용하여 활성 구성을 출력한다.
kubectl get -f https://k8s.io/examples/application/simple_deployment.yaml -o yaml
출력은 kubectl.kubernetes.io/last-applied-configuration
어노테이션이
활성 구성에 기록된 것을 보여주며, 그것은 구성 파일과 일치한다.
kind: Deployment
metadata:
annotations:
# ...
# This is the json representation of simple_deployment.yaml
# It was written by kubectl apply when the object was created
kubectl.kubernetes.io/last-applied-configuration: |
{"apiVersion":"apps/v1","kind":"Deployment",
"metadata":{"annotations":{},"name":"nginx-deployment","namespace":"default"},
"spec":{"minReadySeconds":5,"selector":{"matchLabels":{"app":nginx}},"template":{"metadata":{"labels":{"app":"nginx"}},
"spec":{"containers":[{"image":"nginx:1.14.2","name":"nginx",
"ports":[{"containerPort":80}]}]}}}}
# ...
spec:
# ...
minReadySeconds: 5
selector:
matchLabels:
# ...
app: nginx
template:
metadata:
# ...
labels:
app: nginx
spec:
containers:
- image: nginx:1.14.2
# ...
name: nginx
ports:
- containerPort: 80
# ...
# ...
# ...
# ...
또한 오브젝트가 기존에 존재하더라도 디렉터리 내 정의된 모든 오브젝트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kubectl apply
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방식은 다음을 수행할 수 있게 해준다.
kubectl diff -f <디렉터리>/
kubectl apply -f <디렉터리>/
-R
플래그를 추가한다.
다음은 구성 파일의 예시이다.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nginx-deployment
spec:
selector:
matchLabels:
app: nginx
minReadySeconds: 5
template:
metadata:
labels:
app: nginx
spec:
containers:
- name: nginx
image: nginx:1.14.2
ports:
- containerPort: 80
kubectl apply
를 사용하여 오브젝트를 생성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application/simple_deployment.yaml
kubectl get
을 사용하여 활성 구성을 출력한다.
kubectl get -f https://k8s.io/examples/application/simple_deployment.yaml -o yaml
출력은 kubectl.kubernetes.io/last-applied-configuration
어노테이션이
활성 구성에 기록된 것을 보여주며, 그것은 구성 파일과 일치한다.
kind: Deployment
metadata:
annotations:
# ...
# This is the json representation of simple_deployment.yaml
# It was written by kubectl apply when the object was created
kubectl.kubernetes.io/last-applied-configuration: |
{"apiVersion":"apps/v1","kind":"Deployment",
"metadata":{"annotations":{},"name":"nginx-deployment","namespace":"default"},
"spec":{"minReadySeconds":5,"selector":{"matchLabels":{"app":nginx}},"template":{"metadata":{"labels":{"app":"nginx"}},
"spec":{"containers":[{"image":"nginx:1.14.2","name":"nginx",
"ports":[{"containerPort":80}]}]}}}}
# ...
spec:
# ...
minReadySeconds: 5
selector:
matchLabels:
# ...
app: nginx
template:
metadata:
# ...
labels:
app: nginx
spec:
containers:
- image: nginx:1.14.2
# ...
name: nginx
ports:
- containerPort: 80
# ...
# ...
# ...
# ...
kubectl scale
을 사용하여 활성 구성 내 replicas
필드를 직접 업데이트한다.
이는 kubectl apply
를 사용하지 않는다.
kubectl scale deployment/nginx-deployment --replicas=2
kubectl get
을 사용하여 활성 구성을 출력한다.
kubectl get deployment nginx-deployment -o yaml
출력은 replicas
필드가 2로 설정된 것을 보여주며, last-applied-configuration
어노테이션은 replicas
필드를 포함하지 않는다.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annotations:
# ...
# note that the annotation does not contain replicas
# because it was not updated through apply
kubectl.kubernetes.io/last-applied-configuration: |
{"apiVersion":"apps/v1","kind":"Deployment",
"metadata":{"annotations":{},"name":"nginx-deployment","namespace":"default"},
"spec":{"minReadySeconds":5,"selector":{"matchLabels":{"app":nginx}},"template":{"metadata":{"labels":{"app":"nginx"}},
"spec":{"containers":[{"image":"nginx:1.14.2","name":"nginx",
"ports":[{"containerPort":80}]}]}}}}
# ...
spec:
replicas: 2 # written by scale
# ...
minReadySeconds: 5
selector:
matchLabels:
# ...
app: nginx
template:
metadata:
# ...
labels:
app: nginx
spec:
containers:
- image: nginx:1.14.2
# ...
name: nginx
ports:
- containerPort: 80
# ...
nginx:1.14.2
에서 nginx:1.16.1
로 이미지를 변경하기 위해 simple_deployment.yaml
구성 파일을 업데이트 하고, minReadySeconds
필드를 삭제한다.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nginx-deployment
spec:
selector:
matchLabels:
app: nginx
template:
metadata:
labels:
app: nginx
spec:
containers:
- name: nginx
image: nginx:1.16.1 # update the image
ports:
- containerPort: 80
구성 파일에 이루어진 변경사항을 적용한다.
kubectl diff -f https://k8s.io/examples/application/update_deployment.yaml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application/update_deployment.yaml
kubectl get
을 사용하여 활성 구성을 출력한다.
kubectl get -f https://k8s.io/examples/application/update_deployment.yaml -o yaml
출력은 활성 구성에 다음의 변경사항을 보여준다.
replicas
필드는 kubectl scale
에 의해 설정된 값 2를 유지한다.image
필드는 nginx:1.14.2
에서 nginx:1.16.1
로 업데이트되었다.last-applied-configuration
어노테이션은 새로운 이미지로 업데이트되었다.minReadySeconds
필드는 지워졌다.last-applied-configuration
어노테이션은 더 이상 minReadySeconds
필드를 포함하지 않는다.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annotations:
# ...
# The annotation contains the updated image to nginx 1.11.9,
# but does not contain the updated replicas to 2
kubectl.kubernetes.io/last-applied-configuration: |
{"apiVersion":"apps/v1","kind":"Deployment",
"metadata":{"annotations":{},"name":"nginx-deployment","namespace":"default"},
"spec":{"selector":{"matchLabels":{"app":nginx}},"template":{"metadata":{"labels":{"app":"nginx"}},
"spec":{"containers":[{"image":"nginx:1.16.1","name":"nginx",
"ports":[{"containerPort":80}]}]}}}}
# ...
spec:
replicas: 2 # Set by `kubectl scale`. Ignored by `kubectl apply`.
# minReadySeconds cleared by `kubectl apply`
# ...
selector:
matchLabels:
# ...
app: nginx
template:
metadata:
# ...
labels:
app: nginx
spec:
containers:
- image: nginx:1.16.1 # Set by `kubectl apply`
# ...
name: nginx
ports:
- containerPort: 80
# ...
# ...
# ...
# ...
create
와 replace
와 함께 kubectl apply
를
혼합하는 것은 지원하지 않는다. 이는 kubectl apply
가 업데이트 사항을 계산하는데 사용하는
kubectl.kubernetes.io/last-applied-configuration
을 create
와 replace
가
유지하지 하지 않기 때문이다.
kubectl apply
에 의해 관리되는 오브젝트를 삭제하는데 2가지 접근 방법이 있다.
kubectl delete -f <파일명>
명령형 커맨드를 사용하여 오브젝트를 수동으로 삭제하는 것이 권장되는 방식인데, 무엇이 삭제되는지에 대해 더 명확하게 나타내므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게 무언가를 삭제할 가능성이 작아지기 때문이다.
kubectl delete -f <파일명>
kubectl apply -f <디렉터리/> --prune -l your=레이블
무엇을 하는지 파악하는 경우에만 이를 사용한다.
kubectl apply --prune
은 알파 상태이며, 후속 릴리스에서는
하위 호환되지 않는 변경 사항이 도입될 수 있다.
kubectl delete
에 대한 대안으로, 디렉터리로부터 구성 파일이 삭제된 후에 삭제될 오브젝트를 식별하기 위해 kubectl apply
를 사용할 수 있다.
--prune
을 사용하여 적용하면 일련의 레이블의 집합과 일치하는
모든 오브젝트에 대해API 서버에 쿼리하고, 반환된 활성 오브젝트
구성을 오브젝트 구성 파일에 일치시키려고 시도한다.
오브젝트가 쿼리에 일치하고, 해당 디렉터리 내 구성 파일이 없고
last-applied-configuration
어노테이션이 있는 경우,
삭제된다.
kubectl apply -f <디렉터리/> --prune -l <레이블>
-l <레이블>
로 지정된 레이블 셀렉터에 의해 반환되고 하위 디렉터리에 나타나지 않는 경우,
오브젝트가 의도하지 않게 삭제될 수 있다.
활성 오브젝트의 구성을 확인하기 위해 -o yaml
과 함께 kubectl get
을 사용할 수 있다.
kubectl get -f <파일명|url> -o yaml
kubectl apply
가 하나의 오브젝트에 대한 활성 구성을 업데이트할 때,
API 서버에 패치 요청을 보냄으로써 그것을 수행한다.
그 패치는 활성 오브젝트 구성의 특정 필드에 대한 범위의
업데이트로 한정한다. kubectl apply
커맨드는
구성 파일, 활성 구성, 그리고 활성 구성에 저장된
last-applied-configuration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이 패치 요청을 계산한다.
kubectl apply
명령은
kubectl.kubernetes.io/last-applied-configuration
어노테이션에 구성 파일의 내용을 기록한다.
이것은 구성 파일로부터 제거되었고 활성 구성으로부터 지워질 필요가 있는
필드를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 다음은 어떤 필드가 삭제 또는 설정돼야 하는지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계이다.
last-applied-configuration
내 존재하고 구성 파일로부터 유실된 필드이다.다음은 예시이다. 디플로이먼트 오브젝트에 대한 구성 파일이라고 가정한다.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nginx-deployment
spec:
selector:
matchLabels:
app: nginx
template:
metadata:
labels:
app: nginx
spec:
containers:
- name: nginx
image: nginx:1.16.1 # update the image
ports:
- containerPort: 80
또한, 이것은 동일한 디플로이먼트 오브젝트에 대한 활성 구성이라고 가정한다.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annotations:
# ...
# note that the annotation does not contain replicas
# because it was not updated through apply
kubectl.kubernetes.io/last-applied-configuration: |
{"apiVersion":"apps/v1","kind":"Deployment",
"metadata":{"annotations":{},"name":"nginx-deployment","namespace":"default"},
"spec":{"minReadySeconds":5,"selector":{"matchLabels":{"app":nginx}},"template":{"metadata":{"labels":{"app":"nginx"}},
"spec":{"containers":[{"image":"nginx:1.14.2","name":"nginx",
"ports":[{"containerPort":80}]}]}}}}
# ...
spec:
replicas: 2 # written by scale
# ...
minReadySeconds: 5
selector:
matchLabels:
# ...
app: nginx
template:
metadata:
# ...
labels:
app: nginx
spec:
containers:
- image: nginx:1.14.2
# ...
name: nginx
ports:
- containerPort: 80
# ...
다음은 kubectl apply
에 의해 수행될 병합 계산이다.
last-applied-configuration
으로부터 값을 읽어
구성 파일의 값과 비교하여 삭제할 필드를
계산한다.
last-applied-configuration
에 보이는 것과는 무관하게
로컬의 오브젝트 구성 파일 내 null이라고 명시적으로 설정된 필드를 지운다.
이 예시에서, minReadySeconds
은
last-applied-configuration
어노테이션 내 나타나지만, 구성 파일 내에는 보여지지 않는다.
조치: 활성 구성으로부터 minReadySeconds
을 지운다.image
값은 활성 구성 내 값과 불일치한다.
조치: 활성 구성 내 image
값을 설정한다.last-applied-configuration
어노테이션을 설정한다.다음은 병합의 결과인 활성 구성이다.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annotations:
# ...
# The annotation contains the updated image to nginx 1.11.9,
# but does not contain the updated replicas to 2
kubectl.kubernetes.io/last-applied-configuration: |
{"apiVersion":"apps/v1","kind":"Deployment",
"metadata":{"annotations":{},"name":"nginx-deployment","namespace":"default"},
"spec":{"selector":{"matchLabels":{"app":nginx}},"template":{"metadata":{"labels":{"app":"nginx"}},
"spec":{"containers":[{"image":"nginx:1.16.1","name":"nginx",
"ports":[{"containerPort":80}]}]}}}}
# ...
spec:
selector:
matchLabels:
# ...
app: nginx
replicas: 2 # Set by `kubectl scale`. Ignored by `kubectl apply`.
# minReadySeconds cleared by `kubectl apply`
# ...
template:
metadata:
# ...
labels:
app: nginx
spec:
containers:
- image: nginx:1.16.1 # Set by `kubectl apply`
# ...
name: nginx
ports:
- containerPort: 80
# ...
# ...
# ...
# ...
구성 파일 내 특정 필드가 필드의 타입에 따라 어떻게 활성 구성과 함께 병합되는가. 여러 가지 필드 타입이 있다.
기본(primitives): 문자열, 숫자 또는 불리언 타입의 필드.
예를 들어, image
와 replicas
는 기본 필드다. 조치: 교체.
맵, 또한 오브젝트 라 칭함: 맵 타입 또는 서브필드를 포함하는 복합 타입의 필드. 예를 들어, 레이블
,
어노테이션
,스펙
및 메타데이터
는 모두 맵이다. 조치: 구성요소 또는 서브필드 병합.
리스트: 기본타입 또는 맵이 될 수 있는 아이템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필드.
예를 들어, 컨테이너
, 포트
, 그리고 args
는 리스트다. 조치: 다양함.
kubectl apply
가 맵 또는 리스트 필드를 업데이트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전체 필드를 교체하는 대신, 개별 부 구성요소를 업데이트한다,
예를 들어, 디플로이먼트에 대한 spec
을 병합할 경우, 전체 spec
이
교체되지 않는다. 대신 replicas
와 같은 spec
의 서브필드가
비교되고 병합된다.
기본 필드는 교체되거나 지워진다.
-
는 값이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해당 없음"으로 사용된다.
Field in object configuration file | Field in live object configuration | Field in last-applied-configuration | Action |
---|---|---|---|
Yes | Yes | - | 구성 파일 값 활성으로 설정. |
Yes | No | - | 활성을 로컬 구성으로 설정. |
No | - | Yes | 활성 구성으로부터 지움. |
No | - | No | 아무것도 안함. 활성값 유지. |
맵을 요청하는 필드는 서브필드의 각각 또는 맵의 구성요소를 비교함으로써 병합된다.
-
는 값이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해당 없음"으로 사용된다.
Key in object configuration file | Key in live object configuration | Field in last-applied-configuration | Action |
---|---|---|---|
Yes | Yes | - | 서브필드 값 비교. |
Yes | No | - | 활성을 로컬 구성으로 설정. |
No | - | Yes | 활성 구성으로부터 삭제. |
No | - | No | 아무것도 안함. 활성값 유지. |
리스트에 대한 변경사항을 병합하는 것은 세 가지 전략 중 하나를 사용한다.
전략에 대한 선택은 필드별로 이루어진다.
기초 필드와 동일한 리스트로 취급한다. 전체 리스트를 교체 또는 삭제한다. 이것은 순서를 유지한다.
예시: 파드 내 컨테이너의 args
필드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kubectl apply
를 사용한다.
이것은 활성 구성 내 args
의 값을 구성 파일 내 값으로 설정한다.
활성 구성에 추가했던 이전의 모든 args
구성요소들은 유실된다.
구성 파일 내 정의한 args
구성요소의 순서는
활성 구성 내 유지된다.
# last-applied-configuration value
args: ["a", "b"]
# configuration file value
args: ["a", "c"]
# live configuration
args: ["a", "b", "d"]
# result after merge
args: ["a", "c"]
설명: 병합은 새로운 리스트 값으로 구성 파일 값을 사용했다.
리스트를 맵으로 취급하고 각 구성요소의 특정 필드를 키로 취급한다. 개별 구성요소를 추가, 삭제, 또는 업데이트 한다. 이것은 순서를 보존하지 않는다.
이 병합 전략은 각 필드에 patchMergeKey
라 칭하는 특별한 태그를 사용한다.
patchMergeKey
는 쿠버네티스 소스 코드:
types.go
의 각 필드에 대해 정의한다. 맵 리스트를 병합할 때, 주어진 구성요소에 대한 patchMergeKey
로
지정한 필드는 해당 구성요소에 대한 맵키와 같이 사용된다.
예시: kubectl apply
를 사용하여 PodSpec에 대한 containers
필드를 업데이트한다.
이렇게 하면 각 구성요소가
name
별로 키로 되어 있는 맵인 것처럼 리스트를 병합한다.
# last-applied-configuration value
containers:
- name: nginx
image: nginx:1.10
- name: nginx-helper-a # key: nginx-helper-a; will be deleted in result
image: helper:1.3
- name: nginx-helper-b # key: nginx-helper-b; will be retained
image: helper:1.3
# configuration file value
containers:
- name: nginx
image: nginx:1.10
- name: nginx-helper-b
image: helper:1.3
- name: nginx-helper-c # key: nginx-helper-c; will be added in result
image: helper:1.3
# live configuration
containers:
- name: nginx
image: nginx:1.10
- name: nginx-helper-a
image: helper:1.3
- name: nginx-helper-b
image: helper:1.3
args: ["run"] # Field will be retained
- name: nginx-helper-d # key: nginx-helper-d; will be retained
image: helper:1.3
# result after merge
containers:
- name: nginx
image: nginx:1.10
# Element nginx-helper-a was deleted
- name: nginx-helper-b
image: helper:1.3
args: ["run"] # Field was retained
- name: nginx-helper-c # Element was added
image: helper:1.3
- name: nginx-helper-d # Element was ignored
image: helper:1.3
설명:
args
에kubectl apply
는args
가 없음) 활성 구성에patchMergeKey
필드 값(이름)이 둘 다 같았기 때문이다..쿠버네티스 1.5로부터 기초 구성요소 병합하기는 지원되지 않는다.
patchStrategy
태그에 의해 제어된다.
타입 필드에 대해 patchStrategy
가 지정되지 않으면,
리스트는 대체된다.
오브젝트가 생성될 때 값이 지정되지 않는 경우, API 서버는 활성 구성 내 특정 필드를 기본값으로 설정한다.
다음은 디플로이먼트에 대한 구성 파일이다. 파일에는 strategy
가 지정되지 않았다.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nginx-deployment
spec:
selector:
matchLabels:
app: nginx
minReadySeconds: 5
template:
metadata:
labels:
app: nginx
spec:
containers:
- name: nginx
image: nginx:1.14.2
ports:
- containerPort: 80
kubectl apply
를 사용하여 오브젝트를 생성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application/simple_deployment.yaml
kubectl get
을 사용하여 활성 구성을 출력한다.
kubectl get -f https://k8s.io/examples/application/simple_deployment.yaml -o yaml
출력은 API 서버가 활성 구성 내 여러 필드를 기본값으로 설정한 것을 보여준다. 이 필드들은 구성 파일에 지정되지 않았다.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 ...
spec:
selector:
matchLabels:
app: nginx
minReadySeconds: 5
replicas: 1 # defaulted by apiserver
strategy:
rollingUpdate: # defaulted by apiserver - derived from strategy.type
maxSurge: 1
maxUnavailable: 1
type: RollingUpdate # defaulted by apiserver
template:
metadata:
creationTimestamp: null
labels:
app: nginx
spec:
containers:
- image: nginx:1.14.2
imagePullPolicy: IfNotPresent # defaulted by apiserver
name: nginx
ports:
- containerPort: 80
protocol: TCP # defaulted by apiserver
resources: {} # defaulted by apiserver
terminationMessagePath: /dev/termination-log # defaulted by apiserver
dnsPolicy: ClusterFirst # defaulted by apiserver
restartPolicy: Always # defaulted by apiserver
securityContext: {} # defaulted by apiserver
terminationGracePeriodSeconds: 30 # defaulted by apiserver
# ...
패치 요청에서, 패치 요청의 부분으로서 명시적으로 지워지지 않은 경우 기본 처리된 필드는 다시 기본으로 설정되지 않는다. 이것은 다른 필드에 대한 값에 따라 기본 처리된 필드에 대해 예상하지 못한 동작을 유발할 수 있다. 다른 필드가 나중에 변경되면, 그로부터 기본 처리된 것이 명시적으로 지워지지 않은 한 업데이트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사유로, 의도한 값이 서버의 기본값과 일치하더라도, 서버에 의해 기본 처리된 특정 필드는 구성 파일 내 명시적으로 정의할 것을 권고한다. 이렇게 하면 서버에 의해 다시 기본 처리되지 않게 될 충돌하는 값을 보다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해준다.
Example:
# last-applied-configuration
spec:
template:
metadata:
labels:
app: nginx
spec:
containers:
- name: nginx
image: nginx:1.14.2
ports:
- containerPort: 80
# configuration file
spec:
strategy:
type: Recreate # updated value
template:
metadata:
labels:
app: nginx
spec:
containers:
- name: nginx
image: nginx:1.14.2
ports:
- containerPort: 80
# live configuration
spec:
strategy:
type: RollingUpdate # defaulted value
rollingUpdate: # defaulted value derived from type
maxSurge : 1
maxUnavailable: 1
template:
metadata:
labels:
app: nginx
spec:
containers:
- name: nginx
image: nginx:1.14.2
ports:
- containerPort: 80
# result after merge - ERROR!
spec:
strategy:
type: Recreate # updated value: incompatible with rollingUpdate
rollingUpdate: # defaulted value: incompatible with "type: Recreate"
maxSurge : 1
maxUnavailable: 1
template:
metadata:
labels:
app: nginx
spec:
containers:
- name: nginx
image: nginx:1.14.2
ports:
- containerPort: 80
설명:
strategy.type
을 정의하지 않고 디플로이먼트를 생성한다.strategy.type
을 RollingUpdate
로 기본 설정하고
strategy.rollingUpdate
값을 기본 값으로 처리한다.strategy.type
를 Recreate
로 변경한다.
서버에서 해당 값이 삭제될 거라 예상하지만 strategy.rollingUpdate
값은 기본값으로 남아 있다.strategy.rollingUpdate
값이 처음에 구성 파일에서 지정되었다면,
이것을 삭제해야 한다는 것이 더 분명했을 것이다.strategy.rollingUpdate
가 지워지지 않았기 때문에 적용은 실패한다.
strategy.rollingupdate
필드는 Recreate
의 strategy.type
으로 정의될 수 없다.권고: 이들 필드는 오브젝트 구성 파일 내 명시적으로 정의돼야 한다.
구성 파일 내 나타나지 않는 필드는 그 값을
null
로 설정하고 나서 구성 파일을 적용함으로써 지워질 수 있다.
서버가 기본 값을 할당했던 필드에 대해서, 이는 다시 기본 값을
할당하도록 한다.
개별 오브젝트 필드를 변경시키는 데 사용해야 하는 유일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kubectl apply
를 사용한다.kubectl scale
을 사용한다.구성 파일에 필드를 추가한다. 해당 필드의 경우
kubectl apply
를 거치지 않는 활성 구성에 대해 직접 업데이트를 적용하지 않는다.
쿠버네티스 1.5로부터 구성 파일에서 명령형 작성자로 소유권을 변경하는데 수동 단계 필요하다.
kubectl.kubernetes.io/last-applied-configuration
어노테이션에서 필드를 제거한다.쿠버네티스 오브젝트는 한 번에 오직 하나의 방법을 사용하여 관리돼야 한다. 하나의 방법에서 다른 방법으로 전환하는 것은 가능하나, 수동 프로세스이다.
명령형 커맨드 관리에서 오브젝트 구성으로 이전하는 것은 여러 수동 단계를 포함한다.
활성 오브젝트를 로컬 구성 파일로 내보낸다.
kubectl get <종류>/<이름> -o yaml > <종류>_<이름>.yaml
구성 파일에서 수동으로 status
필드를 제거한다.
kubectl apply
구성 파일에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상태 필드가 업데이트되지 않기 때문에,
이 단계는 선택적이다.
오브젝트의 kubectl.kubernetes.io/last-applied-configuration
어노테이션을 설정한다.
kubectl replace --save-config -f <종류>_<이름>.yaml
오직 오브젝트를 관리하기 위해 kubectl apply
를 사용하도록 프로세스를 변경한다.
오브젝트의 kubectl.kubernetes.io/last-applied-configuration
어노테이션을 설정한다.
kubectl replace --save-config -f <종류>_<이름>.yaml
오직 오브젝트를 관리하기 위해 kubectl apply
를 사용하도록 프로세스를 변경한다.
권고되는 접근 방법은 다른 의미론적 의미를 가지지 않고 컨트롤러에 의해서만 사용되는 단일, 불변의 파드템플릿 레이블을 정의하는 것이다.
예시:
selector:
matchLabels:
controller-selector: "apps/v1/deployment/nginx"
template:
metadata:
labels:
controller-selector: "apps/v1/deployment/nginx"
Kustomize는 kustomization 파일을 통해 쿠버네티스 오브젝트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변경하는(customize) 독립형 도구이다.
1.14 이후로, kubectl도 kustomization 파일을 사용한 쿠버네티스 오브젝트의 관리를 지원한다. kustomization 파일을 포함하는 디렉터리 내의 리소스를 보려면 다음 명령어를 실행한다.
kubectl kustomize <kustomization_directory>
이 리소스를 적용하려면 kubectl apply
를 --kustomize
또는 -k
플래그와 함께 실행한다.
kubectl apply -k <kustomization_directory>
kubectl
을 설치한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버전 확인을 위해서, 다음 커맨드를 실행kubectl version
.
Kustomize는 쿠버네티스 구성을 사용자 정의화하는 도구이다. 이는 애플리케이션 구성 파일을 관리하기 위해 다음 기능들을 가진다.
컨피그맵과 시크릿은 파드와 같은 다른 쿠버네티스 오브젝트에서 사용되는 설정이나 민감한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 컨피그맵이나 시크릿의 실질적인 소스는 일반적으로 .properties
파일이나 ssh key 파일과 같은 것들은 클러스터 외부에 있다.
Kustomize는 시크릿과 컨피그맵을 파일이나 문자열에서 생성하는 secretGenerator
와 configMapGenerator
를 가지고 있다.
파일에서 컨피그맵을 생성하려면 configMapGenerator
내의 files
리스트에 항목을 추가한다. 다음은 하나의 .properties
파일에서 데이터 항목으로 컨피그맵을 생성하는 예제이다.
#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을 생성
cat <<EOF >application.properties
FOO=Bar
EOF
cat <<EOF >./kustomization.yaml
configMapGenerator:
- name: example-configmap-1
files:
- application.properties
EOF
생성된 컨피그맵은 다음 명령어로 검사할 수 있다.
kubectl kustomize ./
생성된 컨피그맵은 다음과 같다.
apiVersion: v1
data:
application.properties: |
FOO=Bar
kind: ConfigMap
metadata:
name: example-configmap-1-8mbdf7882g
env 파일에서 컨피그맵을 생성하려면, configMapGenerator
의 envs
리스트에 항목을 추가한다. 다음은 .env
파일의 데이터 항목으로 컨피그맵을 생성하는 예시를 보여준다.
# .env 파일 생성
cat <<EOF >.env
FOO=Bar
EOF
cat <<EOF >./kustomization.yaml
configMapGenerator:
- name: example-configmap-1
envs:
- .env
EOF
생성된 컨피그맵은 다음 명령어로 검사할 수 있다.
kubectl kustomize ./
생성된 컨피그맵은 다음과 같다.
apiVersion: v1
data:
FOO=Bar
kind: ConfigMap
metadata:
name: example-configmap-1-8mbdf7882g
.env
파일의 각 변수는 생성한 컨피그맵에서 분리된 키가 된다. .properties
라는 이름의 파일을 내장하는 이전 예시(그리고 모든 항목들)는 단일 키를 위한 값이므로 이 예시와는 다르다.
컨피그맵은 문자로된 키-값 쌍들로도 생성할 수 있다. 문자로된 키-값 쌍에서 컨피그맵을 생성하려면, configMapGenerator 내의 literals
리스트에 항목을 추가한다. 다음은 키-값 쌍을 데이터 항목으로 받는 컨피그맵을 생성하는 예제이다.
cat <<EOF >./kustomization.yaml
configMapGenerator:
- name: example-configmap-2
literals:
- FOO=Bar
EOF
생성된 컨피그맵은 다음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다.
kubectl kustomize ./
생성된 컨피그맵은 다음과 같다.
apiVersion: v1
data:
FOO: Bar
kind: ConfigMap
metadata:
name: example-configmap-2-g2hdhfc6tk
디플로이먼트에서 생성된 컨피그맵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configMapGenerator의 이름을 참조한다. Kustomize는 자동으로 해당 이름을 생성된 이름으로 교체할 것이다.
다음은 생성된 컨피그맵을 사용하는 디플로이먼트의 예시다.
#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을 생성한다.
cat <<EOF >application.properties
FOO=Bar
EOF
cat <<EOF >deployment.yaml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my-app
labels:
app: my-app
spec:
selector:
matchLabels:
app: my-app
template:
metadata:
labels:
app: my-app
spec:
containers:
- name: app
image: my-app
volumeMounts:
- name: config
mountPath: /config
volumes:
- name: config
configMap:
name: example-configmap-1
EOF
cat <<EOF >./kustomization.yaml
resources:
- deployment.yaml
configMapGenerator:
- name: example-configmap-1
files:
- application.properties
EOF
컨피그맵과 디플로이먼트를 생성한다.
kubectl kustomize ./
생성된 디플로이먼트는 이름을 통해서 생성된 컨피그맵을 참조한다.
apiVersion: v1
data:
application.properties: |
FOO=Bar
kind: ConfigMap
metadata:
name: example-configmap-1-g4hk9g2ff8
---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labels:
app: my-app
name: my-app
spec:
selector:
matchLabels:
app: my-app
template:
metadata:
labels:
app: my-app
spec:
containers:
- image: my-app
name: app
volumeMounts:
- mountPath: /config
name: config
volumes:
- configMap:
name: example-configmap-1-g4hk9g2ff8
name: config
파일 또는 문자로된 키-값 쌍들로 시크릿을 생성할 수 있다. 파일에서 시크릿을 생성하려면 secretGenerator
내의 files
리스트에 항목을 추가한다. 다음은 파일을 데이터 항목으로 받는 시크릿을 생성하는 예제이다.
# password.txt 파일을 생성
cat <<EOF >./password.txt
username=admin
password=secret
EOF
cat <<EOF >./kustomization.yaml
secretGenerator:
- name: example-secret-1
files:
- password.txt
EOF
생성된 시크릿은 다음과 같다.
apiVersion: v1
data:
password.txt: dXNlcm5hbWU9YWRtaW4KcGFzc3dvcmQ9c2VjcmV0Cg==
kind: Secret
metadata:
name: example-secret-1-t2kt65hgtb
type: Opaque
문자로된 키-값 쌍으로 시크릿을 생성하려면, secretGenerator
내의 literals
리스트에 항목을 추가한다. 다음은 키-값 쌍을 데이터 항목으로 받는 시크릿을 생성하는 예제이다.
cat <<EOF >./kustomization.yaml
secretGenerator:
- name: example-secret-2
literals:
- username=admin
- password=secret
EOF
생성된 시크릿은 다음과 같다.
apiVersion: v1
data:
password: c2VjcmV0
username: YWRtaW4=
kind: Secret
metadata:
name: example-secret-2-t52t6g96d8
type: Opaque
컨피그맵과 유사하게, 생성된 시크릿도 secretGenerator의 이름을 참조함으로써 디플로이먼트에서 사용될 수 있다.
# password.txt 파일을 생성한다.
cat <<EOF >./password.txt
username=admin
password=secret
EOF
cat <<EOF >deployment.yaml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my-app
labels:
app: my-app
spec:
selector:
matchLabels:
app: my-app
template:
metadata:
labels:
app: my-app
spec:
containers:
- name: app
image: my-app
volumeMounts:
- name: password
mountPath: /secrets
volumes:
- name: password
secret:
secretName: example-secret-1
EOF
cat <<EOF >./kustomization.yaml
resources:
- deployment.yaml
secretGenerator:
- name: example-secret-1
files:
- password.txt
EOF
생성된 컨피그맵과 시크릿은 콘텐츠 해시 접미사가 추가된다. 이는 콘텐츠가 변경될 때 새로운 컨피그맵 이나 시크릿이 생성되는 것을 보장한다. 접미사를 추가하는 동작을 비활성화하는 방법으로 generatorOptions
를 사용할 수 있다. 그밖에, 생성된 컨피그맵과 시크릿에 교차 편집 옵션들을 지정해주는 것도 가능하다.
cat <<EOF >./kustomization.yaml
configMapGenerator:
- name: example-configmap-3
literals:
- FOO=Bar
generatorOptions:
disableNameSuffixHash: true
labels:
type: generated
annotations:
note: generated
EOF
생성된 컨피그맵을 보려면 kubectl kustomize ./
를 실행한다.
apiVersion: v1
data:
FOO: Bar
kind: ConfigMap
metadata:
annotations:
note: generated
labels:
type: generated
name: example-configmap-3
프로젝트 내 모든 쿠버네티스 리소스에 교차 편집 필드를 설정하는 것은 꽤나 일반적이다. 교차 편집 필드를 설정하는 몇 가지 사용 사례는 다음과 같다.
다음은 예제이다.
# deployment.yaml을 생성
cat <<EOF >./deployment.yaml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nginx-deployment
labels:
app: nginx
spec:
selector:
matchLabels:
app: nginx
template:
metadata:
labels:
app: nginx
spec:
containers:
- name: nginx
image: nginx
EOF
cat <<EOF >./kustomization.yaml
namespace: my-namespace
namePrefix: dev-
nameSuffix: "-001"
commonLabels:
app: bingo
commonAnnotations:
oncallPager: 800-555-1212
resources:
- deployment.yaml
EOF
이 필드들이 디플로이먼트 리소스에 모두 설정되었는지 보려면 kubectl kustomize ./
를 실행한다.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annotations:
oncallPager: 800-555-1212
labels:
app: bingo
name: dev-nginx-deployment-001
namespace: my-namespace
spec:
selector:
matchLabels:
app: bingo
template:
metadata:
annotations:
oncallPager: 800-555-1212
labels:
app: bingo
spec:
containers:
- image: nginx
name: nginx
프로젝트 내 리소스의 집합을 구성하여 이들을 동일한 파일이나 디렉터리 내에서 관리하는 것은 일반적이다. Kustomize는 서로 다른 파일들로 리소스를 구성하고 패치나 다른 사용자 정의를 이들에 적용하는 것을 제공한다.
Kustomize는 서로 다른 리소스들의 구성을 지원한다. kustomization.yaml
파일 내 resources
필드는 구성 내에 포함하려는 리소스들의 리스트를 정의한다. resources
리스트 내에 리소스의 구성 파일의 경로를 설정한다.
다음 예제는 디플로이먼트와 서비스로 구성된 NGINX 애플리케이션이다.
# deployment.yaml 파일 생성
cat <<EOF > deployment.yaml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my-nginx
spec:
selector:
matchLabels:
run: my-nginx
replicas: 2
template:
metadata:
labels:
run: my-nginx
spec:
containers:
- name: my-nginx
image: nginx
ports:
- containerPort: 80
EOF
# service.yaml 파일 생성
cat <<EOF > service.yaml
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my-nginx
labels:
run: my-nginx
spec:
ports:
- port: 80
protocol: TCP
selector:
run: my-nginx
EOF
# 이들을 구성하는 kustomization.yaml 생성
cat <<EOF >./kustomization.yaml
resources:
- deployment.yaml
- service.yaml
EOF
kubectl kustomize ./
의 리소스에는 디플로이먼트와 서비스 오브젝트가 모두 포함되어 있다.
패치는 리소스에 다른 사용자 정의를 적용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Kustomize는
patchesStrategicMerge
와 patchesJson6902
를 통해 서로 다른 패치 메커니즘을 지원한다. patchesStrategicMerge
는 파일 경로들의 리스트이다. 각각의 파일은 전략적 병합 패치로 분석될 수 있어야 한다. 패치 내부의 네임은 반드시 이미 읽혀진 리소스 네임과 일치해야 한다. 한 가지 일을 하는 작은 패치가 권장된다. 예를 들기 위해 디플로이먼트 레플리카 숫자를 증가시키는 하나의 패치와 메모리 상한을 설정하는 다른 패치를 생성한다.
# deployment.yaml 파일 생성
cat <<EOF > deployment.yaml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my-nginx
spec:
selector:
matchLabels:
run: my-nginx
replicas: 2
template:
metadata:
labels:
run: my-nginx
spec:
containers:
- name: my-nginx
image: nginx
ports:
- containerPort: 80
EOF
# increase_replicas.yaml 패치 생성
cat <<EOF > increase_replicas.yaml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my-nginx
spec:
replicas: 3
EOF
# 다른 패치로 set_memory.yaml 생성
cat <<EOF > set_memory.yaml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my-nginx
spec:
template:
spec:
containers:
- name: my-nginx
resources:
limits:
memory: 512Mi
EOF
cat <<EOF >./kustomization.yaml
resources:
- deployment.yaml
patchesStrategicMerge:
- increase_replicas.yaml
- set_memory.yaml
EOF
디플로이먼트를 보려면 kubectl kustomize ./
를 실행한다.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my-nginx
spec:
replicas: 3
selector:
matchLabels:
run: my-nginx
template:
metadata:
labels:
run: my-nginx
spec:
containers:
- image: nginx
name: my-nginx
ports:
- containerPort: 80
resources:
limits:
memory: 512Mi
모든 리소스 또는 필드가 전략적 병합 패치를 지원하는 것은 아니다. 임의의 리소스 내 임의의 필드의 수정을 지원하기 위해,
Kustomize는 patchesJson6902
를 통한 JSON 패치 적용을 제공한다.
Json 패치의 정확한 리소스를 찾기 위해, 해당 리소스의 group, version, kind, name이
kustomization.yaml
내에 명시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patchesJson6902
를 통해
디플로이먼트 오브젝트의 레플리카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 deployment.yaml 파일 생성
cat <<EOF > deployment.yaml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my-nginx
spec:
selector:
matchLabels:
run: my-nginx
replicas: 2
template:
metadata:
labels:
run: my-nginx
spec:
containers:
- name: my-nginx
image: nginx
ports:
- containerPort: 80
EOF
# json 패치 생성
cat <<EOF > patch.yaml
- op: replace
path: /spec/replicas
value: 3
EOF
# kustomization.yaml 생성
cat <<EOF >./kustomization.yaml
resources:
- deployment.yaml
patchesJson6902:
- target:
group: apps
version: v1
kind: Deployment
name: my-nginx
path: patch.yaml
EOF
kubectl kustomize ./
를 실행하여 replicas
필드가 갱신되었는지 확인한다.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my-nginx
spec:
replicas: 3
selector:
matchLabels:
run: my-nginx
template:
metadata:
labels:
run: my-nginx
spec:
containers:
- image: nginx
name: my-nginx
ports:
- containerPort: 80
패치 기능에 추가로 Kustomize는 패치를 생성하지 않고 컨테이너 이미지를 사용자 정의하거나 다른 오브젝트의 필드 값을 컨테이너에 주입하는
기능도 제공한다. 예를 들어 kustomization.yaml
의 images
필드에 신규 이미지를 지정하여 컨테이너에서 사용되는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다.
cat <<EOF > deployment.yaml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my-nginx
spec:
selector:
matchLabels:
run: my-nginx
replicas: 2
template:
metadata:
labels:
run: my-nginx
spec:
containers:
- name: my-nginx
image: nginx
ports:
- containerPort: 80
EOF
cat <<EOF >./kustomization.yaml
resources:
- deployment.yaml
images:
- name: nginx
newName: my.image.registry/nginx
newTag: 1.4.0
EOF
사용된 이미지가 갱신되었는지 확인하려면 kubectl kustomize ./
를 실행한다.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my-nginx
spec:
replicas: 2
selector:
matchLabels:
run: my-nginx
template:
metadata:
labels:
run: my-nginx
spec:
containers:
- image: my.image.registry/nginx:1.4.0
name: my-nginx
ports:
- containerPort: 80
가끔, 파드 내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 다른 오브젝트의 설정 값을 사용해야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플로이먼트 오브젝트의 파드는 Env 또는 커맨드 인수로 해당 서비스 네임을 읽어야 한다고 하자.
kustomization.yaml
파일에 namePrefix
또는 nameSuffix
가 추가되면 서비스 네임이 변경될 수 있다.
커맨드 인수 내에 서비스 네임을 하드 코딩하는 것을 권장하지 않는다. 이 용도에서 Kustomize는 vars
를 통해 containers에 서비스 네임을 삽입할 수 있다.
# deployment.yaml 파일 생성
cat <<EOF > deployment.yaml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my-nginx
spec:
selector:
matchLabels:
run: my-nginx
replicas: 2
template:
metadata:
labels:
run: my-nginx
spec:
containers:
- name: my-nginx
image: nginx
command: ["start", "--host", "$(MY_SERVICE_NAME)"]
EOF
# service.yaml 파일 생성
cat <<EOF > service.yaml
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my-nginx
labels:
run: my-nginx
spec:
ports:
- port: 80
protocol: TCP
selector:
run: my-nginx
EOF
cat <<EOF >./kustomization.yaml
namePrefix: dev-
nameSuffix: "-001"
resources:
- deployment.yaml
- service.yaml
vars:
- name: MY_SERVICE_NAME
objref:
kind: Service
name: my-nginx
apiVersion: v1
EOF
kubectl kustomize ./
를 실행하면 dev-my-nginx-001
로 컨테이너에 삽입된 서비스 네임을 볼 수 있다.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dev-my-nginx-001
spec:
replicas: 2
selector:
matchLabels:
run: my-nginx
template:
metadata:
labels:
run: my-nginx
spec:
containers:
- command:
- start
- --host
- dev-my-nginx-001
image: nginx
name: my-nginx
Kustomize는 base 와 overlay 의 개념을 가지고 있다. base 는 kustomization.yaml
과 함께 사용되는 디렉터리다. 이는
사용자 정의와 관련된 리소스들의 집합을 포함한다. kustomization.yaml
의 내부에 표시되는 base는 로컬 디렉터리이거나 원격 리포지터리의 디렉터리가
될 수 있다. overlay 는 kustomization.yaml
이 있는 디렉터리로
다른 kustomization 디렉터리들을 bases
로 참조한다. base 는 overlay에 대해서 알지 못하며 여러 overlay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한 overlay는 다수의 base들을 가질 수 있고, base들에서 모든 리소스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들의 위에 사용자 정의도 가질 수 있다.
다음은 base에 대한 예이다.
# base를 가지는 디렉터리 생성
mkdir base
# base/deployment.yaml 생성
cat <<EOF > base/deployment.yaml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my-nginx
spec:
selector:
matchLabels:
run: my-nginx
replicas: 2
template:
metadata:
labels:
run: my-nginx
spec:
containers:
- name: my-nginx
image: nginx
EOF
# base/service.yaml 파일 생성
cat <<EOF > base/service.yaml
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my-nginx
labels:
run: my-nginx
spec:
ports:
- port: 80
protocol: TCP
selector:
run: my-nginx
EOF
# base/kustomization.yaml 생성
cat <<EOF > base/kustomization.yaml
resources:
- deployment.yaml
- service.yaml
EOF
이 base는 다수의 overlay에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namePrefix
또는 다른 교차 편집 필드들을
서로 다른 overlay에 추가할 수 있다. 다음 예제는 동일한 base를 사용하는 두 overlay들이다.
mkdir dev
cat <<EOF > dev/kustomization.yaml
bases:
- ../base
namePrefix: dev-
EOF
mkdir prod
cat <<EOF > prod/kustomization.yaml
bases:
- ../base
namePrefix: prod-
EOF
kustomization.yaml
에서 관리되는 리소스를 인식하려면 kubectl
명령어에 --kustomize
나 -k
를 사용한다.
-k
는 다음과 같이 kustomization 디렉터리를 가리키고 있어야 한다는 것을 주의한다.
kubectl apply -k <kustomization directory>/
다음 kustomization.yaml
이 주어지고,
# deployment.yaml 파일 생성
cat <<EOF > deployment.yaml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my-nginx
spec:
selector:
matchLabels:
run: my-nginx
replicas: 2
template:
metadata:
labels:
run: my-nginx
spec:
containers:
- name: my-nginx
image: nginx
ports:
- containerPort: 80
EOF
# kustomization.yaml 생성
cat <<EOF >./kustomization.yaml
namePrefix: dev-
commonLabels:
app: my-nginx
resources:
- deployment.yaml
EOF
디플로이먼트 오브젝트 dev-my-nginx
를 적용하려면 다음 명령어를 실행한다.
> kubectl apply -k ./
deployment.apps/dev-my-nginx created
디플로이먼트 오브젝트 dev-my-nginx
를 보려면 다음 명령어들 중에 하나를 실행한다.
kubectl get -k ./
kubectl describe -k ./
다음 명령을 실행해서 디플로이먼트 오브젝트 dev-my-nginx
를 매니페스트가 적용된 경우의 클러스터 상태와 비교한다.
kubectl diff -k ./
디플로이먼트 오브젝트 dev-my-nginx
를 삭제하려면 다음 명령어를 실행한다.
> kubectl delete -k ./
deployment.apps "dev-my-nginx" deleted
필드 | 유형 | 설명 |
---|---|---|
namespace | string | 모든 리소스에 네임스페이스 추가 |
namePrefix | string | 모든 리소스 네임에 이 필드의 값이 접두사로 추가된다 |
nameSuffix | string | 모든 리소스 네임에 이 필드의 값이 접미사로 추가된다 |
commonLabels | map[string]string | 모든 리소스와 셀렉터에 추가될 레이블 |
commonAnnotations | map[string]string | 모든 리소스에 추가될 어노테이션 |
resources | []string | 이 리스트 내 각각의 항목은 반드시 존재하는 리소스 구성 파일로 해석되어야 한다. |
configMapGenerator | []ConfigMapArgs | 이 리스트의 각 항목은 컨피그맵을 생성한다. |
secretGenerator | []SecretArgs | 이 리스트의 각 항목은 시크릿을 생성한다. |
generatorOptions | GeneratorOptions | 모든 컨피그맵 및 시크릿 생성자(generator)의 동작을 수정한다. |
bases | []string | 이 리스트 내 각각의 항목은 kustomization.yaml 파일을 가지는 디렉터리로 해석되어야 한다. |
patchesStrategicMerge | []string | 이 리스트 내 각각의 항목은 쿠버네티스 오브젝트의 전략적 병합 패치로 해석되어야 한다. |
patchesJson6902 | []Patch | 이 리스트 내 각각의 항목은 쿠버네티스 오브젝트와 Json 패치로 해석되어야 한다. |
vars | []Var | 각각의 항목은 한 리소스의 필드에서 텍스트를 캡쳐한다. |
images | []Image | 각각의 항목은 패치를 생성하지 않고 하나의 이미지에 대한 name, tags 그리고/또는 digest를 수정한다. |
configurations | []string | 이 리스트 내 각각의 항목은 Kustomize 변환 설정을 포함하는 파일로 해석되어야 한다. |
crds | []string | 이 리스트 내 각각의 항목은 쿠버네티스 타입에 대한 OpenAPI 정의 파일로 해석되어야 한다. |
쿠버네티스 오브젝트는 kubectl
커맨드 라인 툴 속에 내장된 명령형 커맨드를 이용함으로써
바로 신속하게 생성, 업데이트 및 삭제할 수 있다. 이 문서는 어떻게 커맨드가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사용하여 활성 오브젝트를 어떻게 관리하는 지에 대해 설명한다.
kubectl
을 설치한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버전 확인을 위해서, 다음 커맨드를 실행kubectl version
.
kubectl
툴은 3가지 종류의 오브젝트 관리를 지원한다.
각 종류별 오브젝트 관리의 장점과 단점에 대한 논의는 쿠버네티스 오브젝트 관리 를 참고한다.
kubectl
툴은 가장 일반적인 오브젝트 타입을 생성하는데 동사 형태 기반의 커맨드를
지원한다. 쿠버네티스 오브젝트 타입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커맨드
이름이 지어졌다.
run
: 컨테이너를 실행할 새로운 파드를 생성한다.expose
: 파드에 걸쳐 트래픽을 로드 밸런스하도록 새로운 서비스 오브젝트를 생성한다.autoscale
: 디플로이먼트와 같이, 하나의 컨트롤러에 대해 자동으로 수평적 스케일이 이루어 지도록 새로운 Autoscaler 오브젝트를 생성한다.또한 kubectl
툴은 오브젝트 타입에 의해 구동되는 생성 커맨드를 지원한다.
이러한 커맨드는 더 많은 오브젝트 타입을 지원해주며 그 의도하는 바에 대해
보다 명확하게 해주지만, 사용자가 생성하고자 하는 오브젝트 타입에 대해
알 수 있도록 해야 한다.
create <오브젝트 타입> [<서브 타입>] <인스턴스명>
일부 오브젝트 타입은 create
커맨드 내 정의할 수 있는 서브 타입을 가진다.
예를 들어, 서비스 오브젝트는 ClusterIP, LoadBalancer 및 NodePort 등을
포함하는 여러 서브 타입을 가진다, 다음은 NodePort 서브 타입을 통해 서비스를
생성하는 예제이다.
kubectl create service nodeport <사용자 서비스 명칭>
이전 예제에서, create service nodeport
커맨드는
create service
커맨드의 서브 커맨드라고 칭한다.
-h
플래그를 사용하여 서브 커맨드에 의해 지원되는 인수 및 플래그를
찾아 볼 수 있다.
kubectl create service nodeport -h
kubectl
커맨드는 일반적인 몇몇의 업데이트 작업을 위해 동사 형태 기반의 커맨드를 지원한다.
이 커맨드는 쿠버네티스 오브젝트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가 설정되어야
하는 특정 필드를 모르는 상태에서도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이름 지어졌다.
scale
: 컨트롤러의 레플리카 수를 업데이트 함으로써 파드를 추가 또는 제거하는 컨트롤러를 수평적으로 스케일한다.annotate
: 오브젝트로부터 어노테이션을 추가 또는 제거한다.label
: 오브젝트에서 레이블을 추가 또는 제거한다.kubectl
커맨드는 또한 오브젝트 측면에서 구동되는 업데이트 커맨드를 지원한다.
이 측면의 설정은 다른 오브젝트 타입에 대한 다른 필드를 설정 할 수도 있다.
set
<field>
: 오브젝트의 측면을 설정한다.kubectl
툴은 활성 오브젝트를 직접 업데이트하기 위해 추가적인 방법을 지원하지만,
쿠버네티스 오브젝트 스키마에 대한 추가적인 이해를 요구한다.
edit
: 편집기에서 구성을 열어 활성 오브젝트에 대한 원래 그대로의 구성을 바로 편집한다.patch
: 패치 문자열를 사용하여 활성 오브젝트를 바로 편집한다.
패치 문자열에 대한 보다 자세한 정보를 보려면
API 규정에서 패치 섹션을 참고한다.클러스터에서 오브젝트를 삭제하기 위해 delete
커맨드을 사용할 수 있다.
delete <타입>/<이름>
kubectl delete
를 사용할 수
있다. 차이점은 커맨드에 전해지는 인수에 있다. 명령형 커맨드로
kubectl delete
을 사용하기 위해, 삭제할 오브젝트를 인수로 전한다.
다음은 nginx라는 디플로이먼트 오브젝트를 전하는 예제이다.
kubectl delete deployment/nginx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몇 가지 커맨드가 있다.
get
: 일치하는 오브젝트에 대한 기본 정보를 출력한다. 옵션 리스트를 확인하기 위해 get -h
를 사용한다.describe
: 일치하는 오브젝트에 대해 수집한 상세한 정보를 출력한다.logs
: 파드에서 실행 중인 컨테이너에 대한 stdout과 stderr를 출력한다.set
커맨드 사용하기create
커맨드에 사용할 수 있는 플래그가 없는 몇 가지 오브젝트
필드가 있다. 이러한 경우, 오브젝트 생성 전에 필드에 대한 값을
정의하기 위해 set
과 create
을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는 set
커맨드에 create
커맨드의 출력을 파이프 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다음은 관련 예제이다.
kubectl create service clusterip my-svc --clusterip="None" -o yaml --dry-run=client | kubectl set selector --local -f - 'environment=qa' -o yaml | kubectl create -f -
kubectl create service -o yaml --dry-run=client
커맨드는 서비스에 대한 구성을 생성하지만, 이를 쿠버네티스 API 서버에 전송하는 대신 YAML 형식으로 stdout에 출력한다.kubectl set selector --local -f - -o yaml
커맨드는 stdin으로부터 구성을 읽어, YAML 형식으로 stdout에 업데이트된 구성을 기록한다.kubectl create -f -
커맨드는 stdin을 통해 제공된 구성을 사용하여 오브젝트를 생성한다.--edit
사용하기생성 전에 오브젝트에 임의의 변경을 가하기 위해 kubectl create --edit
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은 관련 예제이다.
kubectl create service clusterip my-svc --clusterip="None" -o yaml --dry-run=client > /tmp/srv.yaml
kubectl create --edit -f /tmp/srv.yaml
kubectl create service
커맨드는 서비스에 대한 구성을 생성하고 이를 /tmp/srv.yaml
에 저장한다.kubectl create --edit
커맨드는 오브젝트를 생성하기 전에 편집을 위해 구성파일을 열어준다.쿠버네티스 오브젝트는 YAML 또는 JSON으로 작성된 오프젝트 구성파일과 함께 kubectl
커맨드 라인 툴을 이용하여 생성, 업데이트 및 삭제할 수 있다.
이 문서는 구성파일을 이용하여 어떻게 오브젝트를 정의하고 관리할 수 있는지에 대해 설명한다.
kubectl
을 설치한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버전 확인을 위해서, 다음 커맨드를 실행kubectl version
.
kubectl
툴은 3가지 종류의 오브젝트 관리를 지원한다.
각 종류별 오브젝트 관리의 장점과 단점에 대한 논의는 쿠버네티스 오브젝트 관리를 참고한다.
구성파일로부터 오브젝트를 생성하기 위해 kubectl create -f
를 사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정보는 쿠버네티스 API 참조를
참조한다.
kubectl create -f <파일명|url>
replace
커맨드로 오브젝트를 업데이트 하게되면,
구성파일에 정의되지 않은 스펙의 모든 부분이 삭제된다. 이는
externalIPs
필드가 구성파일로부터 독립적으로 관리되는
LoadBalancer
타입의 서비스와 같이, 클러스터 의해 부분적으로
관리되는 스펙의 오브젝트와 함께 사용되어서는 안된다.
독립적으로 관리되는 필드는 replace
로 삭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성파일에 복사되어져야만 한다.
구성파일에 따라 활성 오브젝트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kubectl replace -f
를 사용할 수 있다.
kubectl replace -f <파일명|url>
구성파일에 정의한 오브젝트를 삭제하기 위해 kubectl delete -f
를
사용할 수 있다.
kubectl delete -f <파일명|url>
구성 파일이 metadata
섹션에서 name
필드 대신 generateName
필드를 지정한 경우, kubectl delete -f <filename|url>
을 사용하여
오브젝트를 삭제할 수 없다.
오브젝트를 삭제하려면 다른 플래그를 사용해야 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kubectl delete <type> <name>
kubectl delete <type> -l <label>
구성파일에 정의한 오브젝트에 관한 정보 확인을 위해 kubectl get -f
명령을 사용할 수 있다.
kubectl get -f <파일명|url> -o yaml
-o yaml
플래그는 전체 오브젝트 구성이 출력되도록 정의한다. 옵션의 리스트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kubectl get -h
를 사용한다.
create
, replace
, 그리고 delete
명령은 각 오브젝트의 구성이
그 구성파일 내에 완전하게 정의되고 기록되어질 경우 잘 동작한다.
그러나 활성 오브젝트가 업데이트 되고, 구성파일 안에 병합되지 않으면,
업데이트 내용은 다음번 replace
가 실행될 때 삭제될 것이다.
이는 HorizontalPodAutoscaler와 같은 컨트롤러가
활성 오브젝트를 직접적으로 업데이트하도록 할 경우 발생한다.
여기 예시가 있다.
동일 오브젝트에 대해 여러 명의 작성자들로부터의 지원이 필요한 경우, 오브젝트를 관리하기 위해
kubectl apply
를 사용할 수 있다.
구성파일에 대한 URL을 가진다고 가정해보자.
kubectl create --edit
을 사용하여 오브젝트가 생성되기 전에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 이는 독자가 수정할 수 있는 구성파일을
가르키는 튜토리얼과 작업에 특히 유용하다.
kubectl create -f <url> --edit
령형 커맨드에서 명령형 오브젝트 구성으로 전환하기 위해 몇 가지 수동 단계를 포함한다.
다음과 같이 활성 오브젝트를 로컬 오브젝트 구성파일로 내보낸다.
kubectl get <종류>/<이름> -o yaml > <종류>_<이름>.yaml
수동으로 오브젝트 구성파일에서 상태 필드를 제거한다.
이후 오브젝트 관리를 위해, replace
만 사용한다.
kubectl replace -f <종류>_<이름>.yaml
권고되는 접근방법은 다른 의미론적 의미가 없는 컨트롤러 셀렉터의 의해서만 사용되는 단일, 불변의 PodTemplate 레이블로 정의하는 것이다.
레이블 예시:
selector:
matchLabels:
controller-selector: "apps/v1/deployment/nginx"
template:
metadata:
labels:
controller-selector: "apps/v1/deployment/nginx"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시크릿
에는 파드가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는 데 필요한 사용자 자격 증명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연결 문자열은 사용자 이름과 암호로 구성된다.
사용자 이름은 로컬 컴퓨터의 ./username.txt
파일에, 비밀번호는
./password.txt
파일에 저장할 수 있다.
echo -n 'admin' > ./username.txt
echo -n '1f2d1e2e67df' > ./password.txt
이 명령에서 -n
플래그는 생성된 파일의
텍스트 끝에 추가 개행 문자가 포함되지 않도록 해 준다. 이는 kubectl
이 파일을 읽고
내용을 base64 문자열로 인코딩할 때 개행 문자도 함께 인코딩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kubectl create secret
명령은 이러한 파일들을 시크릿으로 패키징하고
API 서버에 오브젝트를 생성한다.
kubectl create secret generic db-user-pass \
--from-file=./username.txt \
--from-file=./password.txt
출력은 다음과 유사하다.
secret/db-user-pass created
기본 키 이름은 파일 이름이다. 선택적으로 --from-file=[key=]source
를 사용하여 키 이름을 설정할 수 있다.
예제:
kubectl create secret generic db-user-pass \
--from-file=username=./username.txt \
--from-file=password=./password.txt
파일에 포함하는 암호 문자열에서 특수 문자를 이스케이프하지 않아도 된다.
--from-literal=<key>=<value>
태그를 사용하여 시크릿 데이터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 태그는 여러 키-값 쌍을 제공하기 위해 두 번 이상 지정할 수 있다.
$
, \
, *
, =
및 !
와 같은 특수 문자는
shell에 해석하고 처리하기 때문에
이스케이프할 필요가 있다.
대부분의 셸에서 암호를 이스케이프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암호를 작은따옴표('
)로 둘러싸는 것이다.
예를 들어, 비밀번호가 S!B\*d$zDsb=
인 경우,
다음 커맨드를 실행한다.
kubectl create secret generic db-user-pass \
--from-literal=username=devuser \
--from-literal=password='S!B\*d$zDsb='
시크릿이 생성되었는지 확인한다.
kubectl get secrets
출력은 다음과 유사하다.
NAME TYPE DATA AGE
db-user-pass Opaque 2 51s
다음 명령을 실행하여 시크릿
에 대한 상세 사항을 볼 수 있다.
kubectl describe secrets/db-user-pass
출력은 다음과 유사하다.
Name: db-user-pass
Namespace: default
Labels: <none>
Annotations: <none>
Type: Opaque
Data
====
password: 12 bytes
username: 5 bytes
kubectl get
및 kubectl describe
명령은
기본적으로 시크릿
의 내용을 표시하지 않는다. 이는 시크릿
이 실수로 노출되거나
터미널 로그에 저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생성한 시크릿을 보려면 다음 명령을 실행한다.
kubectl get secret db-user-pass -o jsonpath='{.data}'
출력은 다음과 유사하다.
{"password":"MWYyZDFlMmU2N2Rm","username":"YWRtaW4="}
이제 password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다.
echo 'MWYyZDFlMmU2N2Rm' | base64 --decode
출력은 다음과 유사하다.
1f2d1e2e67df
생성한 시크릿을 삭제하려면 다음 명령을 실행한다.
kubectl delete secret db-user-pass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먼저 새 파일에 JSON 이나 YAML 형식으로 시크릿(Secret)에 대한 상세 사항을 기록하고,
이 파일을 이용하여 해당 시크릿 오브젝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시크릿
리소스에는 data
와 stringData
의 두 가지 맵이 포함되어 있다.
data
필드는 base64로 인코딩된 임의의 데이터를 기입하는 데 사용된다.
stringData
필드는 편의를 위해 제공되며, 이를 사용해 시크릿 데이터를 인코딩되지 않은 문자열로
기입할 수 있다.
data
및 stringData
은 영숫자,
-
, _
그리고 .
로 구성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시크릿에 data
필드를 사용하여 두 개의 문자열을 저장하려면 다음과 같이
문자열을 base64로 변환한다.
echo -n 'admin' | base64
출력은 다음과 유사하다.
YWRtaW4=
echo -n '1f2d1e2e67df' | base64
출력은 다음과 유사하다.
MWYyZDFlMmU2N2Rm
다음과 같이 시크릿 구성 파일을 작성한다.
apiVersion: v1
kind: Secret
metadata:
name: mysecret
type: Opaque
data:
username: YWRtaW4=
password: MWYyZDFlMmU2N2Rm
시크릿 오브젝트의 이름은 유효한 DNS 서브도메인 이름이어야 한다.
base64
도구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는 긴 줄을 분할하는 -b
옵션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반대로, 리눅스 사용자는 -w
옵션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base64
명령어 또는 base64 | tr -d '\n'
파이프라인에
-w 0
옵션을 추가해야 한다.
특정 시나리오의 경우 stringData
필드를 대신 사용할 수 있다. 이
필드를 사용하면 base64로 인코딩되지 않은 문자열을 시크릿에 직접 넣을 수 있으며,
시크릿이 생성되거나 업데이트될 때 문자열이 인코딩된다.
이에 대한 실제적인 예로, 시크릿을 사용하여 구성 파일을 저장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면서, 배포 프로세스 중에 해당 구성 파일의 일부를 채우려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에서 다음 구성 파일을 사용하는 경우:
apiUrl: "https://my.api.com/api/v1"
username: "<user>"
password: "<password>"
다음 정의를 사용하여 이를 시크릿에 저장할 수 있다.
apiVersion: v1
kind: Secret
metadata:
name: mysecret
type: Opaque
stringData:
config.yaml: |
apiUrl: "https://my.api.com/api/v1"
username: <user>
password: <password>
kubectl apply
를 이용하여 시크릿 오브젝트를 생성한다.
kubectl apply -f ./secret.yaml
출력은 다음과 유사하다.
secret/mysecret created
stringData
필드는 쓰기 전용 편의 필드이다. 시크릿을 조회할 때 절대 출력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음 명령을 실행하는 경우:
kubectl get secret mysecret -o yaml
출력은 다음과 유사하다.
apiVersion: v1
data:
config.yaml: YXBpVXJsOiAiaHR0cHM6Ly9teS5hcGkuY29tL2FwaS92MSIKdXNlcm5hbWU6IHt7dXNlcm5hbWV9fQpwYXNzd29yZDoge3twYXNzd29yZH19
kind: Secret
metadata:
creationTimestamp: 2018-11-15T20:40:59Z
name: mysecret
namespace: default
resourceVersion: "7225"
uid: c280ad2e-e916-11e8-98f2-025000000001
type: Opaque
kubectl get
및 kubectl describe
명령은 기본적으로 시크릿
의 내용을 표시하지 않는다.
이는 시크릿
이 실수로 구경꾼에게 노출되거나
터미널 로그에 저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인코딩된 데이터의 실제 내용을 확인하려면 다음을 참조한다.
시크릿 디코딩.
하나의 필드(예: username
)가 data
와 stringData
에 모두 명시되면, stringData
에 명시된 값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시크릿인 경우:
apiVersion: v1
kind: Secret
metadata:
name: mysecret
type: Opaque
data:
username: YWRtaW4=
stringData:
username: administrator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크릿이다.
apiVersion: v1
data:
username: YWRtaW5pc3RyYXRvcg==
kind: Secret
metadata:
creationTimestamp: 2018-11-15T20:46:46Z
name: mysecret
namespace: default
resourceVersion: "7579"
uid: 91460ecb-e917-11e8-98f2-025000000001
type: Opaque
여기서 YWRtaW5pc3RyYXRvcg==
는 administrator
으로 디코딩된다.
생성한 시크릿을 삭제하려면 다음 명령을 실행한다.
kubectl delete secret mysecret
kubectl
커맨드를 사용하여 시크릿을 관리하는 방법 알아보기쿠버네티스 v1.14부터 kubectl
은
Kustomize를 이용한 쿠버네티스 오브젝트의 선언형 관리를 지원한다.
Kustomize는 시크릿 및 컨피그맵을 생성하기 위한 리소스 생성기를 제공한다.
Kustomize 생성기는 디렉토리 내의 kustomization.yaml
파일에 지정되어야 한다.
시크릿 생성 후 kubectl apply
를 통해 API
서버에 시크릿을 생성할 수 있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kustomization.yaml
파일에 다른 기존 파일을 참조하는
secretGenerator
를 정의하여 시크릿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 kustomization 파일은
./username.txt
및 ./password.txt
파일을 참조한다.
secretGenerator:
- name: db-user-pass
files:
- username.txt
- password.txt
kustomization.yaml
파일에 리터럴을 명시하여 secretGenerator
를
정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음 kustomization.yaml
파일에는
각각 username
과 password
에 대한 두 개의 리터럴이 포함되어 있다.
secretGenerator:
- name: db-user-pass
literals:
- username=admin
- password=1f2d1e2e67df
kustomization.yaml
파일에 .env
파일을 명시하여
secretGenerator
를 정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음 kustomization.yaml
파일은
.env.secret
파일에서 데이터를 가져온다.
secretGenerator:
- name: db-user-pass
envs:
- .env.secret
모든 경우에 대해, 값을 base64로 인코딩하지 않아도 된다.
다음 명령을 실행하여 시크릿을 생성한다.
kubectl apply -k .
출력은 다음과 유사하다.
secret/db-user-pass-96mffmfh4k created
시크릿이 생성되면 시크릿 데이터를 해싱하고 이름에 해시 값을 추가하여 시크릿 이름이 생성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데이터가 수정될 때마다 시크릿이 새롭게 생성된다.
시크릿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kubectl get secrets
출력은 다음과 유사하다.
NAME TYPE DATA AGE
db-user-pass-96mffmfh4k Opaque 2 51s
다음 명령을 실행하여 시크릿에 대한 상세 사항을 볼 수 있다.
kubectl describe secrets/db-user-pass-96mffmfh4k
출력은 다음과 유사하다.
Name: db-user-pass-96mffmfh4k
Namespace: default
Labels: <none>
Annotations: <none>
Type: Opaque
Data
====
password.txt: 12 bytes
username.txt: 5 bytes
kubectl get
및 kubectl describe
명령은 기본적으로 시크릿
의 내용을 표시하지 않는다.
이는 시크릿
이 실수로 구경꾼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또는 터미널 로그에 저장되지 않는다.
인코딩된 데이터의 실제 내용을 확인하려면 다음을 참조한다.
시크릿 디코딩.
생성한 시크릿을 삭제하려면 다음 명령을 실행한다.
kubectl delete secret db-user-pass-96mffmfh4k
kubectl
커맨드을 사용하여 시크릿 관리 방법 알아보기본 페이지는 파드 안에서 컨테이너를 실행할 때 커맨드와 인자를 정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버전 확인을 위해서, 다음 커맨드를 실행kubectl version
.
파드를 생성할 때, 파드 안에서 동작하는 컨테이너를 위한 커맨드와 인자를
정의할 수 있다. 커맨드를 정의하기 위해서는, 파드 안에서 실행되는 컨테이너에
command
필드를 포함시킨다. 커맨드에 대한 인자를 정의하기 위해서는, 구성
파일에 args
필드를 포함시킨다. 정의한 커맨드와 인자들은 파드가 생성되고
난 이후에는 변경될 수 없다.
구성 파일 안에서 정의하는 커맨드와 인자들은 컨테이너 이미지가 제공하는 기본 커맨드와 인자들보다 우선시 된다. 만약 인자들을 정의하고 커맨드를 정의하지 않는다면, 기본 커맨드가 새로운 인자와 함께 사용된다.
이 예제에서는 한 개의 컨테이너를 실행하는 파드를 생성한다. 파드를 위한 구성 파일에서 커맨드와 두 개의 인자를 정의한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command-demo
labels:
purpose: demonstrate-command
spec:
containers:
- name: command-demo-container
image: debian
command: ["printenv"]
args: ["HOSTNAME", "KUBERNETES_PORT"]
restartPolicy: OnFailure
YAML 구성 파일을 활용해 파드를 생성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pods/commands.yaml
실행 중인 파드들의 목록을 조회한다.
kubectl get pods
출력은 command-demo라는 파드 안에서 실행된 컨테이너가 완료되었다고 표시할 것이다.
컨테이너 안에서 실행된 커맨드의 출력을 보기 위해, 파드의 로그를 확인한다.
kubectl logs command-demo
출력은 HOSTNAME과 KUBERNETES_PORT 환경 변수들의 값들을 표시할 것이다.
command-demo
tcp://10.3.240.1:443
이전 예제에서는, 문자열을 제공하면서 직접 인자를 정의해보았다. 문자열을 직접 제공하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 환경 변수들을 사용하여 인자들을 정의할 수 있다.
env:
- name: MESSAGE
value: "hello world"
command: ["/bin/echo"]
args: ["$(MESSAGE)"]
이것은 컨피그 맵과 시크릿을 포함해, 환경 변수를 정의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모든 방법들을 활용해서 파드를 위한 인자를 정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VAR)"
와 같이 괄호 안에 나타난다. 이는 변수가 command
나 args
필드 안에서 전개되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
일부 경우들에서는 커맨드를 셸 안에서 실행해야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실행할 커맨드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여러 개의 커맨드들로 구성되어 있거나, 셸 스크립트일 수도 있다. 셸 안에서 커맨드를 실행하려고 한다면, 이런 방식으로 감싸주면 된다.
command: ["/bin/sh"]
args: ["-c", "while true; do echo hello; sleep 10;done"]
이 테이블은 도커와 쿠버네티스에서 사용되는 필드 이름들을 정리한 것이다.
설명 | 도커 필드 이름 | 쿠버네티스 필드 이름 |
---|---|---|
컨테이너에서 실행되는 커맨드 | Entrypoint | command |
커맨드에 전달되는 인자들 | Cmd | arg |
기본 Entrypoint와 Cmd 값을 덮어쓰려고 한다면, 아래의 규칙들이 적용된다.
만약 컨테이너를 위한 command
값이나 args
값을 제공하지 않는다면, 도커 이미지 안에
제공되는 기본 값들이 사용된다.
만약 컨테이너를 위한 command
값을 제공하고, args
값을 제공하지 않는다면,
제공된 command
값만이 사용된다. 도커 이미지 안에 정의된 기본 EntryPoint 값과 기본
Cmd 값은 덮어쓰여진다.
만약 컨테이너를 위한 args
값만 제공한다면, 도커 이미지 안에 정의된 기본 EntryPoint
값이 정의한 args
값들과 함께 실행된다.
command
값과 args
값을 동시에 정의한다면, 도커 이미지 안에 정의된 기본
EntryPoint 값과 기본 Cmd 값이 덮어쓰여진다. command
가 args
값과 함께
실행된다.
여기 몇 가지 예시들이 있다.
이미지 Entrypoint | 이미지 Cmd | 컨테이너 command | 컨테이너 args | 실행되는 커맨드 |
---|---|---|---|---|
[/ep-1] |
[foo bar] |
<설정되지 않음> | <설정되지 않음> | [ep-1 foo bar] |
[/ep-1] |
[foo bar] |
[/ep-2] |
<설정되지 않음> | [ep-2] |
[/ep-1] |
[foo bar] |
<설정되지 않음> | [zoo boo] |
[ep-1 zoo boo] |
[/ep-1] |
[foo bar] |
[/ep-2] |
[zoo boo] |
[ep-2 zoo boo] |
본 페이지는 쿠버네티스 파드의 컨테이너를 위한 종속 환경 변수를 정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파드를 생성할 때, 파드 안에서 동작하는 컨테이너를 위한 종속 환경 변수를 설정할 수 있다.
종속 환경 변수를 설정하려면, 구성 파일에서 env
의 value
에 $(VAR_NAME)을 사용한다.
이 예제에서, 한 개의 컨테이너를 실행하는 파드를 생성한다. 파드를 위한 구성 파일은 일반적인 방식으로 정의된 종속 환경 변수를 정의한다. 다음은 파드를 위한 구성 매니페스트 예시이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dependent-envars-demo
spec:
containers:
- name: dependent-envars-demo
args:
- while true; do echo -en '\n'; printf UNCHANGED_REFERENCE=$UNCHANGED_REFERENCE'\n'; printf SERVICE_ADDRESS=$SERVICE_ADDRESS'\n';printf ESCAPED_REFERENCE=$ESCAPED_REFERENCE'\n'; sleep 30; done;
command:
- sh
- -c
image: busybox
env:
- name: SERVICE_PORT
value: "80"
- name: SERVICE_IP
value: "172.17.0.1"
- name: UNCHANGED_REFERENCE
value: "$(PROTOCOL)://$(SERVICE_IP):$(SERVICE_PORT)"
- name: PROTOCOL
value: "https"
- name: SERVICE_ADDRESS
value: "$(PROTOCOL)://$(SERVICE_IP):$(SERVICE_PORT)"
- name: ESCAPED_REFERENCE
value: "$$(PROTOCOL)://$(SERVICE_IP):$(SERVICE_PORT)"
YAML 구성 파일을 활용해 파드를 생성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pods/inject/dependent-envars.yaml
pod/dependent-envars-demo created
실행 중인 파드의 목록을 조회한다.
kubectl get pods dependent-envars-demo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dependent-envars-demo 1/1 Running 0 9s
파드 안에서 동작 중인 컨테이너의 로그를 확인한다.
kubectl logs pod/dependent-envars-demo
UNCHANGED_REFERENCE=$(PROTOCOL)://172.17.0.1:80
SERVICE_ADDRESS=https://172.17.0.1:80
ESCAPED_REFERENCE=$(PROTOCOL)://172.17.0.1:80
위에서 보듯이, SERVICE_ADDRESS
는 올바른 종속성 참조, UNCHANGED_REFERENCE
는 잘못된 종속성 참조를 정의했으며 ESCAPED_REFERENCE
는 종속성 참조를 건너뛴다.
환경 변수가 참조될 때 해당 환경 변수가 미리 정의되어 있으면 SERVICE_ADDRESS
의 경우와 같이 참조를 올바르게 해석할 수 있다.
환경 변수가 정의되지 않았거나 일부 변수만 포함된 경우, 정의되지 않은 환경 변수는 UNCHANGED_REFERENCE
의 경우와 같이 일반 문자열로 처리된다.
일반적으로 환경 변수 해석에 실패하더라도 컨테이너의 시작을 막지는 않는다.
$(VAR_NAME)
구문은 이중 $로 이스케이프될 수 있다. (예: $$(VAR_NAME)
)
이스케이프된 참조는 참조된 변수가 정의되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해석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는 위의 ESCAPED_REFERENCE
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본 페이지는 쿠버네티스 파드의 컨테이너를 위한 환경 변수를 정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버전 확인을 위해서, 다음 커맨드를 실행kubectl version
.
파드를 생성할 때, 파드 안에서 동작하는 컨테이너를 위한 환경 변수를 설정할
수 있다. 환경 변수를 설정하려면, 구성 파일에 env
나 envFrom
필드를
포함시켜야 한다.
이 예제에서, 한 개의 컨테이너를 실행하는 파드를 생성한다. 파드를 위한 구성
파일은 DEMO_GREETING
이라는 이름과 "Hello from the environment"
이라는
값을 가지는 환경 변수를 정의한다. 다음은 파드를 위한 구성 매니페스트
예시이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envar-demo
labels:
purpose: demonstrate-envars
spec:
containers:
- name: envar-demo-container
image: gcr.io/google-samples/node-hello:1.0
env:
- name: DEMO_GREETING
value: "Hello from the environment"
- name: DEMO_FAREWELL
value: "Such a sweet sorrow"
YAML 구성 파일을 활용해 파드를 생성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pods/inject/envars.yaml
실행 중인 파드들의 목록을 조회한다.
kubectl get pods -l purpose=demonstrate-envars
출력은 아래와 비슷할 것이다.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envar-demo 1/1 Running 0 9s
파드의 컨테이너 환경 변수를 나열한다.
kubectl exec envar-demo -- printenv
출력은 아래와 비슷할 것이다.
NODE_VERSION=4.4.2
EXAMPLE_SERVICE_PORT_8080_TCP_ADDR=10.3.245.237
HOSTNAME=envar-demo
...
DEMO_GREETING=Hello from the environment
DEMO_FAREWELL=Such a sweet sorrow
env
나 envFrom
필드를 이용해 설정된 환경 변수들은 컨테이너 이미지
안에서 명시된 모든 환경 변수들을 오버라이딩한다.
파드의 구성 파일 안에서 정의한 환경 변수는
파드의 컨테이너를 위해 설정하는 커맨드와 인자들과 같이,
구성 파일 안의 다른 곳에서 사용할 수 있다.
아래의 구성 파일 예시에서, GREETING
, HONORIFIC
, 그리고
NAME
환경 변수들이 각각 Warm greetings to
, The Most honorable
,
그리고 Kubernetes
로 설정되어 있다. 이 환경 변수들은
이후 env-print-demo
컨테이너에 전달되어 CLI 인자에서
사용된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print-greeting
spec:
containers:
- name: env-print-demo
image: bash
env:
- name: GREETING
value: "Warm greetings to"
- name: HONORIFIC
value: "The Most Honorable"
- name: NAME
value: "Kubernetes"
command: ["echo"]
args: ["$(GREETING) $(HONORIFIC) $(NAME)"]
컨테이너가 생성되면, echo Warm greetings to The Most Honorable Kubernetes
커맨드가 컨테이너에서 실행된다.
본 페이지는 파드에서 실행 중인 컨테이너에게 파드가 환경 변수를 사용해서 자신의 정보를 노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환경 변수는 파드 필드와 컨테이너 필드를 노출할 수 있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버전 확인을 위해서, 다음 커맨드를 실행kubectl version
.
파드 및 컨테이너 필드를 실행 중인 컨테이너에 노출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파드 및 컨테이너 필드를 노출하는 이 두 가지 방법을 다운워드 API라고 한다.
이 연습에서는 하나의 컨테이너를 가진 파드를 생성한다. 다음은 파드에 대한 구성 파일이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dapi-envars-fieldref
spec:
containers:
- name: test-container
image: k8s.gcr.io/busybox
command: [ "sh", "-c"]
args:
- while true; do
echo -en '\n';
printenv MY_NODE_NAME MY_POD_NAME MY_POD_NAMESPACE;
printenv MY_POD_IP MY_POD_SERVICE_ACCOUNT;
sleep 10;
done;
env:
- name: MY_NODE_NAME
valueFrom:
fieldRef:
fieldPath: spec.nodeName
- name: MY_POD_NAME
valueFrom:
fieldRef:
fieldPath: metadata.name
- name: MY_POD_NAMESPACE
valueFrom:
fieldRef:
fieldPath: metadata.namespace
- name: MY_POD_IP
valueFrom:
fieldRef:
fieldPath: status.podIP
- name: MY_POD_SERVICE_ACCOUNT
valueFrom:
fieldRef:
fieldPath: spec.serviceAccountName
restartPolicy: Never
구성 파일에서 5개의 환경 변수를 확인할 수 있다. env
필드는
EnvVars의 배열이다. 배열의 첫 번째 요소는 MY_NODE_NAME
환경 변수가 파드의 spec.nodeName
필드에서 값을 가져오도록 지정한다. 마찬가지로 다른 환경 변수도 파드 필드에서 이름을 가져온다.
파드를 생성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pods/inject/dapi-envars-pod.yaml
파드의 컨테이너가 실행중인지 확인한다.
kubectl get pods
컨테이너의 로그를 본다.
kubectl logs dapi-envars-fieldref
출력은 선택된 환경 변수의 값을 보여준다.
minikube
dapi-envars-fieldref
default
172.17.0.4
default
이러한 값이 로그에 출력된 이유를 보려면 구성 파일의 command
및 args
필드를 확인하자.
컨테이너가 시작되면 5개의 환경 변수 값을 stdout에 쓰며 10초마다 이를 반복한다.
다음으로 파드에서 실행 중인 컨테이너의 셸을 가져오자.
kubectl exec -it dapi-envars-fieldref -- sh
셸에서 환경 변수를 보자.
/# printenv
출력은 특정 환경 변수에 파드 필드 값이 할당되었음을 보여준다.
MY_POD_SERVICE_ACCOUNT=default
...
MY_POD_NAMESPACE=default
MY_POD_IP=172.17.0.4
...
MY_NODE_NAME=minikube
...
MY_POD_NAME=dapi-envars-fieldref
이전 연습에서는 파드 필드를 환경 변수의 값으로 사용했다. 이 다음 연습에서는 컨테이너 필드를 환경 변수의 값으로 사용한다. 다음은 하나의 컨테이너가 있는 파드의 구성 파일이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dapi-envars-resourcefieldref
spec:
containers:
- name: test-container
image: k8s.gcr.io/busybox:1.24
command: [ "sh", "-c"]
args:
- while true; do
echo -en '\n';
printenv MY_CPU_REQUEST MY_CPU_LIMIT;
printenv MY_MEM_REQUEST MY_MEM_LIMIT;
sleep 10;
done;
resources:
requests:
memory: "32Mi"
cpu: "125m"
limits:
memory: "64Mi"
cpu: "250m"
env:
- name: MY_CPU_REQUEST
valueFrom:
resourceFieldRef:
containerName: test-container
resource: requests.cpu
- name: MY_CPU_LIMIT
valueFrom:
resourceFieldRef:
containerName: test-container
resource: limits.cpu
- name: MY_MEM_REQUEST
valueFrom:
resourceFieldRef:
containerName: test-container
resource: requests.memory
- name: MY_MEM_LIMIT
valueFrom:
resourceFieldRef:
containerName: test-container
resource: limits.memory
restartPolicy: Never
구성 파일에서 4개의 환경 변수를 확인할 수 있다. env
필드는
EnvVars의 배열이다. 배열의 첫 번째 요소는 MY_CPU_REQUEST
환경 변수가 test-container
라는 컨테이너의
requests.cpu
필드에서 값을 가져오도록 지정한다. 마찬가지로 다른 환경 변수도 컨테이너 필드에서
값을 가져온다.
파드를 생성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pods/inject/dapi-envars-container.yaml
파드의 컨테이너가 실행중인지 확인한다.
kubectl get pods
컨테이너의 로그를 본다.
kubectl logs dapi-envars-resourcefieldref
출력은 선택된 환경 변수의 값을 보여준다.
1
1
33554432
67108864
본 페이지는 파드가 DownwardAPIVolumeFile을 사용하여 파드에서 실행되는 컨테이너에 자신에 대한 정보를 노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DownwardAPIVolumeFile은 파드 필드와 컨테이너 필드를 노출할 수 있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버전 확인을 위해서, 다음 커맨드를 실행kubectl version
.
실행 중인 컨테이너에 파드 및 컨테이너 필드를 노출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파드 및 컨테이너 필드를 노출하는 이 두 가지 방법을 다운워드 API라고 한다.
이 연습에서는 하나의 컨테이너를 가진 파드를 생성한다. 다음은 파드에 대한 구성 파일이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kubernetes-downwardapi-volume-example
labels:
zone: us-est-coast
cluster: test-cluster1
rack: rack-22
annotations:
build: two
builder: john-doe
spec:
containers:
- name: client-container
image: k8s.gcr.io/busybox
command: ["sh", "-c"]
args:
- while true; do
if [[ -e /etc/podinfo/labels ]]; then
echo -en '\n\n'; cat /etc/podinfo/labels; fi;
if [[ -e /etc/podinfo/annotations ]]; then
echo -en '\n\n'; cat /etc/podinfo/annotations; fi;
sleep 5;
done;
volumeMounts:
- name: podinfo
mountPath: /etc/podinfo
volumes:
- name: podinfo
downwardAPI:
items:
- path: "labels"
fieldRef:
fieldPath: metadata.labels
- path: "annotations"
fieldRef:
fieldPath: metadata.annotations
구성 파일에서 파드에 downwardAPI
볼륨이 있고 컨테이너가 /etc/podinfo
에 볼륨을 마운트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downwardAPI
아래의 배열을 살펴보자. 배열의 각 요소는
DownwardAPIVolumeFile이다.
첫 번째 요소는 파드의 metadata.labels
필드 값이 labels
라는 파일에 저장되어야 함을 지정한다.
두 번째 요소는 파드의 annotations
필드 값이 annotations
라는 파일에 저장되어야 함을 지정한다.
파드를 생성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pods/inject/dapi-volume.yaml
파드의 컨테이너가 실행 중인지 확인한다.
kubectl get pods
컨테이너의 로그를 본다.
kubectl logs kubernetes-downwardapi-volume-example
출력은 labels
파일과 annotations
파일의 내용을 보여준다.
cluster="test-cluster1"
rack="rack-22"
zone="us-est-coast"
build="two"
builder="john-doe"
파드에서 실행 중인 컨테이너의 셸을 가져오자.
kubectl exec -it kubernetes-downwardapi-volume-example -- sh
셸에서 labels
파일을 보자.
/# cat /etc/podinfo/labels
출력을 통해 모든 파드의 레이블이 labels
파일에 기록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cluster="test-cluster1"
rack="rack-22"
zone="us-est-coast"
마찬가지로 annotations
파일을 확인하자.
/# cat /etc/podinfo/annotations
etc/podinfo
디렉터리에 파일을 확인하자.
/# ls -laR /etc/podinfo
출력에서 labels
및 annotations
파일이
임시 하위 디렉터리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예제에서는
..2982_06_02_21_47_53.299460680
이다. /etc/podinfo
디렉터리에서 ..data
는
임시 하위 디렉토리에 대한 심볼릭 링크이다. /etc/podinfo
디렉토리에서
labels
와 annotations
또한 심볼릭 링크이다.
drwxr-xr-x ... Feb 6 21:47 ..2982_06_02_21_47_53.299460680
lrwxrwxrwx ... Feb 6 21:47 ..data -> ..2982_06_02_21_47_53.299460680
lrwxrwxrwx ... Feb 6 21:47 annotations -> ..data/annotations
lrwxrwxrwx ... Feb 6 21:47 labels -> ..data/labels
/etc/..2982_06_02_21_47_53.299460680:
total 8
-rw-r--r-- ... Feb 6 21:47 annotations
-rw-r--r-- ... Feb 6 21:47 labels
심볼릭 링크를 사용하면 메타데이터의 동적(dynamic) 원자적(atomic) 갱신이 가능하다.
업데이트는 새 임시 디렉터리에 기록되고, ..data
심볼릭 링크는
rename(2)을 사용하여
원자적(atomic)으로 갱신한다.
셸을 종료한다.
/# exit
이전 연습에서는 파드 필드를 DownwardAPIVolumeFile에 저장하였다. 이 다음 연습에서는 컨테이너 필드를 저장한다. 다음은 하나의 컨테이너를 가진 파드의 구성 파일이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kubernetes-downwardapi-volume-example-2
spec:
containers:
- name: client-container
image: k8s.gcr.io/busybox:1.24
command: ["sh", "-c"]
args:
- while true; do
echo -en '\n';
if [[ -e /etc/podinfo/cpu_limit ]]; then
echo -en '\n'; cat /etc/podinfo/cpu_limit; fi;
if [[ -e /etc/podinfo/cpu_request ]]; then
echo -en '\n'; cat /etc/podinfo/cpu_request; fi;
if [[ -e /etc/podinfo/mem_limit ]]; then
echo -en '\n'; cat /etc/podinfo/mem_limit; fi;
if [[ -e /etc/podinfo/mem_request ]]; then
echo -en '\n'; cat /etc/podinfo/mem_request; fi;
sleep 5;
done;
resources:
requests:
memory: "32Mi"
cpu: "125m"
limits:
memory: "64Mi"
cpu: "250m"
volumeMounts:
- name: podinfo
mountPath: /etc/podinfo
volumes:
- name: podinfo
downwardAPI:
items:
- path: "cpu_limit"
resourceFieldRef:
containerName: client-container
resource: limits.cpu
divisor: 1m
- path: "cpu_request"
resourceFieldRef:
containerName: client-container
resource: requests.cpu
divisor: 1m
- path: "mem_limit"
resourceFieldRef:
containerName: client-container
resource: limits.memory
divisor: 1Mi
- path: "mem_request"
resourceFieldRef:
containerName: client-container
resource: requests.memory
divisor: 1Mi
구성 파일에서 파드에 downwardAPI
볼륨이 있고 컨테이너는 /etc/podinfo
에 볼륨을
마운트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downwardAPI
아래의 items
배열을 살펴보자. 배열의 각 요소는 DownwardAPIVolumeFile이다.
첫 번째 요소는 client-container
라는 컨테이너에서
1m
으로 지정된 형식의 limits.cpu
필드 값이
cpu_limit
이라는 파일에 저장되어야 함을 지정한다. divisor
필드는 선택 사항이며
기본값인 1
은 CPU에 대한 코어 및 메모리에 대한 바이트를 의미한다.
파드를 생성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pods/inject/dapi-volume-resources.yaml
파드에서 실행 중인 컨테이너의 셸을 가져온다.
kubectl exec -it kubernetes-downwardapi-volume-example-2 -- sh
셸에서 cpu_limit
파일을 확인한다.
/# cat /etc/podinfo/cpu_limit
비슷한 명령을 통해 cpu_request
, mem_limit
및
mem_request
파일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 정보는 환경 변수 및 downwardAPI
볼륨을 통해 컨테이너에서 사용할 수 있다.
fieldRef
를 통해 다음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metadata.name
- 파드의 이름metadata.namespace
- 파드의 네임스페이스(Namespace)metadata.uid
- 파드의 UIDmetadata.labels['<KEY>']
- 파드의 레이블 <KEY>
값 (예를 들어, metadata.labels['mylabel']
)metadata.annotations['<KEY>']
- 파드의 어노테이션 <KEY>
값 (예를 들어, metadata.annotations['myannotation']
)resourceFieldRef
를 통해 다음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DownwardAPIHugePages
기능 게이트(feature gate)가 활성화된 경우)DownwardAPIHugePages
기능 게이트(feature gate)가 활성화된 경우)downwardAPI
볼륨 fieldRef
를 통해 다음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metadata.labels
- 한 줄에 하나의 레이블이 있는
label-key="escaped-label-value"
형식의 모든 파드 레이블metadata.annotations
- 한 줄에 하나의 어노테이션이 있는 annotation-key="escaped-annotation-value"
형식의 모든 파드 어노테이션환경 변수를 통해 다음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status.podIP
- 파드의 IP 주소spec.serviceAccountName
- 파드의 서비스 계정 이름, v1.4.0-alpha.3부터 사용 가능spec.nodeName
- 노드의 이름, v1.4.0-alpha.3부터 사용 가능status.hostIP
- 노드의 IP, v1.7.0-alpha.1 이후 사용 가능키(key)를 파드 안의 특정 경로에, 특정 권한으로, 파일 단위로 투영(project)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시크릿(Secrets)을 참조한다.
컨테이너가 쿠버네티스에 과도하게 결합되지 않고 자체에 대한 정보를 갖는 것이 때때로 유용하다. 다운워드 API를 사용하면 컨테이너가 쿠버네티스 클라이언트 또는 API 서버를 사용하지 않고 자체 또는 클러스터에 대한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잘 알려진 특정 환경 변수에 고유 식별자가 있다고 가정하는 기존 애플리케이션이 있다. 한 가지 가능성은 애플리케이션을 래핑하는 것이지만 이는 지루하고 오류가 발생하기 쉬우며 낮은 결합 목표를 위반한다. 더 나은 옵션은 파드의 이름을 식별자로 사용하고 파드의 이름을 잘 알려진 환경 변수에 삽입하는 것이다.
본 페이지는 암호 및 암호화 키와 같은 민감한 데이터를 파드에 안전하게 주입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 이름 my-app
과 비밀번호 39528$vdg7Jb
의 두 가지 시크릿 데이터가 필요하다고 가정한다.
먼저 base64 인코딩 도구를 사용하여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base64 표현으로 변환한다. 다음은 일반적으로 사용 가능한 base64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예제이다.
echo -n 'my-app' | base64
echo -n '39528$vdg7Jb' | base64
사용자 이름의 base-64 표현이 bXktYXBw
이고 암호의 base-64 표현이 Mzk1MjgkdmRnN0pi
임을
출력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다음은 사용자 이름과 암호가 들어 있는 시크릿을 생성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구성 파일이다.
apiVersion: v1
kind: Secret
metadata:
name: test-secret
data:
username: bXktYXBw
password: Mzk1MjgkdmRnN0pi
시크릿을 생성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pods/inject/secret.yaml
시크릿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다.
kubectl get secret test-secret
Output:
NAME TYPE DATA AGE
test-secret Opaque 2 1m
시크릿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확인한다.
kubectl describe secret test-secret
Output:
Name: test-secret
Namespace: default
Labels: <none>
Annotations: <none>
Type: Opaque
Data
====
password: 13 bytes
username: 7 bytes
Base64 인코딩 단계를 건너뛰려면 kubectl create secret
명령을 사용하여
동일한 Secret을 생성할 수 있다. 다음은 예시이다.
kubectl create secret generic test-secret --from-literal='username=my-app' --from-literal='password=39528$vdg7Jb'
이와 같이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자세한 접근 방식은 각 단계를 명시적으로 실행하여 현재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은 파드를 생성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구성 파일이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secret-test-pod
spec:
containers:
- name: test-container
image: nginx
volumeMounts:
# name must match the volume name below
- name: secret-volume
mountPath: /etc/secret-volume
# The secret data is exposed to Containers in the Pod through a Volume.
volumes:
- name: secret-volume
secret:
secretName: test-secret
파드를 생성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pods/inject/secret-pod.yaml
파드가 실행중인지 확인한다.
kubectl get pod secret-test-pod
Output: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secret-test-pod 1/1 Running 0 42m
파드에서 실행 중인 컨테이너의 셸을 가져오자.
kubectl exec -i -t secret-test-pod -- /bin/bash
시크릿 데이터는 /etc/secret-volume
에 마운트된 볼륨을 통해
컨테이너에 노출된다.
셸에서 /etc/secret-volume
디렉터리의 파일을 나열한다.
# 컨테이너 내부의 셸에서 실행하자
ls /etc/secret-volume
두 개의 파일과 각 파일의 시크릿 데이터 조각을 확인할 수 있다.
password username
셸에서 username
및 password
파일의 내용을 출력한다.
# 컨테이너 내부의 셸에서 실행하자
echo "$( cat /etc/secret-volume/username )"
echo "$( cat /etc/secret-volume/password )"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가 출력된다.
my-app
39528$vdg7Jb
환경 변수를 시크릿의 키-값 쌍으로 정의한다.
kubectl create secret generic backend-user --from-literal=backend-username='backend-admin'
시크릿에 정의된 backend-username
값을 파드 명세의 SECRET_USERNAME
환경 변수에 할당한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env-single-secret
spec:
containers:
- name: envars-test-container
image: nginx
env:
- name: SECRET_USERNAME
valueFrom:
secretKeyRef:
name: backend-user
key: backend-username
파드를 생성한다.
kubectl create -f https://k8s.io/examples/pods/inject/pod-single-secret-env-variable.yaml
셸에서 SECRET_USERNAME
컨테이너 환경 변수의 내용을 출력한다.
kubectl exec -i -t env-single-secret -- /bin/sh -c 'echo $SECRET_USERNAME'
출력은 다음과 같다.
backend-admin
이전 예제와 마찬가지로 시크릿을 먼저 생성한다.
kubectl create secret generic backend-user --from-literal=backend-username='backend-admin'
kubectl create secret generic db-user --from-literal=db-username='db-admin'
파드 명세에 환경 변수를 정의한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envvars-multiple-secrets
spec:
containers:
- name: envars-test-container
image: nginx
env:
- name: BACKEND_USERNAME
valueFrom:
secretKeyRef:
name: backend-user
key: backend-username
- name: DB_USERNAME
valueFrom:
secretKeyRef:
name: db-user
key: db-username
파드를 생성한다.
kubectl create -f https://k8s.io/examples/pods/inject/pod-multiple-secret-env-variable.yaml
셸에서 컨테이너 환경 변수를 출력한다.
kubectl exec -i -t envvars-multiple-secrets -- /bin/sh -c 'env | grep _USERNAME'
출력은 다음과 같다.
DB_USERNAME=db-admin
BACKEND_USERNAME=backend-admin
여러 키-값 쌍을 포함하는 시크릿을 생성한다.
kubectl create secret generic test-secret --from-literal=username='my-app' --from-literal=password='39528$vdg7Jb'
envFrom을 사용하여 시크릿의 모든 데이터를 컨테이너 환경 변수로 정의한다. 시크릿의 키는 파드에서 환경 변수의 이름이 된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envfrom-secret
spec:
containers:
- name: envars-test-container
image: nginx
envFrom:
- secretRef:
name: test-secret
파드를 생성한다.
kubectl create -f https://k8s.io/examples/pods/inject/pod-secret-envFrom.yaml
username
및 password
컨테이너 환경 변수를 셸에서 출력한다.
kubectl exec -i -t envfrom-secret -- /bin/sh -c 'echo "username: $username\npassword: $password\n"'
출력은 다음과 같다.
username: my-app
password: 39528$vdg7Jb
이 페이지에서는 쿠버네티스 디플로이먼트 오브젝트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쿠버네티스 서버의 버전은 다음과 같거나 더 높아야 함. 버전: v1.9. 버전 확인을 위해서, 다음 커맨드를 실행kubectl version
.
쿠버네티스 디플로이먼트 오브젝트를 생성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으며, 디플로이먼트에 대한 명세를 YAML 파일에 기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YAML 파일은 nginx:1.14.2 도커 이미지를 실행하는 디플로이먼트에 대한 명세를 담고 있다.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nginx-deployment
spec:
selector:
matchLabels:
app: nginx
replicas: 2 # tells deployment to run 2 pods matching the template
template:
metadata:
labels:
app: nginx
spec:
containers:
- name: nginx
image: nginx:1.14.2
ports:
- containerPort: 80
YAML 파일을 기반으로 디플로이먼트를 생성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application/deployment.yaml
디플로이먼트에 대한 정보를 살펴본다.
kubectl describe deployment nginx-deployment
출력은 다음과 유사하다.
Name: nginx-deployment
Namespace: default
CreationTimestamp: Tue, 30 Aug 2016 18:11:37 -0700
Labels: app=nginx
Annotations: deployment.kubernetes.io/revision=1
Selector: app=nginx
Replicas: 2 desired | 2 updated | 2 total | 2 available | 0 unavailable
StrategyType: RollingUpdate
MinReadySeconds: 0
RollingUpdateStrategy: 1 max unavailable, 1 max surge
Pod Template:
Labels: app=nginx
Containers:
nginx:
Image: nginx:1.14.2
Port: 80/TCP
Environment: <none>
Mounts: <none>
Volumes: <none>
Conditions:
Type Status Reason
---- ------ ------
Available True MinimumReplicasAvailable
Progressing True NewReplicaSetAvailable
OldReplicaSets: <none>
NewReplicaSet: nginx-deployment-1771418926 (2/2 replicas created)
No events.
디플로이먼트에 의해 생성된 파드를 나열한다.
kubectl get pods -l app=nginx
출력은 다음과 유사하다.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nginx-deployment-1771418926-7o5ns 1/1 Running 0 16h
nginx-deployment-1771418926-r18az 1/1 Running 0 16h
파드에 대한 정보를 살펴본다.
kubectl describe pod <pod-name>
<pod-name>
은 파드 중 하나의 이름이다.
새 YAML 파일을 적용하여 디플로이먼트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 YAML 파일은 nginx 1.16.1을 사용하도록 디플로이먼트를 업데이트해야 함을 명시하고 있다.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nginx-deployment
spec:
selector:
matchLabels:
app: nginx
replicas: 2
template:
metadata:
labels:
app: nginx
spec:
containers:
- name: nginx
image: nginx:1.16.1 # Update the version of nginx from 1.14.2 to 1.16.1
ports:
- containerPort: 80
새 YAML 파일을 적용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application/deployment-update.yaml
디플로이먼트가 새 이름으로 파드를 생성하고 이전 파드를 삭제하는 것을 확인한다.
kubectl get pods -l app=nginx
새 YAML 파일을 적용하여 디플로이먼트의 파드 수를 늘릴 수 있다.
이 YAML 파일은 replicas
를 4로 설정하여 디플로이먼트에
4개의 파드가 있어야 함을 명시하고 있다.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nginx-deployment
spec:
selector:
matchLabels:
app: nginx
replicas: 4 # Update the replicas from 2 to 4
template:
metadata:
labels:
app: nginx
spec:
containers:
- name: nginx
image: nginx:1.14.2
ports:
- containerPort: 80
새 YAML 파일을 적용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application/deployment-scale.yaml
디플로이먼트에 4개의 파드가 있는지 확인한다.
kubectl get pods -l app=nginx
출력은 다음과 유사하다.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nginx-deployment-148880595-4zdqq 1/1 Running 0 25s
nginx-deployment-148880595-6zgi1 1/1 Running 0 25s
nginx-deployment-148880595-fxcez 1/1 Running 0 2m
nginx-deployment-148880595-rwovn 1/1 Running 0 2m
이름으로 디플로이먼트를 삭제한다.
kubectl delete deployment nginx-deployment
애플리케이션을 복제하여 생성하는 기본적인 방법은 내부적으로 레플리카셋(ReplicaSet)을 활용하는 디플로이먼트를 사용하는 것이다. 쿠버네티스에 디플로이먼트 및 레플리카셋이 도입되기 전에는 레플리케이션컨트롤러(ReplicationController)를 사용하여 복제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했었다.
이 페이지에서는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서 퍼시스턴트볼륨(PersistentVolume)과 디플로이먼트(Deployment)를 사용하여, 단일 인스턴스 스테이트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을 보인다. 해당 애플리케이션은 MySQL이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버전 확인을 위해서, 다음 커맨드를 실행kubectl version
.
여기에서 사용된 퍼시스턴트볼륨클레임을 만족하기 위하여, 기본 스토리지클래스나 정적으로(statically) 프로비저닝 된 퍼시스턴트볼륨을 갖는 퍼시스턴트 볼륨 프로비저너가 필요하다.
쿠버네티스 디플로이먼트를 생성하고 퍼시스턴트볼륨클레임(PersistentVolumeClaim)을 사용하는 기존 퍼시스턴트볼륨에 연결하여 스테이트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 YAML 파일은 MySQL을 실행하고 퍼시스턴트볼륨클레임을 참조하는 디플로이먼트를 기술한다. 이 파일은 /var/lib/mysql에 대한 볼륨 마운트를 정의한 후에, 20G의 볼륨을 요청하는 퍼시트턴트볼륨클레임을 생성한다. 이 클레임은 요구 사항에 적합한 기존 볼륨이나 동적 프로비저너에 의해서 충족된다.
참고: config yaml 파일에 정의된 비밀번호는 안전하지 않다. 더 안전한 해결방법을 위해 쿠버네티스 시크릿 을 보자
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mysql
spec:
ports:
- port: 3306
selector:
app: mysql
clusterIP: None
---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mysql
spec:
selector:
matchLabels:
app: mysql
strategy:
type: Recreate
template:
metadata:
labels:
app: mysql
spec:
containers:
- image: mysql:5.6
name: mysql
env:
# Use secret in real usage
- name: MYSQL_ROOT_PASSWORD
value: password
ports:
- containerPort: 3306
name: mysql
volumeMounts:
- name: mysql-persistent-storage
mountPath: /var/lib/mysql
volumes:
- name: mysql-persistent-storage
persistentVolumeClaim:
claimName: mysql-pv-claim
apiVersion: v1
kind: PersistentVolume
metadata:
name: mysql-pv-volume
labels:
type: local
spec:
storageClassName: manual
capacity:
storage: 20Gi
accessModes:
- ReadWriteOnce
hostPath:
path: "/mnt/data"
---
apiVersion: v1
kind: PersistentVolumeClaim
metadata:
name: mysql-pv-claim
spec:
storageClassName: manual
accessModes:
- ReadWriteOnce
resources:
requests:
storage: 20Gi
YAML 파일의 PV와 PVC를 배포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application/mysql/mysql-pv.yaml
YAML 파일의 다른 오브젝트들을 배포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application/mysql/mysql-deployment.yaml
디플로이먼트에 관한 정보를 확인한다.
kubectl describe deployment mysql
출력은 다음과 유사하다.
Name: mysql
Namespace: default
CreationTimestamp: Tue, 01 Nov 2016 11:18:45 -0700
Labels: app=mysql
Annotations: deployment.kubernetes.io/revision=1
Selector: app=mysql
Replicas: 1 desired | 1 updated | 1 total | 0 available | 1 unavailable
StrategyType: Recreate
MinReadySeconds: 0
Pod Template:
Labels: app=mysql
Containers:
mysql:
Image: mysql:5.6
Port: 3306/TCP
Environment:
MYSQL_ROOT_PASSWORD: password
Mounts:
/var/lib/mysql from mysql-persistent-storage (rw)
Volumes:
mysql-persistent-storage:
Type: PersistentVolumeClaim (a reference to a PersistentVolumeClaim in the same namespace)
ClaimName: mysql-pv-claim
ReadOnly: false
Conditions:
Type Status Reason
---- ------ ------
Available False MinimumReplicasUnavailable
Progressing True ReplicaSetUpdated
OldReplicaSets: <none>
NewReplicaSet: mysql-63082529 (1/1 replicas created)
Events:
FirstSeen LastSeen Count From SubobjectPath Type Reason Message
--------- -------- ----- ---- ------------- -------- ------ -------
33s 33s 1 {deployment-controller } Normal ScalingReplicaSet Scaled up replica set mysql-63082529 to 1
디플로이먼트로 생성된 파드를 나열한다.
kubectl get pods -l app=mysql
출력은 다음과 유사하다.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mysql-63082529-2z3ki 1/1 Running 0 3m
퍼시스턴트볼륨클레임을 살펴본다.
kubectl describe pvc mysql-pv-claim
출력은 다음과 유사하다.
Name: mysql-pv-claim
Namespace: default
StorageClass:
Status: Bound
Volume: mysql-pv-volume
Labels: <none>
Annotations: pv.kubernetes.io/bind-completed=yes
pv.kubernetes.io/bound-by-controller=yes
Capacity: 20Gi
Access Modes: RWO
Events: <none>
이전의 YAML 파일은 클러스터의 다른 파드가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있는 서비스를 생성한다. clusterIP: None
서비스 옵션을 사용하면 서비스의 DNS 이름을 직접 파드의 IP 주소로
해석하도록 처리한다. 이 방법은 서비스에서 연결되는 파드가 오직 하나 뿐이고,
파드의 수를 더 늘릴 필요가 없는 경우에 가장 적합하다.
서버에 접속하기 위하여 MySQL 클라이언트를 실행한다.
kubectl run -it --rm --image=mysql:5.6 --restart=Never mysql-client -- mysql -h mysql -ppassword
이 명령어는 MySQL 클라이언트를 실행하는 파드를 클러스터에 생성하고, 서비스를 통하여 서버에 연결한다. 연결된다면, 스테이트풀 MySQL 데이터베이스가 실행 중임을 알 수 있다.
Waiting for pod default/mysql-client-274442439-zyp6i to be running, status is Pending, pod ready: false
If you don't see a command prompt, try pressing enter.
mysql>
kubectl apply
명령을 사용하여 기존과 동일한 방식으로 디플로이먼트의
이미지나 다른 부분을 변경할 수 있다. 스테이트풀 애플리케이션과 관련하여 몇 가지
주의 사항이 있다.
strategy:
type: Recreate
를 사용한다. 이는 쿠버네티스가
롤링 업데이트를 사용하지 않도록 지시한다. 동시에 두 개 이상의 파드를 생성할
수 없으므로, 롤링 업데이트는 일어나지 않게 된다. Recreate
전략을 사용하면
변경된 구성으로 새로운 파드를 생성하기에 앞서 기존의 파드를 중단한다.이름으로 배포된 오브젝트를 삭제한다.
kubectl delete deployment,svc mysql
kubectl delete pvc mysql-pv-claim
kubectl delete pv mysql-pv-volume
퍼시스턴트볼륨을 수동으로 프로비저닝한 경우라면, 동일하게 수동으로 삭제하고 기본 리소스도 해제해야 한다. 동적 프로비저너를 사용한 경우, 퍼시스턴트볼륨클레임이 삭제되었을 때에 퍼시스턴트볼륨 또한 자동으로 삭제된다. 일부 동적 프로비저너(EBS 와 PD와 같은)는 퍼시스턴트볼륨을 삭제할 때에 기본 리소스도 해제한다.
디플로이먼트 오브젝트에 대해 더 배워 보기
애플리케이션 배포하기에 대해 더 배워보기
이 작업은 스테이트풀셋을 삭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쿠버네티스에서 다른 리소스를 삭제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스테이트풀셋을 삭제할 수 있다. kubectl delete
명령어를 사용하고 파일 또는 이름으로 스테이트풀셋을 지정하자.
kubectl delete -f <file.yaml>
kubectl delete statefulsets <statefulset-name>
스테이트풀셋 자체를 삭제한 후 연결된 헤드리스 서비스는 별도로 삭제해야 할 수도 있다.
kubectl delete service <service-name>
kubectl을 통해 스테이트풀셋을 삭제하면, 스테이트풀셋의 크기가 0으로 설정되고 이로 인해 스테이트풀셋에 포함된 모든 파드가 삭제된다. 파드가 아닌 스테이트풀셋만 삭제하려면, --cascade=orphan
옵션을 사용한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kubectl delete -f <file.yaml> --cascade=orphan
kubectl delete
에 --cascade=orphan
를 사용하면 스테이트풀셋 오브젝트가 삭제된 후에도 스테이트풀셋에 의해 관리된 파드는 남게 된다. 만약 파드가 app=myapp
레이블을 갖고 있다면, 다음과 같이 파드를 삭제할 수 있다.
kubectl delete pods -l app=myapp
스테이트풀셋의 파드들을 삭제하는 것이 연결된 볼륨을 삭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것은 볼륨을 삭제하기 전에 볼륨에서 데이터를 복사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 파드가 종료된 후 PVC를 삭제하면 스토리지 클래스와 반환 정책에 따라 백업 퍼시스턴트볼륨 삭제가 트리거될 수 있다. 클레임 삭제 후 볼륨에 접근할 수 있다고 가정하면 안된다.
연결된 파드를 포함해서 스테이트풀셋의 모든 것을 삭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일련의 명령을 실행한다.
grace=$(kubectl get pods <stateful-set-pod> --template '{{.spec.terminationGracePeriodSeconds}}')
kubectl delete statefulset -l app=myapp
sleep $grace
kubectl delete pvc -l app=myapp
위의 예에서 파드에는 app=myapp
라는 레이블이 있다. 사용자에게 적절한 레이블로 대체하자.
스테이트풀셋의 일부 파드가 오랫동안 'Terminating' 또는 'Unknown' 상태에 있는 경우, apiserver에 수동적으로 개입하여 파드를 강제 삭제할 수도 있다. 이것은 잠재적으로 위험한 작업이다. 자세한 설명은 스테이트풀셋 파드 강제 삭제하기를 참고한다.
스테이트풀셋 파드 강제 삭제하기에 대해 더 알아보기.
Horizontal Pod Autoscaler는 CPU 사용량 (또는 사용자 정의 메트릭, 아니면 다른 애플리케이션 지원 메트릭)을 관찰하여 레플리케이션 컨트롤러(ReplicationController), 디플로이먼트(Deployment), 레플리카셋(ReplicaSet) 또는 스테이트풀셋(StatefulSet)의 파드 개수를 자동으로 스케일한다. Horizontal Pod Autoscaler는 크기를 조정할 수 없는 오브젝트(예: 데몬셋(DaemonSet))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Horizontal Pod Autoscaler는 쿠버네티스 API 리소스 및 컨트롤러로 구현된다. 리소스는 컨트롤러의 동작을 결정한다. 컨트롤러는 평균 CPU 사용률, 평균 메모리 사용률 또는 다른 커스텀 메트릭과 같은 관찰 대상 메트릭이 사용자가 지정한 목표값과 일치하도록 레플리케이션 컨트롤러 또는 디플로이먼트에서 레플리카 개수를 주기적으로 조정한다.
Horizontal Pod Autoscaler는 컨트롤러
관리자의 --horizontal-pod-autoscaler-sync-period
플래그(기본값은
15초)에 의해 제어되는 주기를 가진 컨트롤 루프로 구현된다.
각 주기 동안 컨트롤러 관리자는 각 HorizontalPodAutoscaler 정의에 지정된 메트릭에 대해 리소스 사용률을 질의한다. 컨트롤러 관리자는 리소스 메트릭 API(파드 단위 리소스 메트릭 용) 또는 사용자 지정 메트릭 API(다른 모든 메트릭 용)에서 메트릭을 가져온다.
파드 단위 리소스 메트릭(예 : CPU)의 경우 컨트롤러는 HorizontalPodAutoscaler가 대상으로하는 각 파드에 대한 리소스 메트릭 API에서 메트릭을 가져온다. 그런 다음, 목표 사용률 값이 설정되면, 컨트롤러는 각 파드의 컨테이너에 대한 동등한 자원 요청을 퍼센트 단위로 하여 사용률 값을 계산한다. 대상 원시 값이 설정된 경우 원시 메트릭 값이 직접 사용된다. 그리고, 컨트롤러는 모든 대상 파드에서 사용된 사용률의 평균 또는 원시 값(지정된 대상 유형에 따라 다름)을 가져와서 원하는 레플리카의 개수를 스케일하는데 사용되는 비율을 생성한다.
파드의 컨테이너 중 일부에 적절한 리소스 요청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파드의 CPU 사용률은 정의되지 않으며, 따라서 오토스케일러는 해당 메트릭에 대해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는다. 오토스케일링 알고리즘의 작동 방식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알고리즘 세부 정보 섹션을 참조하기 바란다.
파드 단위 사용자 정의 메트릭의 경우, 컨트롤러는 사용률 값이 아닌 원시 값을 사용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파드 단위 리소스 메트릭과 유사하게 작동한다.
오브젝트 메트릭 및 외부 메트릭의 경우, 문제의 오브젝트를 표현하는
단일 메트릭을 가져온다. 이 메트릭은 목표 값과
비교되어 위와 같은 비율을 생성한다. autoscaling/v2beta2
API
버전에서는, 비교가 이루어지기 전에 해당 값을 파드의 개수로
선택적으로 나눌 수 있다.
HorizontalPodAutoscaler는 보통 일련의 API 집합(metrics.k8s.io
,
custom.metrics.k8s.io
, external.metrics.k8s.io
)에서 메트릭을 가져온다. metrics.k8s.io
API는 대개 별도로
시작해야 하는 메트릭-서버에 의해 제공된다. 가이드는
메트릭-서버를
참조한다. HorizontalPodAutoscaler는 힙스터(Heapster)에서 직접 메트릭을 가져올 수도 있다.
Kubernetes v1.11 [deprecated]
힙스터에서 메트릭 가져오기는 Kubernetes 1.11에서 사용 중단(deprecated)됨.
자세한 사항은 메트릭 API를 위한 지원을 참조한다.
오토스케일러는 스케일 하위 리소스를 사용하여 상응하는 확장 가능 컨트롤러(예: 레플리케이션 컨트롤러, 디플로이먼트, 레플리케이션 셋)에 접근한다. 스케일은 레플리카의 개수를 동적으로 설정하고 각 현재 상태를 검사 할 수 있게 해주는 인터페이스이다. 하위 리소스 스케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가장 기본적인 관점에서, Horizontal Pod Autoscaler 컨트롤러는 원하는(desired) 메트릭 값과 현재(current) 메트릭 값 사이의 비율로 작동한다.
원하는 레플리카 수 = ceil[현재 레플리카 수 * ( 현재 메트릭 값 / 원하는 메트릭 값 )]
예를 들어 현재 메트릭 값이 200m
이고 원하는 값이
100m
인 경우 200.0 / 100.0 == 2.0
이므로 복제본 수가 두 배가
된다. 만약 현재 값이 50m
이면, 50.0 / 100.0 == 0.5
이므로
복제본 수를 반으로 줄일 것이다. 비율이 1.0(0.1을 기본값으로 사용하는
-horizontal-pod-autoscaler-tolerance
플래그를 사용하여
전역적으로 구성 가능한 허용 오차 내)에 충분히 가깝다면 스케일링을 건너 뛸 것이다.
targetAverageValue
또는 targetAverageUtilization
가 지정되면,
currentMetricValue
는 HorizontalPodAutoscaler의 스케일 목표
안에 있는 모든 파드에서 주어진 메트릭의 평균을 취하여 계산된다.
허용치를 확인하고 최종 값을 결정하기 전에, 파드
준비 상태와 누락된 메트릭을 고려한다.
삭제 타임 스탬프가 설정된 모든 파드(즉, 종료 중인 파드) 및 실패한 파드는 모두 폐기된다.
특정 파드에 메트릭이 누락된 경우, 나중을 위해 처리를 미뤄두는데, 이와 같이 누락된 메트릭이 있는 모든 파드는 최종 스케일 량을 조정하는데 사용된다.
CPU를 스케일할 때, 어떤 파드라도 아직 준비가 안되었거나 (즉, 여전히 초기화 중인 경우) * 또는 * 파드의 최신 메트릭 포인트가 준비되기 전이라면, 마찬가지로 해당 파드는 나중에 처리된다.
기술적 제약으로 인해, HorizontalPodAutoscaler 컨트롤러는
특정 CPU 메트릭을 나중에 사용할지 말지 결정할 때, 파드가 준비되는
시작 시간을 정확하게 알 수 없다. 대신, 파드가 아직 준비되지
않았고 시작 이후 짧은 시간 내에 파드가 준비되지 않은 상태로
전환된다면, 해당 파드를 "아직 준비되지 않음(not yet ready)"으로 간주한다.
이 값은 --horizontal-pod-autoscaler-initial-readiness-delay
플래그로 설정되며, 기본값은 30초
이다. 일단 파드가 준비되고 시작된 후 구성 가능한 시간 이내이면,
준비를 위한 어떠한 전환이라도 이를 시작 시간으로 간주한다. 이
값은 --horizontal-pod-autoscaler-cpu-initialization-period
플래그로 설정되며
기본값은 5분이다.
현재 메트릭 값 / 원하는 메트릭 값
기본 스케일 비율은 나중에
사용하기로 되어 있거나 위에서 폐기되지 않은 남아있는 파드를 사용하여 계산된다.
누락된 메트릭이 있는 경우, 파드가 스케일 다운의 경우 원하는 값의 100%를 소비하고 스케일 업의 경우 0%를 소비한다고 가정하여 평균을 보다 보수적으로 재계산한다. 이것은 잠재적인 스케일의 크기를 약화시킨다.
또한 아직-준비되지-않은 파드가 있는 경우 누락된 메트릭이나 아직-준비되지-않은 파드를 고려하지 않고 스케일 업했을 경우, 아직-준비되지-않은 파드가 원하는 메트릭의 0%를 소비한다고 보수적으로 가정하고 스케일 확장의 크기를 약화시킨다.
아직-준비되지-않은 파드나 누락된 메트릭을 고려한 후에 사용 비율을 다시 계산한다. 새 비율이 스케일 방향을 바꾸거나, 허용 오차 내에 있으면 스케일링을 건너뛴다. 그렇지 않으면, 새 비율을 사용하여 스케일한다.
평균 사용량에 대한 원래 값은 새로운 사용 비율이 사용되는 경우에도 아직-준비되지-않은 파드 또는 누락된 메트릭에 대한 고려없이 HorizontalPodAutoscaler 상태를 통해 다시 보고된다.
HorizontalPodAutoscaler에 여러 메트릭이 지정된 경우, 이 계산은
각 메트릭에 대해 수행된 다음 원하는 레플리카 수 중 가장
큰 값이 선택된다. 이러한 메트릭 중 어떠한 것도 원하는
레플리카 수로 변환할 수 없는 경우(예 : 메트릭 API에서 메트릭을
가져오는 중 오류 발생) 스케일을 건너뛴다.
이는 하나 이상의 메트릭이
현재 값보다 높은 desiredReplicas
을 제공하는 경우
HPA가 여전히 확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HPA가 목표를 스케일하기 직전에 스케일 권장 사항이
기록된다. 컨트롤러는 구성 가능한 창(window) 내에서 가장 높은 권장
사항을 선택하도록 해당 창 내의 모든 권장 사항을 고려한다. 이 값은 --horizontal-pod-autoscaler-downscale-stabilization
플래그를 사용하여 설정할 수 있고, 기본값은 5분이다.
즉, 스케일 다운이 점진적으로 발생하여 급격히 변동하는 메트릭 값의
영향을 완만하게 한다.
Horizontal Pod Autoscaler는 쿠버네티스 autoscaling
API 그룹의 API 리소스이다.
CPU에 대한 오토스케일링 지원만 포함하는 안정된 버전은
autoscaling/v1
API 버전에서 찾을 수 있다.
메모리 및 사용자 정의 메트릭에 대한 스케일링 지원을 포함하는 베타 버전은
autoscaling/v2beta2
에서 확인할 수 있다. autoscaling/v2beta2
에서 소개된
새로운 필드는 autoscaling/v1
로 작업할 때 어노테이션으로 보존된다.
HorizontalPodAutoscaler API 오브젝트 생성시 지정된 이름이 유효한 DNS 서브도메인 이름인지 확인해야 한다. API 오브젝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HorizontalPodAutoscaler 오브젝트에서 찾을 수 있다.
Horizontal Pod Autoscaler는 모든 API 리소스와 마찬가지로 kubectl
에 의해 표준 방식으로 지원된다.
kubectl create
커맨드를 사용하여 새로운 오토스케일러를 만들 수 있다.
kubectl get hpa
로 오토스케일러 목록을 조회할 수 있고, kubectl describe hpa
로 세부 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kubectl delete hpa
를 사용하여 오토스케일러를 삭제할 수 있다.
또한 Horizontal Pod Autoscaler를 생성할 수 있는 kubectl autoscale
이라는 특별한 명령이 있다.
예를 들어 kubectl autoscale rs foo --min=2 --max=5 --cpu-percent=80
을
실행하면 레플리케이션 셋 foo 에 대한 오토스케일러가 생성되고, 목표 CPU 사용률은 80 %
,
그리고 2와 5 사이의 레플리카 개수로 설정된다.
kubectl autoscale
에 대한 자세한 문서는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
쿠버네티스는 디플로이먼트에 대한 롤링 업데이트를 지원한다.
이 경우, 디플로이먼트가 기저 레플리카셋을 알아서 관리한다.
디플로이먼트에 오토스케일링을 설정하려면,
각 디플로이먼트에 대한 HorizontalPodAutoscaler를 생성한다.
HorizontalPodAutoscaler는 디플로이먼트의 replicas
필드를 관리한다.
디플로이먼트 컨트롤러는 기저 레플리카셋에 replicas
값을 적용하여
롤아웃 과정 중/이후에 적절한 숫자까지 늘어나도록 한다.
오토스케일된 레플리카가 있는 스테이트풀셋의 롤링 업데이트를 수행하면, 스테이트풀셋이 직접 파드의 숫자를 관리한다(즉, 레플리카셋과 같은 중간 리소스가 없다).
Horizontal Pod Autoscaler를 사용하여 레플리카 그룹의 스케일을 관리할 때, 평가된 메트릭의 동적인 특징 때문에 레플리카 수가 자주 변동할 수 있다. 이것은 때로는 스래싱 (thrashing) 이라고도 한다.
v1.6 부터 클러스터 운영자는 kube-controller-manager
컴포넌트의 플래그로
노출된 글로벌 HPA 설정을 튜닝하여 이 문제를 완화할 수 있다.
v1.12부터는 새로운 알고리즘 업데이트가 업스케일 지연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하였다.
--horizontal-pod-autoscaler-downscale-delay
: 다운스케일이
안정화되기까지의 시간 간격을 지정한다.
Horizontal Pod Autoscaler는 이전의 권장하는 크기를 기억하고,
이 시간 간격에서의 가장 큰 크기에서만 작동한다.
기본값은 5분(5m0s
)이다.모든 HPA 대상은 스케일링 대상에서 파드의 리소스 사용량을 기준으로 스케일링할 수 있다.
파드의 명세를 정의할 때는 cpu
및 memory
와 같은 리소스 요청을
지정해야 한다. 이것은 리소스 사용률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며 HPA 컨트롤러에서 대상을
스케일링하거나 축소하는 데 사용한다. 리소스 사용률 기반 스케일링을 사용하려면 다음과 같은 메트릭 소스를
지정해야 한다.
type: Resource
resource:
name: cpu
target:
type: Utilization
averageUtilization: 60
이 메트릭을 사용하면 HPA 컨트롤러는 스케일링 대상에서 파드의 평균 사용률을 60%로 유지한다. 사용률은 파드의 요청된 리소스에 대한 현재 리소스 사용량 간의 비율이다. 사용률 계산 및 평균 산출 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알고리즘을 참조한다.
Kubernetes v1.20 [alpha]
HorizontalPodAutoscaler
는 대상 리소스를 스케일링하기 위해 HPA가 파드 집합에서 개별 컨테이너의
리소스 사용량을 추적할 수 있는 컨테이너 메트릭 소스도 지원한다.
이를 통해 특정 파드에서 가장 중요한 컨테이너의 스케일링 임계값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로깅 사이드카가 있는 경우 사이드카 컨테이너와 해당 리소스 사용을 무시하고
웹 애플리케이션의 리소스 사용을 기준으로 스케일링할 수 있다.
대상 리소스를 다른 컨테이너 세트를 사용하여 새 파드 명세를 갖도록 수정하는 경우 새로 추가된 컨테이너도 스케일링에 사용해야 한다면 HPA 사양을 수정해야 한다. 메트릭 소스에 지정된 컨테이너가 없거나 파드의 하위 집합에만 있는 경우 해당 파드는 무시되고 권장 사항이 다시 계산된다. 계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알고리즘을 을 참조한다. 컨테이너 리소스를 오토스케일링에 사용하려면 다음과 같이 메트릭 소스를 정의한다.
type: ContainerResource
containerResource:
name: cpu
container: application
target:
type: Utilization
averageUtilization: 60
위의 예에서 HPA 컨트롤러는 모든 파드의 application
컨테이너에 있는 CPU의 평균 사용률이
60%가 되도록 대상을 조정한다.
HorizontalPodAutoscaler가 추적하는 컨테이너의 이름을 변경하는 경우 특정 순서로 변경을 수행하여 변경 사항이 적용되는 동안 스케일링을 계속 사용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컨테이너를 정의하는 리소스(예: 배포)를 업데이트하기 전에 연결된 HPA를 업데이트하여 새 컨테이너 이름과 이전 컨테이너 이름을 모두 추적해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HPA는 업데이트 프로세스 전반에 걸쳐 스케일링 권장 사항을 계산할 수 있다.
컨테이너 이름 변경을 워크로드 리소스로 롤아웃한 후에는 HPA 사양에서 이전 컨테이너 이름을 제거하여 정리한다.
Kubernetes 1.6은 멀티 메트릭을 기반으로 스케일링을 지원한다. autoscaling/v2beta2
API
버전을 사용하여 Horizontal Pod Autoscaler가 스케일을 조정할 멀티 메트릭을 지정할 수 있다. 그런 다음 Horizontal Pod
Autoscaler 컨트롤러가 각 메트릭을 평가하고, 해당 메트릭을 기반으로 새 스케일을 제안한다.
제안된 스케일 중 가장 큰 것이 새로운 스케일로 사용된다.
쿠버네티스 1.6에서는 Horizontal Pod Autoscaler에서 사용자 정의 메트릭을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autoscaling/v2beta2
API에서 사용할 Horizontal Pod Autoscaler에 대한 사용자 정의 메트릭을 추가 할 수 있다.
그리고 쿠버네티스는 새 사용자 정의 메트릭 API에 질의하여 적절한 사용자 정의 메트릭의 값을 가져온다.
요구 사항은 메트릭을 위한 지원을 참조한다.
기본적으로 HorizontalPodAutoscaler 컨트롤러는 일련의 API에서 메트릭을 검색한다. 이러한 API에 접속하려면 클러스터 관리자는 다음을 확인해야 한다.
API 애그리게이션 레이어 활성화
해당 API 등록:
리소스 메트릭의 경우, 일반적으로 이것은 메트릭-서버가 제공하는 metrics.k8s.io
API이다.
클러스터 애드온으로 시작할 수 있다.
사용자 정의 메트릭의 경우, 이것은 custom.metrics.k8s.io
API이다. 메트릭 솔루션 공급 업체에서 제공하는 "어댑터" API 서버에서 제공한다.
메트릭 파이프라인 또는 알려진 솔루션 목록으로 확인한다.
직접 작성하고 싶다면 샘플을 확인한다.
외부 메트릭의 경우, 이것은 external.metrics.k8s.io
API이다. 위에 제공된 사용자 정의 메트릭 어댑터에서 제공될 수 있다.
--horizontal-pod-autoscaler-use-rest-clients
는 true
이거나 설정되지 않음. 이것을 false로 설정하면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힙스터 기반 오토스케일링으로 전환된다.
이런 다양한 메트릭 경로와 각각의 다른 점에 대한 상세 내용은 관련 디자인 제안서인 HPA V2, custom.metrics.k8s.io, external.metrics.k8s.io를 참조한다.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한 예시는 커스텀 메트릭 사용하는 작업 과정과 외부 메트릭스 사용하는 작업 과정을 참조한다.
v1.18
부터 v2beta2
API는 HPA behavior
필드를 통해
스케일링 동작을 구성할 수 있다.
동작은 behavior
필드 아래의 scaleUp
또는 scaleDown
섹션에서 스케일링 업과 다운을 위해 별도로 지정된다. 안정화 윈도우는
스케일링 대상에서 레플리카 수의 플래핑(flapping)을 방지하는
양방향에 대해 지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스케일링 정책을 지정하면
스케일링 중 레플리카 변경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스펙의 behavior
섹션에 하나 이상의 스케일링 폴리시를 지정할 수 있다.
폴리시가 여러 개 지정된 경우 가장 많은 양의 변경을
허용하는 정책이 기본적으로 선택된 폴리시이다. 다음 예시는 스케일 다운 중 이
동작을 보여준다.
behavior:
scaleDown:
policies:
- type: Pods
value: 4
periodSeconds: 60
- type: Percent
value: 10
periodSeconds: 60
periodSeconds
는 폴리시가 참(true)으로 유지되어야 하는 기간을 나타낸다.
첫 번째 정책은 (파드들) 이 1분 내에 최대 4개의 레플리카를 스케일 다운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두 번째 정책은 비율 로 현재 레플리카의 최대 10%를 1분 내에 스케일 다운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기본적으로 가장 많은 변경을 허용하는 정책이 선택되기에 두 번째 정책은 파드의 레플리카 수가 40개를 초과하는 경우에만 사용된다. 레플리카가 40개 이하인 경우 첫 번째 정책이 적용된다. 예를 들어 80개의 레플리카가 있고 대상을 10개의 레플리카로 축소해야 하는 경우 첫 번째 단계에서 8개의 레플리카가 스케일 다운 된다. 레플리카의 수가 72개일 때 다음 반복에서 파드의 10%는 7.2 이지만, 숫자는 8로 올림된다. 오토스케일러 컨트롤러의 각 루프에서 변경될 파드의 수는 현재 레플리카의 수에 따라 재계산된다. 레플리카의 수가 40 미만으로 떨어지면 첫 번째 폴리시 (파드들) 가 적용되고 한번에 4개의 레플리카가 줄어든다.
확장 방향에 대해 selectPolicy
필드를 확인하여 폴리시 선택을 변경할 수 있다.
레플리카의 수를 최소로 변경할 수 있는 폴리시를 선택하는 최소(Min)
로 값을 설정한다.
값을 Disabled
로 설정하면 해당 방향으로 스케일링이 완전히
비활성화 된다.
안정화 윈도우는 스케일링에 사용되는 메트릭이 계속 변동할 때 레플리카의 플래핑을
다시 제한하기 위해 사용된다. 안정화 윈도우는 스케일링을 방지하기 위해 과거부터
계산된 의도한 상태를 고려하는 오토스케일링 알고리즘에 의해 사용된다.
다음의 예시에서 scaleDown
에 대해 안정화 윈도우가 지정되어있다.
scaleDown:
stabilizationWindowSeconds: 300
메트릭이 대상을 축소해야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알고리즘은 이전에 계산된 의도한 상태를 살펴보고 지정된 간격의 최고 값을 사용한다. 위의 예시에서 지난 5분 동안 모든 의도한 상태가 고려된다.
사용자 지정 스케일링을 사용하려면 일부 필드를 지정해야 한다. 사용자 정의해야 하는 값만 지정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지정 값은 기본값과 병합된다. 기본값은 HPA 알고리즘의 기존 동작과 일치한다.
behavior:
scaleDown:
stabilizationWindowSeconds: 300
policies:
- type: Percent
value: 100
periodSeconds: 15
scaleUp:
stabilizationWindowSeconds: 0
policies:
- type: Percent
value: 100
periodSeconds: 15
- type: Pods
value: 4
periodSeconds: 15
selectPolicy: Max
안정화 윈도우의 스케일링 다운의 경우 300 초 (또는 제공된
경우--horizontal-pod-autoscaler-downscale-stabilization
플래그의 값)이다. 스케일링 다운에서는 현재
실행 중인 레플리카의 100%를 제거할 수 있는 단일 정책만 있으며, 이는 스케일링
대상을 최소 허용 레플리카로 축소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스케일링 업에는 안정화 윈도우가 없다. 메트릭이 대상을 스케일 업해야 한다고 표시된다면 대상이 즉시 스케일 업된다.
두 가지 폴리시가 있다. HPA가 정상 상태에 도달 할 때까지 15초 마다
4개의 파드 또는 현재 실행 중인 레플리카의 100% 가 추가된다.
사용자 지정 다운스케일 안정화 윈도우를 1분 동안 제공하기 위해 다음 동작이 HPA에 추가된다.
behavior:
scaleDown:
stabilizationWindowSeconds: 60
HPA에 의해 파드가 제거되는 속도를 분당 10%로 제한하기 위해 다음 동작이 HPA에 추가된다.
behavior:
scaleDown:
policies:
- type: Percent
value: 10
periodSeconds: 60
마지막으로 5개의 파드를 드롭하기 위해 다른 폴리시를 추가하고, 최소 선택
전략을 추가할 수 있다.
분당 5개 이하의 파드가 제거되지 않도록, 고정 크기가 5인 두 번째 축소
정책을 추가하고, selectPolicy
를 최소로 설정하면 된다. selectPolicy
를 Min
으로 설정하면
자동 스케일러가 가장 적은 수의 파드에 영향을 주는 정책을 선택함을 의미한다.
behavior:
scaleDown:
policies:
- type: Percent
value: 10
periodSeconds: 60
- type: Pods
value: 5
periodSeconds: 60
selectPolicy: Min
selectPolicy
의 Disabled
값은 주어진 방향으로의 스케일링을 끈다.
따라서 다운 스케일링을 방지하기 위해 다음 폴리시가 사용된다.
behavior:
scaleDown:
selectPolicy: Disabled
HPA 구성 자체를 변경할 필요없이 대상에 대한
HPA를 암시적으로 비활성화할 수 있다. 대상의 의도한
레플리카 수가 0으로 설정되고, HPA의 최소 레플리카 수가 0 보다 크면, 대상의
의도한 레플리카 수 또는 HPA의 최소 레플리카 수를 수동으로 조정하여
다시 활성화할 때까지 HPA는 대상 조정을
중지한다(그리고 ScalingActive
조건 자체를 false
로 설정).
Horizontal Pod Autoscaler는 CPU 사용량(또는 베타 지원의 다른 애플리케이션 지원 메트릭)을 관찰하여 레플리케이션 컨트롤러, 디플로이먼트, 레플리카셋(ReplicaSet) 또는 스테이트풀셋(StatefulSet)의 파드 개수를 자동으로 스케일한다.
이 문서는 php-apache 서버를 대상으로 Horizontal Pod Autoscaler를 동작해보는 예제이다. Horizontal Pod Autoscaler 동작과 관련된 더 많은 정보를 위해서는 Horizontal Pod Autoscaler 사용자 가이드를 참고하기 바란다.
이 예제는 버전 1.2 또는 이상의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와 kubectl을 필요로 한다. 메트릭 서버 모니터링을 클러스터에 배포하여 메트릭 API를 통해 메트릭을 제공해야 한다. Horizontal Pod Autoscaler가 메트릭을 수집할때 해당 API를 사용한다. 메트릭-서버를 배포하는 방법에 대해 배우려면, 메트릭-서버 문서를 참고한다.
Horizontal Pod Autoscaler에 다양한 자원 메트릭을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 버전 1.6 또는 이상의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와 kubectl를 사용해야 한다. 사용자 정의 메트릭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클러스터가 사용자 정의 메트릭 API를 제공하는 API 서버와 통신할 수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쿠버네티스 오브젝트와 관련이 없는 메트릭을 사용하는 경우, 버전 1.10 또는 이상의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와 kubectl을 사용해야 하며, 외부 메트릭 API와 통신이 가능해야 한다. 자세한 사항은 Horizontal Pod Autoscaler 사용자 가이드를 참고하길 바란다.
Horizontal Pod Autoscaler 시연을 위해 php-apache 이미지를 맞춤 제작한 Docker 이미지를 사용한다. Dockerfile은 다음과 같다.
FROM php:5-apache
COPY index.php /var/www/html/index.php
RUN chmod a+rx index.php
index.php는 CPU 과부하 연산을 수행한다.
<?php
$x = 0.0001;
for ($i = 0; $i <= 1000000; $i++) {
$x += sqrt($x);
}
echo "OK!";
?>
첫 번째 단계로, 다음 구성을 사용해서 실행 중인 이미지의 디플로이먼트를 시작하고 서비스로 노출시킨다.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php-apache
spec:
selector:
matchLabels:
run: php-apache
replicas: 1
template:
metadata:
labels:
run: php-apache
spec:
containers:
- name: php-apache
image: k8s.gcr.io/hpa-example
ports:
- containerPort: 80
resources:
limits:
cpu: 500m
requests:
cpu: 200m
---
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php-apache
labels:
run: php-apache
spec:
ports:
- port: 80
selector:
run: php-apache
다음의 명령어를 실행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application/php-apache.yaml
deployment.apps/php-apache created
service/php-apache created
이제 서비스가 동작중이므로, kubectl autoscale를 사용하여 오토스케일러를 생성한다. 다음 명령어는 첫 번째 단계에서 만든 php-apache 디플로이먼트 파드의 개수를 1부터 10 사이로 유지하는 Horizontal Pod Autoscaler를 생성한다. 간단히 얘기하면, HPA는 (디플로이먼트를 통한) 평균 CPU 사용량을 50%로 유지하기 위하여 레플리카의 개수를 늘리고 줄인다. (kubectl run으로 각 파드는 200 밀리코어까지 요청할 수 있고, 따라서 여기서 말하는 평균 CPU 사용은 100 밀리코어를 말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알고리즘은 여기를 참고하기 바란다.
kubectl autoscale deployment php-apache --cpu-percent=50 --min=1 --max=10
horizontalpodautoscaler.autoscaling/php-apache autoscaled
실행 중인 오토스케일러의 현재 상태를 확인해본다.
kubectl get hpa
NAME REFERENCE TARGET MINPODS MAXPODS REPLICAS AGE
php-apache Deployment/php-apache/scale 0% / 50% 1 10 1 18s
아직 서버로 어떠한 요청도 하지 않았기 때문에, 현재 CPU 소비는 0%임을 확인할 수 있다 (TARGET
은 디플로이먼트에 의해 제어되는 파드들의 평균을 나타낸다).
이번에는 부하가 증가함에 따라 오토스케일러가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먼저 컨테이너를 하나 실행하고, php-apache 서비스에 무한루프의 쿼리를 전송한다(다른 터미널을 열어 수행하기 바란다).
kubectl run -i --tty load-generator --rm --image=busybox --restart=Never -- /bin/sh -c "while sleep 0.01; do wget -q -O- http://php-apache; done"
실행 후, 약 1분 정도 후에 CPU 부하가 올라가는 것을 볼 수 있다.
kubectl get hpa
NAME REFERENCE TARGET MINPODS MAXPODS REPLICAS AGE
php-apache Deployment/php-apache/scale 305% / 50% 1 10 1 3m
CPU 소비가 305%까지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디플로이먼트의 레플리카 개수는 7개까지 증가하였다.
kubectl get deployment php-apache
NAME READY UP-TO-DATE AVAILABLE AGE
php-apache 7/7 7 7 19m
본 예제를 마무리하기 위해 부하를 중단시킨다.
busybox
컨테이너를 띄운 터미널에서,
<Ctrl> + C
로 부하 발생을 중단시킨다.
그런 다음 (몇 분 후에) 결과를 확인한다.
kubectl get hpa
NAME REFERENCE TARGET MINPODS MAXPODS REPLICAS AGE
php-apache Deployment/php-apache/scale 0% / 50% 1 10 1 11m
kubectl get deployment php-apache
NAME READY UP-TO-DATE AVAILABLE AGE
php-apache 1/1 1 1 27m
CPU 사용량은 0으로 떨어졌고, HPA는 레플리카의 개수를 1로 낮췄다.
php-apache
디플로이먼트를 오토스케일링할 때,
autoscaling/v2beta2
API 버전을 사용하여 추가적인 메트릭을 제공할 수 있다.
첫 번째로, autoscaling/v2beta2
형식으로 HorizontalPodAutoscaler YAML 파일을 생성한다.
kubectl get hpa php-apache -o yaml > /tmp/hpa-v2.yaml
에디터로 /tmp/hpa-v2.yaml
파일을 열면, 다음과 같은 YAML을 확인할 수 있다.
apiVersion: autoscaling/v2beta2
kind: HorizontalPodAutoscaler
metadata:
name: php-apache
spec:
scaleTargetRef: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name: php-apache
minReplicas: 1
maxReplicas: 10
metrics:
- type: Resource
resource:
name: cpu
target:
type: Utilization
averageUtilization: 50
status:
observedGeneration: 1
lastScaleTime: <some-time>
currentReplicas: 1
desiredReplicas: 1
currentMetrics:
- type: Resource
resource:
name: cpu
current:
averageUtilization: 0
averageValue: 0
targetCPUUtilizationPercentage
필드가 metrics
배열로 대체되었다.
CPU 사용량 메트릭은 resource metric 으로 파드 컨테이너 자원의 백분율로 표현된다.
CPU 외에 다른 메트릭을 지정할 수 있는데, 기본적으로 지원되는 다른 메트릭은 메모리뿐이다.
이 자원들은 한 클러스터에서 다른 클러스터로 이름을 변경할 수 없으며,
metrics.k8s.io
API가 가용한 경우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Utilization
대신 AverageValue
의 target
타입을,
그리고 target.averageUtilization
대신 target.averageValue
로 설정하여
자원 메트릭을 퍼센트 대신 값으로 명시할 수 있다.
파드 메트릭과 오브젝트 메트릭 두 가지의 사용자 정의 메트릭 이 있다. 파드 메트릭과 오브젝트 메트릭. 이 메트릭은 클러스터에 특화된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더 고급화된 클러스터 모니터링 설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대체 메트릭 타입중 첫 번째는 파드 메트릭 이다. 이 메트릭은 파드들을 설명하고, 파드들간의 평균을 내며, 대상 값과 비교하여 레플리카 개수를 결정한다.
이것들은 AverageValue
의 target
만을 지원한다는 것을 제외하면,
자원 메트릭과 매우 유사하게 동작한다.
파드 메트릭은 이처럼 메트릭 블록을 사용하여 정의된다.
type: Pods
pods:
metric:
name: packets-per-second
target:
type: AverageValue
averageValue: 1k
두 번째 대체 메트릭 타입은 오브젝트 메트릭 이다.
이 메트릭은 파드를 기술하는 대신에 동일한 네임스페이스 내에 다른 오브젝트를 표현한다.
이 메트릭은 반드시 오브젝트로부터 가져올 필요는 없다. 단지 오브젝트를 기술할 뿐이다.
오브젝트 메트릭은 Value
과 AverageValue
의 target
타입을 지원한다.
Value
를 사용할 경우 대상은 API로부터 반환되는 메트릭과 직접 비교된다.
AverageValue
를 사용할 경우, 대상 값과 비교되기 이전에 사용자 정의 메트릭 API로부터 반환된 값은 파드의 개수로 나눠진다.
다음은 requests-per-second
메트릭을 YAML로 기술한 예제이다.
type: Object
object:
metric:
name: requests-per-second
describedObject:
apiVersion: networking.k8s.io/v1beta1
kind: Ingress
name: main-route
target:
type: Value
value: 2k
이러한 메트릭 블록을 여러 개 제공하면, HorizontalPodAutoscaler는 각 메트릭을 차례로 고려한다. HorizontalPodAutoscaler는 각 메트릭에 대해 제안된 레플리카 개수를 계산하고, 그중 가장 높은 레플리카 개수를 선정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트래픽 메트릭을 수집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이 있는 경우,
kubectl edit
명령어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apiVersion: autoscaling/v2beta2
kind: HorizontalPodAutoscaler
metadata:
name: php-apache
spec:
scaleTargetRef: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name: php-apache
minReplicas: 1
maxReplicas: 10
metrics:
- type: Resource
resource:
name: cpu
target:
type: Utilization
averageUtilization: 50
- type: Pods
pods:
metric:
name: packets-per-second
target:
type: AverageValue
averageValue: 1k
- type: Object
object:
metric:
name: requests-per-second
describedObject:
apiVersion: networking.k8s.io/v1beta1
kind: Ingress
name: main-route
target:
type: Value
value: 10k
status:
observedGeneration: 1
lastScaleTime: <some-time>
currentReplicas: 1
desiredReplicas: 1
currentMetrics:
- type: Resource
resource:
name: cpu
current:
averageUtilization: 0
averageValue: 0
- type: Object
object:
metric:
name: requests-per-second
describedObject:
apiVersion: networking.k8s.io/v1beta1
kind: Ingress
name: main-route
current:
value: 10k
이후, HorizontalPodAutoscaler는 각 파드가 요청 된 약 50%의 CPU 사용률을 소모하는지, 초당 1000 패킷을 처리하는지, 메인-루트 인그레스 뒤의 모든 파드들이 초당 10000 요청을 처리하는지 확인한다.
많은 메트릭 파이프라인들을 사용하면 이름 또는 labels 이라 불리는 추가적인 식별자로 메트릭을 설명할 수 있다.
그리고, 모든 비 자원 메트릭 타입(파드, 오브젝트 그리고 아래 기술된 외부 타입)에 대해,
메트릭 파이프라인으로 전달되는 추가 레이블 셀렉터를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verb
레이블로 http_requests
메트릭을 수집하는 경우,
다음과 같이 메트릭 블록을 지정하여 GET 요청에 대해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type: Object
object:
metric:
name: http_requests
selector: {matchLabels: {verb: GET}}
이 셀렉터는 쿠버네티스의 레이블 셀렉터와 동일한 문법이다.
모니터링 파이프라인은 네임과 셀렉터가 여러 시리즈와 일치하는 경우,
해당 여러 시리즈를 단일 값으로 축소하는 방법을 결정한다.
셀렉터는 부가적인 속성이며,
대상 오브젝트(Pods
타입의 대상 파드, Object
타입으로 기술된 오브젝트)가 아닌 메트릭을 선택할 수 없다.
쿠버네티스 위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은,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의 어떤 오브젝트와도 관련이 없는 메트릭에 기반하여 오토스케일링을 할 수도 있다. 예로, 쿠버네티스 네임스페이스와 관련이 없는 서비스를 기초로한 메트릭을 들 수 있다. 쿠버네티스 버전 1.10 포함 이후 버전에서, 외부 메트릭 을 사용하여 이러한 유스케이스를 해결할 수 있다.
외부 메트릭 사용시, 먼저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한다.
이 설치는 사용자 정의 메트릭과 유사하다.
외부 메트릭을 사용하면 모니터링 시스템의 사용 가능한 메트릭에 기반하여 클러스터를 오토스케일링 할 수 있다.
위의 예제처럼 name
과 selector
를 갖는 metric
블록을 명시하고,
Object
대신에 External
메트릭 타입을 사용한다.
만일 여러 개의 시계열이 metricSelector
와 일치하면, HorizontalPodAutoscaler가 값의 합을 사용한다.
외부 메트릭들은 Value
와 AverageValue
대상 타입을 모두 지원하고,
Object
타입을 사용할 때와 똑같이 동작한다.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이 호스팅 된 대기열 서비스에서 작업을 처리하는 경우, 다음과 같이 HorizontalPodAutoscaler 매니퍼스트에 30개의 미해결 태스크 당 한 개의 워커를 지정하도록 추가할 수 있다.
- type: External
external:
metric:
name: queue_messages_ready
selector: "queue=worker_tasks"
target:
type: AverageValue
averageValue: 30
가능하다면, 외부 메트릭 대신 사용자 정의 메트릭 대상 타입을 사용하길 권장한다. 왜냐하면, 클러스터 관리자가 사용자 정의 메트릭 API를 보안관점에서 더 쉽게 보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외부 메트릭 API는 잠재적으로 어떠한 메트릭에도 접근할 수 있기에, 클러스터 관리자는 API를 노출시킬때 신중해야 한다.
HorizontalPodAutoscaler의 autoscaling/v2beta2
형식을 사용하면,
HorizontalPodAutoscaler에서 쿠버네티스가 설정한 상태 조건 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상태 조건들은 HorizontalPodAutoscaler가 스케일을 할 수 있는지,
어떤 방식으로든 제한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이 조건은 status.conditions
에 나타난다.
HorizontalPodAutoscaler에 영향을 주는 조건을 보기 위해 kubectl describe hpa
를 사용할 수 있다.
kubectl describe hpa cm-test
Name: cm-test
Namespace: prom
Labels: <none>
Annotations: <none>
CreationTimestamp: Fri, 16 Jun 2017 18:09:22 +0000
Reference: ReplicationController/cm-test
Metrics: ( current / target )
"http_requests" on pods: 66m / 500m
Min replicas: 1
Max replicas: 4
ReplicationController pods: 1 current / 1 desired
Conditions:
Type Status Reason Message
---- ------ ------ -------
AbleToScale True ReadyForNewScale the last scale time was sufficiently old as to warrant a new scale
ScalingActive True ValidMetricFound the HPA was able to successfully calculate a replica count from pods metric http_requests
ScalingLimited False DesiredWithinRange the desired replica count is within the acceptable range
Events:
이 HorizontalPodAutoscaler 경우, 건강 상태의 여러 조건들을 볼 수 있다.
첫 번째 AbleToScale
는 HPA가 스케일을 가져오고 업데이트할 수 있는지,
백 오프 관련 조건으로 스케일링이 방지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두 번째 ScalingActive
는 HPA가 활성화되어있는지(즉 대상 레플리카 개수가 0이 아닌지),
원하는 스케일을 계산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만약 False
인 경우,
일반적으로 메트릭을 가져오는데 문제가 있다.
마지막으로, 마지막 조건인 ScalingLimited
는
원하는 스케일 한도가 HorizontalPodAutoscaler의 최대/최소값으로 제한돼있음을 나타낸다.
이는 HorizontalPodAutoscaler에서 레플리카의 개수 제한을 최대/최소값으로 올리거나 낮추려는 것이다.
HorizontalPodAutoscaler와 메트릭 API에서 모든 메트릭은
쿠버네티스에서 사용하는
수량 숫자 표기법을 사용한다.
예를 들면, 10500m
수량은 10진법 10.5
으로 쓰인다.
메트릭 API들은 가능한 경우 접미사 없이 정수를 반환하며,
일반적으로 수량을 밀리단위로 반환한다.
10진수로 표현했을때, 1
과 1500m
또는 1
과 1.5
로 메트릭 값을 나타낼 수 있다.
HorizontalPodAutoscaler를 생성하기 위해 kubectl autoscale
명령어를 사용하지 않고,
명시적으로 다음 파일을 사용하여 만들 수 있다.
apiVersion: autoscaling/v1
kind: HorizontalPodAutoscaler
metadata:
name: php-apache
spec:
scaleTargetRef: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name: php-apache
minReplicas: 1
maxReplicas: 10
targetCPUUtilizationPercentage: 50
다음 명령어를 실행하여 오토스케일러를 생성할 것이다.
kubectl create -f https://k8s.io/examples/application/hpa/php-apache.yaml
horizontalpodautoscaler.autoscaling/php-apache created
이 페이지는 파드 내에서 쿠버네티스 API에 접근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파드 내에서 API에 접근할 때, API 서버를 찾아 인증하는 것은 위에서 설명한 외부 클라이언트 사례와 약간 다르다.
파드에서 쿠버네티스 API를 사용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공식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 중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라이브러리는 API 서버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인증할 수 있다.
파드 내에서, 쿠버네티스 API에 연결하는 권장 방법은 다음과 같다.
Go 클라이언트의 경우, 공식 Go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를 사용한다.
rest.InClusterConfig()
기능은 API 호스트 검색과 인증을 자동으로 처리한다.
여기 예제를 참고한다.
Python 클라이언트의 경우, 공식 Python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를 사용한다.
config.load_incluster_config()
기능은 API 호스트 검색과 인증을 자동으로 처리한다.
여기 예제를 참고한다.
사용할 수 있는 다른 라이브러리가 많이 있다.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 페이지를 참고한다.
각각의 경우, 파드의 서비스 어카운트 자격 증명은 API 서버와 안전하게 통신하는 데 사용된다.
파드에서 실행되는 동안, 쿠버네티스 apiserver는 default
네임스페이스에서 kubernetes
라는
서비스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파드는 kubernetes.default.svc
호스트 이름을 사용하여 API 서버를 쿼리할 수 있다. 공식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는
이를 자동으로 수행한다.
API 서버를 인증하는 권장 방법은 서비스 어카운트
자격 증명을 사용하는 것이다. 기본적으로, 파드는
서비스 어카운트와 연결되어 있으며, 해당 서비스 어카운트에 대한 자격 증명(토큰)은
해당 파드에 있는 각 컨테이너의 파일시스템 트리의
/var/run/secrets/kubernetes.io/serviceaccount/token
에 있다.
사용 가능한 경우, 인증서 번들은 각 컨테이너의
파일시스템 트리의 /var/run/secrets/kubernetes.io/serviceaccount/ca.crt
에 배치되며,
API 서버의 제공 인증서를 확인하는 데 사용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네임스페이스가 지정된 API 작업에 사용되는 기본 네임스페이스는 각 컨테이너의
/var/run/secrets/kubernetes.io/serviceaccount/namespace
에 있는 파일에 배치된다.
공식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 없이 API를 쿼리하려면, 파드에서
새 사이드카 컨테이너의 명령으로
kubectl proxy
를 실행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kubectl proxy
는
API를 인증하고 이를 파드의 localhost
인터페이스에 노출시켜서, 파드의
다른 컨테이너가 직접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인증 토큰을 API 서버에 직접 전달하여 kubectl 프록시 사용을 피할 수 있다. 내부 인증서는 연결을 보호한다.
# 내부 API 서버 호스트 이름을 가리킨다
APISERVER=https://kubernetes.default.svc
# 서비스어카운트(ServiceAccount) 토큰 경로
SERVICEACCOUNT=/var/run/secrets/kubernetes.io/serviceaccount
# 이 파드의 네임스페이스를 읽는다
NAMESPACE=$(cat ${SERVICEACCOUNT}/namespace)
# 서비스어카운트 베어러 토큰을 읽는다
TOKEN=$(cat ${SERVICEACCOUNT}/token)
# 내부 인증 기관(CA)을 참조한다
CACERT=${SERVICEACCOUNT}/ca.crt
# TOKEN으로 API를 탐색한다
curl --cacert ${CACERT} --header "Authorization: Bearer ${TOKEN}" -X GET ${APISERVER}/api
출력은 다음과 비슷하다.
{
"kind": "APIVersions",
"versions": [
"v1"
],
"serverAddressByClientCIDRs": [
{
"clientCIDR": "0.0.0.0/0",
"serverAddress": "10.0.1.149:443"
}
]
}
쿠버네티스 버전 1.21에서 크론잡이 GA (General Availability)로 승격되었다.
이전 버전의 쿠버네티스를 사용하고 있다면, 해당 쿠버네티스 버전의 문서를 참고하여 정확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전 버전의 쿠버네티스는 batch/v1
크론잡 API를 지원하지 않는다.
시간 기반의 스케줄에 따라 크론잡을 이용해서 잡(Job)을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자동화된 잡은 리눅스 또는 유닉스 시스템에서 크론 작업처럼 실행된다.
크론 잡은 백업을 수행하거나 이메일을 보내는 것과 같이 주기적이고 반복적인 작업들을 생성하는 데 유용하다. 크론 잡은 시스템 사용이 적은 시간에 잡을 스케줄하려는 경우처럼 특정 시간에 개별 작업을 스케줄할 수도 있다.
크론 잡에는 제한 사항과 특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상황에서는 하나의 크론 잡이 여러 잡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잡은 멱등성을 가져야 한다.
제한 사항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크론잡을 참고한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크론 잡은 구성 파일이 필요하다.
아래의 크론 잡 구성 .spec
파일의 예제는 매 분마다 현재 시간과 hello 메시지를 출력한다.
apiVersion: batch/v1
kind: CronJob
metadata:
name: hello
spec:
schedule: "*/1 * * * *"
jobTemplate:
spec:
template:
spec:
containers:
- name: hello
image: busybox
imagePullPolicy: IfNotPresent
command:
- /bin/sh
- -c
- date; echo Hello from the Kubernetes cluster
restartPolicy: OnFailure
다음 명령을 사용하여 크론잡 예제를 실행한다.
kubectl create -f https://k8s.io/examples/application/job/cronjob.yaml
출력 결과는 다음과 비슷하다.
cronjob.batch/hello created
크론 잡을 생성한 후, 다음 명령을 사용하여 상태를 가져온다.
kubectl get cronjob hello
출력 결과는 다음과 비슷하다.
NAME SCHEDULE SUSPEND ACTIVE LAST SCHEDULE AGE
hello */1 * * * * False 0 <none> 10s
명령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크론 잡은 아직 잡을 스케줄하거나 실행하지 않았다. 약 1분 내로 잡이 생성되는지 확인한다.
kubectl get jobs --watch
출력 결과는 다음과 비슷하다.
NAME COMPLETIONS DURATION AGE
hello-4111706356 0/1 0s
hello-4111706356 0/1 0s 0s
hello-4111706356 1/1 5s 5s
이제 "hello" 크론 잡에 의해 스케줄된 실행 중인 작업을 확인했다. 잡 감시를 중지한 뒤에 크론 잡이 다시 스케줄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kubectl get cronjob hello
출력 결과는 다음과 비슷하다.
NAME SCHEDULE SUSPEND ACTIVE LAST SCHEDULE AGE
hello */1 * * * * False 0 50s 75s
크론 잡 hello
가 LAST SCHEDULE
에 지정된 시간에 성공적으로 잡을 스케줄했는지 확인해야 한다. 현재는 0개의 활성 잡이 있고, 이는 작업이 완료되었거나 실패했음을 의미한다.
이제, 마지막으로 스케줄된 잡이 생성한 파드를 찾고 생성된 파드 중 하나의 표준 출력을 확인한다.
# "hello-4111706356"을 사용자의 시스템에 있는 잡 이름으로 바꾼다
pods=$(kubectl get pods --selector=job-name=hello-4111706356 --output=jsonpath={.items[*].metadata.name})
파드의 로그를 출력한다.
kubectl logs $pods
출력 결과는 다음과 비슷하다.
Fri Feb 22 11:02:09 UTC 2019
Hello from the Kubernetes cluster
더 이상 크론 잡이 필요하지 않으면, kubectl delete cronjob <cronjob name>
명령을 사용해서 삭제한다.
kubectl delete cronjob hello
크론 잡을 삭제하면 생성된 모든 잡과 파드가 제거되고 추가 잡 생성이 중지된다. 가비지(garbage) 수집에서 잡 제거에 대해 상세한 내용을 읽을 수 있다.
다른 모든 쿠버네티스 구성과 마찬가지로, 크론 잡은 apiVersion
, kind
그리고 metadata
필드가 필요하다. 구성 파일
작업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는 애플리케이션 배포와
kubectl을 사용하여 리소스 관리하기 문서를 참고한다.
크론 잡 구성에는 .spec
섹션도 필요하다.
.spec
에 대한 모든 수정 사항은 다음 번 실행에만 적용된다.
.spec.schedule
은 .spec
의 필수 필드이다.
이는 해당 잡이 생성되고 실행되는 스케줄 시간으로 0 * * * *
또는 @hourly
와 같이 크론 형식의 문자열을 받아들인다.
이 형식은 확장된 "Vixie cron" 스텝(step) 값도 포함한다. 이 내용은 FreeBSD 매뉴얼에 설명되어 있다.
스텝 값은 범위(range)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범위 뒤에
/<number>
를 지정하여 범위 내에서 숫자만큼의 값을 건너뛴다. 예를 들어, 시간 필드에0-23/2
를 사용하여 매 2시간마다 명령 실행을 지정할 수 있다(V7 표준의 대안은0,2,4,6,8,10,12,14,16,18,20,22
이다). 별표(asterisk) 뒤에 붙이는 스텝도 허용되며, "2시간마다"라고 지정하고 싶으면, 간단히*/2
를 사용하면 된다.
?
)는 별표 *
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주어진 필드에 대해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값을 나타낸다.
.spec.jobTemplate
은 잡에 대한 템플릿이며, 이것은 필수 필드다.
이것은 중첩되고 apiVersion
이나 kind
가 없는 것을 제외하고 잡과 정확히 같은 스키마를 가진다.
잡 .spec
을 작성하는 것에 대한 내용은 잡 명세 작성하기를 참고한다.
.spec.startingDeadlineSeconds
필드는 선택 사항이다.
어떤 이유로든 스케줄된 시간을 놓친 경우 잡의 시작 기한을 초 단위로 나타낸다.
기한이 지나면, 크론 잡이 잡을 시작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한을 맞추지 못한 잡은 실패한 작업으로 간주된다.
이 필드를 지정하지 않으면, 잡에 기한이 없다.
.spec.startingDeadlineSeconds
필드가 (null이 아닌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크론잡 컨트롤러는 잡 생성 완료 예상 시각과 현재 시각의 차이를 측정하고,
시각 차이가 설정한 값보다 커지면 잡 생성 동작을 스킵한다.
예를 들어, 200
으로 설정되었다면, 잡 생성 완료 예상 시각으로부터 200초까지는 잡이 생성될 수 있다.
.spec.concurrencyPolicy
필드도 선택 사항이다.
이것은 이 크론 잡에 의해 생성된 잡의 동시 실행을 처리하는 방법을 지정한다.
명세는 다음의 동시성 정책 중 하나만 지정할 수 있다.
Allow
(기본값): 크론 잡은 동시에 실행되는 잡을 허용한다.Forbid
: 크론 잡은 동시 실행을 허용하지 않는다. 새로운 잡을 실행할 시간이고 이전 잡 실행이 아직 완료되지 않은 경우, 크론 잡은 새로운 잡 실행을 건너뛴다.Replace
: 새로운 잡을 실행할 시간이고 이전 잡 실행이 아직 완료되지 않은 경우, 크론 잡은 현재 실행 중인 잡 실행을 새로운 잡 실행으로 대체한다.참고로 동시성 정책은 동일한 크론 잡에 의해 생성된 잡에만 적용된다. 크론 잡이 여러 개인 경우, 각각의 잡은 항상 동시에 실행될 수 있다.
.spec.suspend
필드도 선택 사항이다.
true
로 설정되면, 모든 후속 실행이 일시 정지된다.
이 설정은 이미 시작된 실행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기본값은 false이다.
.spec.suspend
가 true
에서 false
로 변경되면, 누락된 잡들이 즉시 스케줄된다.
.spec.successfulJobsHistoryLimit
와 .spec.failedJobsHistoryLimit
필드는 선택 사항이다.
이들 필드는 기록을 보관해야 하는 완료 및 실패한 잡의 개수를 지정한다.
기본적으로, 각각 3과 1로 설정된다. 한도를 0
으로 설정하는 것은 잡 완료 후에 해당 잡 유형의 기록을 보관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예제에서는, 여러 병렬 워커 프로세스를 활용해 쿠버네티스 잡(Job)을 실행한다.
이 예제에서는, 각 파드가 생성될 때 작업 대기열에서 하나의 작업 단위를 선택하여, 완료하고, 대기열에서 삭제하고, 종료한다.
이 예제에서의 단계에 대한 개요는 다음과 같다.
기본적이고, 병렬 작업이 아닌, 잡의 사용법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한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예시에서는 RabbitMQ를 사용하지만, 다른 AMQP 유형의 메시지 서비스를 사용하도록 예시를 조정할 수 있다.
실제로 사용할 때는, 클러스터에 메시지 대기열 서비스를 한 번 구축하고서, 여러 많은 잡이나 오래 동작하는 서비스에 재사용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이 RabbitMQ를 시작한다.
kubectl create -f https://raw.githubusercontent.com/kubernetes/kubernetes/release-1.3/examples/celery-rabbitmq/rabbitmq-service.yaml
service "rabbitmq-service" created
kubectl create -f https://raw.githubusercontent.com/kubernetes/kubernetes/release-1.3/examples/celery-rabbitmq/rabbitmq-controller.yaml
replicationcontroller "rabbitmq-controller" created
이 문서에서는 celery-rabbitmq 예제에 나오는 정도로만 rabbitmq를 사용한다.
이제, 메시지 대기열을 이용해 실험할 수 있다. 임시 대화형 파드를 만들어 그 위에 도구들을 설치하고, 대기열을 실험해본다.
먼저 임시 대화형 파드를 만든다.
# 임시 대화형 컨테이너를 만든다.
kubectl run -i --tty temp --image ubuntu:18.04
Waiting for pod default/temp-loe07 to be running, status is Pending, pod ready: false
... [ previous line repeats several times .. hit return when it stops ] ...
참고로 파드 이름과 명령 프롬프트는 위와 다를 수 있다.
다음으로 amqp-tools
를 설치하여 메시지 대기열을 활용할 수 있게 한다.
# 도구들을 설치한다.
root@temp-loe07:/# apt-get update
.... [ lots of output ] ....
root@temp-loe07:/# apt-get install -y curl ca-certificates amqp-tools python dnsutils
.... [ lots of output ] ....
후에, 이 패키지들을 포함하는 도커 이미지를 만든다.
다음으로, rabbitmq 서비스를 발견할 수 있는지 확인한다.
# rabbitmq-service가 쿠버네티스로부터 주어진 DNS 이름을 갖는다.
root@temp-loe07:/# nslookup rabbitmq-service
Server: 10.0.0.10
Address: 10.0.0.10#53
Name: rabbitmq-service.default.svc.cluster.local
Address: 10.0.147.152
# 주소는 다를 수 있다.
만약 Kube-DNS가 적절히 구축되지 않았다면, 전 단계 작업이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환경 변수를 통해서도 서비스 IP를 찾을 수 있다.
# env | grep RABBIT | grep HOST
RABBITMQ_SERVICE_SERVICE_HOST=10.0.147.152
# 주소는 다를 수 있다.
다음으로 대기열을 생성하고, 메시지를 발행하고 사용할 수 있는지 확인한다.
# 다음 줄에서, rabbitmq-service는 rabbitmq-service에 접근할 수 있는
# 호스트네임이다. 5672는 rabbitmq의 표준 포트이다.
root@temp-loe07:/# export BROKER_URL=amqp://guest:guest@rabbitmq-service:5672
# 만약 전 단계에서 "rabbitmq-service"가 주소로 변환되지 않는다면,
# 이 커맨드를 대신 사용하면 된다.
# root@temp-loe07:/# BROKER_URL=amqp://guest:guest@$RABBITMQ_SERVICE_SERVICE_HOST:5672
# 이제 대기열을 생성한다.
root@temp-loe07:/# /usr/bin/amqp-declare-queue --url=$BROKER_URL -q foo -d
foo
# 대기열에 메시지를 하나 발행한다.
root@temp-loe07:/# /usr/bin/amqp-publish --url=$BROKER_URL -r foo -p -b Hello
# 다시 메시지를 돌려받는다.
root@temp-loe07:/# /usr/bin/amqp-consume --url=$BROKER_URL -q foo -c 1 cat && echo
Hello
root@temp-loe07:/#
마지막 커맨드에서, amqp-consume
도구는 대기열로부터 하나의 메시지를
받고(-c 1
), 그 메시지를 임의의 명령 표준입력으로 전달한다. 이 경우에는, cat
프로그램이 표준입력으로부터 받은 값을 출력하고, echo가 캐리지 리턴을 더해주어
출력 결과가 보여진다.
이제 몇 가지 "작업"으로 대기열을 채운다. 이 예제에서의 작업은 문자열을 출력하는 것이다.
실제로 사용할 때는, 메시지의 내용이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실제로는, 잡의 모든 파드에서 읽기-전용 모드로 필요한 큰 데이터가 있다면, 일반적으로 그 데이터를 NFS와 같은 공유 파일시스템에 넣고 모든 파드에 읽기 전용으로 마운트하거나, 파드 안에 있는 프로그램이 기본적으로 HDFS와 같은 클러스터 파일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를 불러들인다.
본 예제에서는, 대기열을 만들고 amqp 커맨드라인 도구를 이용해 대기열을 채울 것이다. 실제로는, amqp 라이브러리를 이용해 대기열을 채우는 프로그램을 작성하게 된다.
/usr/bin/amqp-declare-queue --url=$BROKER_URL -q job1 -d
job1
for f in apple banana cherry date fig grape lemon melon
do
/usr/bin/amqp-publish --url=$BROKER_URL -r job1 -p -b $f
done
8개의 메시지로 대기열을 채웠다.
이제 잡으로 실행할 이미지를 만들 준비가 되었다.
amqp-consume
유틸리티를 이용해 대기열로부터 메시지를 읽고,
실제 프로그램을 실행해 볼 것이다.
여기에 아주 간단한 예제 프로그램이 있다.
#!/usr/bin/env python
# 표준 출력만 출력하고 10초 동안 대기한다.
import sys
import time
print("Processing " + sys.stdin.readlines()[0])
time.sleep(10)
스크립트에 실행 권한을 준다.
chmod +x worker.py
이제 이미지를 빌드한다. 만약 소스 트리 안에서 작업하고
있다면, examples/job/work-queue-1
로 디렉터리를 옮긴다.
아니면, 임시 디렉터리를 만들고, 그 디렉터리로 옮긴다.
Dockerfile과
worker.py를 다운로드한다.
위 두 경우 모두, 다음의 명령을 이용해 이미지를 빌드한다.
docker build -t job-wq-1 .
도커 허브를 이용하기 위해, 앱 이미지를
사용자의 username으로 태깅하고 아래의 명령어를 이용해 허브에 푸시한다.
<username>
을 사용자의 허브 username으로 대체한다.
docker tag job-wq-1 <username>/job-wq-1
docker push <username>/job-wq-1
만약 구글 컨테이너
레지스트리를 이용하고 있다면,
앱 이미지를 사용자의 프로젝트 ID를 이용해 태깅하고, GCR에 푸시한다.
<proejct>
부분을 사용자의 프로젝트 ID로 대체한다.
docker tag job-wq-1 gcr.io/<project>/job-wq-1
gcloud docker -- push gcr.io/<project>/job-wq-1
다음은 잡 정의이다. 잡의 사본을 만들고 위에서 정한 이름에 맞게
이미지를 수정하고, 파일 이름을 ./job.yaml
이라 정한다.
apiVersion: batch/v1
kind: Job
metadata:
name: job-wq-1
spec:
completions: 8
parallelism: 2
template:
metadata:
name: job-wq-1
spec:
containers:
- name: c
image: gcr.io/<project>/job-wq-1
env:
- name: BROKER_URL
value: amqp://guest:guest@rabbitmq-service:5672
- name: QUEUE
value: job1
restartPolicy: OnFailure
이 예시에서는, 각 파드가 대기열로부터 얻은 하나의 아이템을 수행하고 종료한다.
그래서, 잡의 완료 횟수가 완료된 작업 아이템의 숫자에 대응한다.
예시에서 .spec.completions: 8
이라 정한 것도, 대기열에 8개의 아이템을 넣었기 때문이다.
이제 잡을 실행한다.
kubectl apply -f ./job.yaml
이제 조금 기다린 다음, 잡을 확인한다.
kubectl describe jobs/job-wq-1
Name: job-wq-1
Namespace: default
Selector: controller-uid=41d75705-92df-11e7-b85e-fa163ee3c11f
Labels: controller-uid=41d75705-92df-11e7-b85e-fa163ee3c11f
job-name=job-wq-1
Annotations: <none>
Parallelism: 2
Completions: 8
Start Time: Wed, 06 Sep 2017 16:42:02 +0800
Pods Statuses: 0 Running / 8 Succeeded / 0 Failed
Pod Template:
Labels: controller-uid=41d75705-92df-11e7-b85e-fa163ee3c11f
job-name=job-wq-1
Containers:
c:
Image: gcr.io/causal-jigsaw-637/job-wq-1
Port:
Environment:
BROKER_URL: amqp://guest:guest@rabbitmq-service:5672
QUEUE: job1
Mounts: <none>
Volumes: <none>
Events:
FirstSeen LastSeen Count From SubobjectPath Type Reason Message
───────── ──────── ───── ──── ───────────── ────── ────── ───────
27s 27s 1 {job } Normal SuccessfulCreate Created pod: job-wq-1-hcobb
27s 27s 1 {job } Normal SuccessfulCreate Created pod: job-wq-1-weytj
27s 27s 1 {job } Normal SuccessfulCreate Created pod: job-wq-1-qaam5
27s 27s 1 {job } Normal SuccessfulCreate Created pod: job-wq-1-b67sr
26s 26s 1 {job } Normal SuccessfulCreate Created pod: job-wq-1-xe5hj
15s 15s 1 {job } Normal SuccessfulCreate Created pod: job-wq-1-w2zqe
14s 14s 1 {job } Normal SuccessfulCreate Created pod: job-wq-1-d6ppa
14s 14s 1 {job } Normal SuccessfulCreate Created pod: job-wq-1-p17e0
모든 파드가 성공했다. 야호.
이러한 접근은 "워커" 프로그램을 작업 대기열에 맞게 수정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 접근을 이용하려면, 메시지 대기열 서비스를 실행해야만 한다. 만약 메시지 대기열 서비스를 실행하는 게 불편하다면, 다른 잡 패턴을 고려해볼 수 있다.
이 접근은 모든 작업 아이템에 대해 파드를 생성한다. 만약 작업 아이템이 오직 몇 초밖에 걸리지 않는 작업이라면, 매 작업마다 파드를 생성하는 것은 아주 큰 오버헤드를 더할 수 있다. 하나의 파드가 여러 작업 아이템을 수행하는 이 예제를 고려해보자.
이 예제에서는, amqp-consume
유틸리티를 이용해 대기열로부터 메시지를 읽어
실제 프로그램을 실행했다. 이러면 메시지 대기열을 이용하기 위해 프로그램을 수정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다른 예제는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를 이용해 작업 대기열과 소통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만약 작업 완료 수가 대기열에 있는 아이템의 숫자보다 적게 설정되면, 모든 아이템 처리되지 않는다.
만약 작업 완료 수가 큐에 있는 아이템의 숫자보다 많게 설정되면, 대기열에 있는 아이템이 모두 처리되어도, 잡이 완료됐다고 표시되지 않고, 메시지를 기다리는 과정에서 막히는 파드를 추가적으로 실행시킨다.
이 패턴에서는 경쟁 상태(race)가 잘 나타나지 않는다. 만약 amqp-consume 명령으로부터 메시지가 인정되는 시간과 컨테이너가 성공적으로 종료되는 시간 사이에 컨테이너가 종료되거나, kubelet이 api-server에게 파드가 성공했음을 알리기 전에 노드가 비정상적으로 종료되면, 대기열의 모든 아이템이 처리되었다 해도, 잡이 완료되었다고 표시되지 않는다.
이 예에서는, 지정된 파드에서 여러 병렬 워커 프로세스가 있는 쿠버네티스 잡(Job)을 실행한다.
이 예에서는, 각 파드가 생성될 때, 작업 대기열에서 하나의 작업 단위를 선택하여, 처리하고, 대기열이 비워질 때까지 반복한다.
이 예에서의 단계에 대한 개요는 다음과 같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잡의 기본적이고, 병렬 작업이 아닌, 사용법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한다.
이 문서의 예시에서는, 단순함을 위해, Redis의 단일 인스턴스를 시작한다. Redis를 확장 가능하고 중복적으로 배포하는 예에 대해서는 Redis 예시를 참고한다.
다음 파일을 직접 다운로드할 수도 있다.
이제 몇 가지 "작업"으로 대기열을 채운다. 이 예제의 작업은 문자열을 출력하는 것이다.
Redis CLI를 실행하기 위한 임시 대화형 파드를 시작한다.
kubectl run -i --tty temp --image redis --command "/bin/sh"
Waiting for pod default/redis2-c7h78 to be running, status is Pending, pod ready: false
Hit enter for command prompt
이제 엔터 키를 누르고, redis CLI를 시작하고, 몇몇 작업 항목이 포함된 목록을 생성한다.
# redis-cli -h redis
redis:6379> rpush job2 "apple"
(integer) 1
redis:6379> rpush job2 "banana"
(integer) 2
redis:6379> rpush job2 "cherry"
(integer) 3
redis:6379> rpush job2 "date"
(integer) 4
redis:6379> rpush job2 "fig"
(integer) 5
redis:6379> rpush job2 "grape"
(integer) 6
redis:6379> rpush job2 "lemon"
(integer) 7
redis:6379> rpush job2 "melon"
(integer) 8
redis:6379> rpush job2 "orange"
(integer) 9
redis:6379> lrange job2 0 -1
1) "apple"
2) "banana"
3) "cherry"
4) "date"
5) "fig"
6) "grape"
7) "lemon"
8) "melon"
9) "orange"
자, 키 job2
가 있는 목록이 작업 대기열이 된다.
참고: Kube DNS를 올바르게 설정하지 않은 경우, 위 블록의
첫 번째 단계를 redis-cli -h $REDIS_SERVICE_HOST
로 변경해야 할 수 있다.
이제 실행할 이미지를 만들 준비가 되었다.
redis 클라이언트와 함께 python 워커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메시지 큐에서 메시지를 읽는다.
rediswq.py(다운로드)라는 간단한 Redis 작업 대기열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가 제공된다.
잡의 각 파드에 있는 "워커" 프로그램은 작업 대기열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작업을 가져온다. 다음은 워커 프로그램이다.
#!/usr/bin/env python
import time
import rediswq
host="redis"
# Uncomment next two lines if you do not have Kube-DNS working.
# import os
# host = os.getenv("REDIS_SERVICE_HOST")
q = rediswq.RedisWQ(name="job2", host=host)
print("Worker with sessionID: " + q.sessionID())
print("Initial queue state: empty=" + str(q.empty()))
while not q.empty():
item = q.lease(lease_secs=10, block=True, timeout=2)
if item is not None:
itemstr = item.decode("utf-8")
print("Working on " + itemstr)
time.sleep(10) # Put your actual work here instead of sleep.
q.complete(item)
else:
print("Waiting for work")
print("Queue empty, exiting")
worker.py
,
rediswq.py
및
Dockerfile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고, 그런 다음
이미지를 만들 수도 있다.
docker build -t job-wq-2 .
도커 허브(Docker Hub)를 위해, 아래 명령으로
사용자의 username과 앱 이미지에 태그하고 허브에 푸시한다. <username>
을
사용자의 허브 username으로 바꾼다.
docker tag job-wq-2 <username>/job-wq-2
docker push <username>/job-wq-2
공용 저장소로 푸시하거나 개인 저장소에 접근할 수 있도록 클러스터를 구성해야 한다.
Google Container
Registry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프로젝트 ID로 앱 이미지에 태그를 지정하고 GCR로 푸시한다. <project>
를
사용자의 프로젝트 ID로 바꾼다.
docker tag job-wq-2 gcr.io/<project>/job-wq-2
gcloud docker -- push gcr.io/<project>/job-wq-2
다음은 잡 정의이다.
apiVersion: batch/v1
kind: Job
metadata:
name: job-wq-2
spec:
parallelism: 2
template:
metadata:
name: job-wq-2
spec:
containers:
- name: c
image: gcr.io/myproject/job-wq-2
restartPolicy: OnFailure
사용자 자신의 경로로 gcr.io/myproject
를
변경하려면 잡 템플릿을 편집해야 한다.
이 예에서, 각 파드는 대기열의 여러 항목에 대해 작업한 다음 더 이상 항목이 없을 때 종료된다. 워커는 작업 대기열이 비어있을 때를 감지하고 잡 컨트롤러는 작업 대기열에 대해 알지 못하기 때문에, 작업이 완료되면 워커에게 신호를 보낸다. 워커는 성공적으로 종료하여 대기열이 비어 있음을 알린다. 따라서, 워커가 성공적으로 종료하자마자, 컨트롤러는 작업이 완료되었음을 인식하고, 파드가 곧 종료된다. 따라서, 잡 완료 횟수를 1로 설정했다. 잡 컨트롤러는 다른 파드도 완료될 때까지 기다린다.
이제 잡을 실행한다.
kubectl apply -f ./job.yaml
이제 조금 기다린 다음, 잡을 확인한다.
kubectl describe jobs/job-wq-2
Name: job-wq-2
Namespace: default
Selector: controller-uid=b1c7e4e3-92e1-11e7-b85e-fa163ee3c11f
Labels: controller-uid=b1c7e4e3-92e1-11e7-b85e-fa163ee3c11f
job-name=job-wq-2
Annotations: <none>
Parallelism: 2
Completions: <unset>
Start Time: Mon, 11 Jan 2016 17:07:59 -0800
Pods Statuses: 1 Running / 0 Succeeded / 0 Failed
Pod Template:
Labels: controller-uid=b1c7e4e3-92e1-11e7-b85e-fa163ee3c11f
job-name=job-wq-2
Containers:
c:
Image: gcr.io/exampleproject/job-wq-2
Port:
Environment: <none>
Mounts: <none>
Volumes: <none>
Events:
FirstSeen LastSeen Count From SubobjectPath Type Reason Message
--------- -------- ----- ---- ------------- -------- ------ -------
33s 33s 1 {job-controller } Normal SuccessfulCreate Created pod: job-wq-2-lglf8
kubectl logs pods/job-wq-2-7r7b2
Worker with sessionID: bbd72d0a-9e5c-4dd6-abf6-416cc267991f
Initial queue state: empty=False
Working on banana
Working on date
Working on lemon
보시다시피, 사용자의 파드 중 하나가 여러 작업 단위에서 작업했다.
대기열 서비스를 실행하거나 작업 대기열을 사용하도록 컨테이너를 수정하는 것이 불편한 경우, 다른 잡 패턴 중 하나를 고려할 수 있다.
만약 실행할 백그라운드 처리 작업의 연속 스트림이 있는 경우,
ReplicaSet
이 있는 백그라운드 워커를 실행하는 것과,
https://github.com/resque/resque와 같은
백그라운드 처리 라이브러리를 실행하는 것이 좋다.
이 태스크는 공통 템플릿을 기반으로 하는 여러 개의 잡(Job)을 실행하는 것을 보여준다. 이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일괄 작업을 병렬로 처리할 수 있다.
이 예에는 apple, banana 그리고 cherry 세 항목만 있다. 샘플 잡들은 문자열을 출력한 다음 일시 정지하는 각 항목을 처리한다.
이 패턴이 보다 실질적인 유스케이스에 어떻게 부합하는지 알아 보려면 실제 워크로드에서 잡 사용하기를 참고한다.
사용자는 기본적인 내용과, 병렬 작업이 아닌 잡 사용에 대해 익숙해야 한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기본 템플릿을 사용하려면 커맨드 라인 유틸리티 sed
가 필요하다.
고급 템플릿 예제를 따라하려면, 파이썬(Python)과 파이썬용 Jinja2 템플릿 라이브러리의 설치가 필요하다.
파이썬을 설정했으면, 다음을 실행하여 Jinja2를 설치할 수 있다.
pip install --user jinja2
먼저, 다음의 잡 템플릿을 다운로드해서 job-tmpl.yaml
파일로 저장한다.
다운로드할 내용은 다음과 같다.
apiVersion: batch/v1
kind: Job
metadata:
name: process-item-$ITEM
labels:
jobgroup: jobexample
spec:
template:
metadata:
name: jobexample
labels:
jobgroup: jobexample
spec:
containers:
- name: c
image: busybox
command: ["sh", "-c", "echo Processing item $ITEM && sleep 5"]
restartPolicy: Never
# job-tmpl.yaml를 다운로드하기 위해 curl을 사용한다
curl -L -s -O https://k8s.io/examples/application/job/job-tmpl.yaml
다운로드한 파일은 아직 유효한 쿠버네티스
매니페스트가 아니다.
대신 해당 템플릿은 사용하기 전에 채워야하는 자리 표시자가 있는 잡 오브젝트의
YAML 표현이다. $ITEM
구문은 쿠버네티스에 의미가 있지 않다.
다음의 셸 스니펫은 sed
를 사용하여 루프 변수로 $ITEM
문자열을 바꾸고,
jobs
라는 임시 디렉터리에 기록한다. 다음과 같이 실행한다.
# 처리할 각 항목에 대해 하나씩, 템플릿을 여러 파일로 확장한다.
mkdir ./jobs
for i in apple banana cherry
do
cat job-tmpl.yaml | sed "s/\$ITEM/$i/" > ./jobs/job-$i.yaml
done
작동하는지 확인한다.
ls jobs/
출력 결과는 다음과 비슷하다.
job-apple.yaml
job-banana.yaml
job-cherry.yaml
모든 유형의 템플릿 언어(예를 들어, Jinja2, ERB)를 사용하거나,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잡 매니페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하나의 kubectl 명령으로 모든 잡을 생성한다.
kubectl create -f ./jobs
출력 결과는 다음과 비슷하다.
job.batch/process-item-apple created
job.batch/process-item-banana created
job.batch/process-item-cherry created
이제, 작업을 확인한다.
kubectl get jobs -l jobgroup=jobexample
출력 결과는 다음과 비슷하다.
NAME COMPLETIONS DURATION AGE
process-item-apple 1/1 14s 22s
process-item-banana 1/1 12s 21s
process-item-cherry 1/1 12s 20s
kubectl 명령에 -l
옵션을 사용하면 이 잡 그룹의
일부인 잡만 선택된다(시스템에서 관련이 없는 다른 잡이 있을 수 있음).
파드도 동일한 레이블 셀렉터를 사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kubectl get pods -l jobgroup=jobexample
출력 결과는 다음과 비슷하다.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process-item-apple-kixwv 0/1 Completed 0 4m
process-item-banana-wrsf7 0/1 Completed 0 4m
process-item-cherry-dnfu9 0/1 Completed 0 4m
이 단일 명령을 사용하여 모든 잡의 출력을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다.
kubectl logs -f -l jobgroup=jobexample
출력 결과는 다음과 같아야 한다.
Processing item apple
Processing item banana
Processing item cherry
# 생성한 잡 제거
# 클러스터가 자동으로 잡의 파드들을 정리
kubectl delete job -l jobgroup=jobexample
첫 번째 예제에서, 템플릿의 각 인스턴스는 하나의 파라미터를 가지고, 해당 파라미터는 잡의 이름에도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름은 특정 문자들만 포함하도록 제한된다.
이런 약간 더 복잡한 예제는 Jinja 템플릿 언어를 사용하여 각 잡에 대한 여러 파라미터로 매니페스트를 생성한 다음 해당 매니페스트에서 오브젝트를 생성한다.
태스크의 이 부분에서는, 한줄 파이썬 스크립트를 사용하여 매니페스트 집합으로 템플릿을 변환한다.
먼저, 다음의 잡 오브젝트 템플릿을 복사하고 붙여넣기하여, job.yaml.jinja2
파일로 저장한다.
{%- set params = [{ "name": "apple", "url": "http://dbpedia.org/resource/Apple", },
{ "name": "banana", "url": "http://dbpedia.org/resource/Banana", },
{ "name": "cherry", "url": "http://dbpedia.org/resource/Cherry" }]
%}
{%- for p in params %}
{%- set name = p["name"] %}
{%- set url = p["url"] %}
---
apiVersion: batch/v1
kind: Job
metadata:
name: jobexample-{{ name }}
labels:
jobgroup: jobexample
spec:
template:
metadata:
name: jobexample
labels:
jobgroup: jobexample
spec:
containers:
- name: c
image: busybox
command: ["sh", "-c", "echo Processing URL {{ url }} && sleep 5"]
restartPolicy: Never
{%- endfor %}
위의 템플릿은 파이썬 딕셔너리(dicts)로 구성된 항목(1-4행)을 사용하여 각 잡 오브젝트에 대해
두 개의 파라미터를 정의한다. for
루프는 각 파라미터의 집합(나머지 행)에 대해
하나의 잡 매니페스트를 방출한다.
이 예제는 YAML의 기능에 의존한다. 하나의 YAML 파일은 여러
문서(이 경우, 쿠버네티스 매니페스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행에 있는 ---
로
구분된다.
출력 결과를 kubectl
에 직접 파이프를 사용해 잡을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 한 줄 파이썬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템플릿을 확장한다.
alias render_template='python -c "from jinja2 import Template; import sys; print(Template(sys.stdin.read()).render());"'
render_template
을 사용해서 파라미터와 템플릿을 쿠버네티스 매니페스트가
포함된 하나의 YAML 파일로 변환한다.
# 앞에서 정의한 앨리어스(alias)가 필요하다
cat job.yaml.jinja2 | render_template > jobs.yaml
render_template
스크립트가 제대로 동작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jobs.yaml
을
볼 수 있다.
render_template
스크립트가 원하는대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했다면,
스크립트의 출력 결과를 파이프를 사용하여 kubectl
에 보낼 수 있다.
cat job.yaml.jinja2 | render_template | kubectl apply -f -
쿠버네티스는 생성한 잡을 수락하고 실행한다.
# 생성한 잡 제거
# 클러스터가 자동으로 잡이 있던 파드를 정리
kubectl delete job -l jobgroup=jobexample
실제 유스케이스에서, 각 잡은 동영상의 프레임을 렌더링하거나, 데이터베이스에서 행 범위를
처리하는 것과 같은 상당한 규모의 계산을 수행한다. 동영상을 렌더링하는 경우 프레임 번호에
$ITEM
을 설정한다. 데이터베이스에서 행을 처리하는
경우, 처리할 데이터베이스 행의 범위를 나타내도록 $ITEM
을 설정한다.
이번 태스크에서, 로그를 가져와 파드에서 출력 결과를 수집하는 명령어를
실행했다. 실제 유스케이스에서, 잡의 각 파드는 완료하기 전에 출력 결과를
내구성있는 스토리지에 기록한다. 각 잡에 대해 퍼시스턴트볼륨(PersistentVolume)을
사용하거나 외장 스토리지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영상의 프레임을 렌더링하는 경우,
HTTP를 사용하여 렌더링된 프레임 데이터를 각 프레임에 대한 다른 URL을 사용해서 URL에 PUT
한다.
잡을 생성한 후, 쿠버네티스는 한 잡의 파드를 다른 잡의 파드와 구별하기 위해서 추가 레이블을 자동으로 추가한다.
이 예시에서, 각 잡과 잡의 파드 템플릿은 jobgroup=jobexample
레이블을 갖는다.
쿠버네티스 자체는 jobgroup
이라는 레이블에 신경쓰지 않는다. 템플릿에서
생성한 모든 잡에 대해 레이블을 설정하면 한번에 모든 잡을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다.
첫 번째 예제에서 템플릿을 사용해서
여러 잡을 생성했다. 템플릿은 각 파드도 동일한 레이블을 가질 수 있도록 보장하므로,
단일 명령어로 이러한 템플릿 기반 잡들의 모든 파드에서 확인할 수 있다.
jobgroup
은 특별하거나 예약되어 있지 않다.
고유한 레이블링 체계를 선택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사용할 수 있는
권장 레이블이 있다.
많은 수의 잡 오브젝트의 생성을 계획 중이라면, 아마도 다음의 사항을 파악하게 될 것이다.
아주 많은 잡 오브젝트를 생성하지 않고 많은 양의 작업을 처리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잡 패턴도 있다.
잡 오브젝트를 자동으로 관리하기 위해 자체 컨트롤러를 작성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대시보드는 웹 기반 쿠버네티스 유저 인터페이스이다. 대시보드를 통해 컨테이너화 된 애플리케이션을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 배포할 수 있고, 컨테이너화 된 애플리케이션을 트러블슈팅할 수 있으며, 클러스터 리소스들을 관리할 수 있다. 대시보드를 통해 클러스터에서 동작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볼 수 있고, 개별적인 쿠버네티스 리소스들을(예를 들면 디플로이먼트, 잡, 데몬셋 등) 생성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플로이먼트를 스케일하거나, 롤링 업데이트를 초기화하거나, 파드를 재시작하거나 또는 배포 마법사를 이용해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할 수 있다.
또한 대시보드는 클러스터 내 쿠버네티스 리소스들의 상태와 발생하는 모든 에러 정보를 제공한다.
대시보드 UI는 기본으로 배포되지 않는다. 배포하려면 다음 커맨드를 동작한다.
kubectl apply -f https://raw.githubusercontent.com/kubernetes/dashboard/v2.2.0/aio/deploy/recommended.yaml
클러스터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 대시보드는 기본적으로 최소한의 RBAC 설정을 제공한다. 현재, 대시보드는 Bearer 토큰으로 로그인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시연을 위한 토큰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샘플 사용자 만들기 가이드를 따른다.
kubectl 커맨드라인 도구를 이용해 다음 커맨드를 실행함으로써 대시보드를 사용할 수 있다.
kubectl proxy
kubectl은 http://localhost:8001/api/v1/namespaces/kubernetes-dashboard/services/https:kubernetes-dashboard:/proxy/에 대시보드를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줄 것이다.
UI는 커맨드가 실행된 머신에서 오직 접근 가능하다. 상세 내용은 kubectl proxy --help
옵션을 확인한다.
초기 클러스터 대시보드에 접근하면, 환영 페이지를 볼 수 있다.
이 페이지는 첫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버튼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 문서의 링크를 포함하고 있다.
게다가, 대시보드가 있는 클러스터에서 기본적으로 kube-system
네임스페이스이 동작중인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을 볼 수 있다.
대시보드를 이용하여 컨테이너화 된 애플리케이션을 디플로이먼트와 간단한 마법사를 통한 선택적인 서비스로 생성하고 배포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세부 정보를 수동으로 지정할 수 있고, 또는 애플리케이션 구성을 포함한 YAML, JSON 파일을 업로드할 수 있다.
시작하는 페이지의 상위 오른쪽 코너에 있는 CREATE 버튼을 클릭한다.
배포 마법사는 다음 정보를 제공한다.
앱 이름 (필수): 애플리케이션 이름. 레이블 이름은 배포할 모든 디플로이먼트와 서비스에 추가되어야 한다.
애플리케이션 이름은 선택된 쿠버네티스 네임스페이스 안에서 유일해야 한다. 소문자로 시작해야 하며, 소문자 또는 숫자로 끝나고, 소문자, 숫자 및 대쉬(-)만을 포함해야 한다. 24 문자만을 제한한다. 처음과 끝의 스페이스는 무시된다.
컨테이너 이미지 (필수): 레지스트리에 올라간 퍼블릭 도커 컨테이너 이미지 또는 프라이빗 이미지(대체로 Google Container Registry 또는 도커 허브에 올라간)의 URL. 컨테이너 이미지 사양은 콜론으로 끝난다.
파드의 수 (필수): 배포하고 싶은 애플리케이션의 원하는 목표 파드 개수. 값은 양의 정수만 허용됩니다.
클러스터에 의도한 파드의 수를 유지하기 위해서 디플로이먼트가 생성될 것이다.
서비스 (선택): 일부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예를 들어, 프론트엔드) 아마도 클러스터 바깥의 퍼블릭 IP 주소를 가진 (외부 서비스) 외부에 서비스를 노출시키고 싶을 수 있다.
클러스터 내부에서만 보고 싶은 어떤 서비스들이 있을 것이다. 이를 내부 서비스라고 한다.
서비스 타입과는 무관하게, 서비스 생성을 선택해서 컨테이너의 (들어오는 패킷의) 포트를 리슨한다면, 두 개의 포트를 정의해야 한다. 서비스는 컨테이너가 바라보는 타겟 포트와 (들어오는 패킷의) 맵핑하는 포트가 만들어져야 할 것이다. 서비스는 배포된 파드에 라우팅 될 것이다. 지원하는 프로토콜은 TCP와 UDP이다. 서비스가 이용하는 내부 DNS 이름은 애플리케이션 이름으로 지정한 값이 될 것이다.
만약 필요하다면, 더 많은 세팅을 지정할 수 있는 자세한 옵션 보기 섹션에서 확장할 수 있다.
설명: 입력하는 텍스트값은 디플로이먼트에 어노테이션으로 추가될 것이고, 애플리케이션의 세부사항에 표시될 것이다.
레이블: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되는 기본적인 레이블은 애플리케이션 이름과 버전이다. 릴리스, 환경, 티어, 파티션, 그리고 릴리스 트랙과 같은 레이블을 디플로이먼트, 서비스, 그리고 파드를 생성할 때 추가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release=1.0
tier=frontend
environment=pod
track=stable
네임스페이스: 쿠버네티스는 동일한 물리 클러스터를 바탕으로 여러 가상의 클러스터를 제공한다. 이러한 가상 클러스터들을 네임스페이스라고 부른다. 논리적으로 명명된 그룹으로 리소스들을 분할할 수 있다.
대시보드는 드롭다운 리스트로 가능한 모든 네임스페이스를 제공하고, 새로운 네임스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네임스페이스 이름은 최대 63개의 영숫자 단어와 대시(-)를 포함하고 있지만 대문자를 가지지 못한다. 네임스페이스 이름은 숫자로만 구성할 수 없다. 만약 이름을 10이라는 숫자로 세팅한다면, 파드는 기본 네임스페이스로 배정하게 될 것이다.
네임스페이스 생성이 성공하는 경우, 생성된 네임스페이스가 기본으로 선택된다. 만약 생성에 실패하면, 첫 번째 네임스페이스가 선택된다.
이미지 풀(Pull) 시크릿: 특정 도커 컨테이너 이미지가 프라이빗한 경우, 풀(Pull) 시크릿 자격 증명을 요구한다.
대시보드는 가능한 모든 시크릿을 드롭다운 리스트로 제공하며, 새로운 시크릿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시크릿 이름은 예를 들어 new.image-pull.secret
과 같이 DNS 도메인 이름 구문으로 따르기로 한다.
시크릿 내용은 base64 인코딩 방식이며,
.dockercfg
파일로 정의된다.
시크릿 이름은 최대 253 문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풀(Pull) 시크릿의 생성이 성공한 경우, 기본으로 선택된다. 만약 생성에 실패하면, 시크릿은 허용되지 않는다.
CPU 요구 사항 (cores) 와 메모리 요구 사항 (MiB): 컨테이너를 위한 최소 리소스 상한을 정의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파드는 CPU와 메모리 상한을 두지 않고 동작한다.
커맨드 실행 와 커맨드 인수 실행: 기본적으로, 컨테이너는 선택된 도커 이미지의 기본 엔트리포인트 커맨드를 실행한다. 커맨드 옵션과 인자를 기본 옵션에 우선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권을 가진(privileged) 상태로 실행: 다음 세팅은 호스트에서 루트 권한을 가진 프로세스들이 특권을 가진 컨테이너의 프로세스들과 동등한지 아닌지 정의한다. 특권을 가진(privileged) 컨테이너는 네트워크 스택과 디바이스에 접근하는 것을 조작하도록 활용할 수 있다.
환경 변수: 쿠버네티스 서비스를
환경 변수를 통해 노출한다.
환경 변수 또는 인자를 환경 변수들의 값으로 커맨드를 통해 구성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들이 서비스를 찾는데 사용된다.
값들은 $(VAR_NAME)
구문을 사용하는 다른 변수들로 참조할 수 있다.
쿠버네티스는 선언적인 설정을 제공한다. 이 방식으로 모든 설정은 쿠버네티스 API 리소스 스키마를 이용하여 YAML 또는 JSON 설정 파일에 저장한다.
배포 마법사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세부사항들을 지정하는 대신, 애플리케이션을 YAML 또는 JSON 파일로 정의할 수 있고 대시보드를 이용해서 파일을 업로드할 수 있다.
다음 섹션들은 어떻게 제공하고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쿠버네티스 대시보드 UI의 모습을 보여준다.
클러스터에 정의된 쿠버네티스 오프젝트가 있으면, 대시보드는 초기화된 뷰를 제공한다. 기본적으로 기본 네임스페이스의 오프젝트만이 보이는데, 이는 탐색 창에 위치한 네임스페이스 셀렉터를 이용해 변경할 수 있다.
대시보드는 몇가지 메뉴 카테고리 중에서 대부분의 쿠버네티스 오브젝트 종류와 그룹을 보여준다.
클러스터와 네임스페이스 관리자에게 대시보드는 노드, 네임스페이스 그리고 퍼시스턴트 볼륨과 세부사항들이 보여진다. 노드는 모든 노드를 통틀어 CPU와 메모리 사용량을 보여준다. 세부사항은 각 노드들에 대한 사용량, 사양, 상태, 할당된 리소스, 이벤트 그리고 노드에서 돌아가는 파드를 보여준다.
선택된 네임스페이스에서 구동되는 모든 애플리케이션을 보여준다. 애플리케이션의 워크로드 종류(예를 들어, 디플로이먼트, 레플리카셋(ReplicaSet), 스테이트풀셋(StatefulSet) 등)를 보여주고 각각의 워크로드 종류는 따로 보여진다. 리스트는 예를 들어 레플리카셋에서 준비된 파드의 숫자 또는 파드의 현재 메모리 사용량과 같은 워크로드에 대한 실용적인 정보를 요약한다.
워크로드에 대한 세부적인 것들은 상태와 사양 정보, 오프젝트들 간의 관계를 보여준다. 예를 들어, 레플리카셋으로 관리하는 파드들 또는 새로운 레플리카셋과 디플로이먼트를 위한 Horizontal Pod Autoscalers 이다.
외부로 노출되는 서비스들과 클러스터 내에 발견되는 서비스들을 허용하는 쿠버네티스 리소스들을 보여준다. 이러한 이유로 서비스와 인그레스는 클러스터간의 연결을 위한 내부 엔드포인트들과 외부 사용자를 위한 외부 엔드포인트들에 의해 타게팅된 파드들을 보여준다.
스토리지는 애플리케이션이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하는 퍼시턴트 볼륨 클레임 리소스들을 보여준다.
클러스터에서 동작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라이브 설정을 사용하는 모든 쿠버네티스 리소스들을 보여준다. 컨피그 오브젝트들을 수정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허용하며, 기본적으로는 숨겨져 있는 시크릿들을 보여준다.
파드 목록과 세부사항 페이지들은 대시보드에 구현된 로그 뷰어에 링크된다. 뷰어는 단일 파드에 있는 컨테이너들의 로그들을 내려가면 볼 수 있도록 한다.
더 많은 정보는 쿠버네티스 대시보드 프로젝트 페이지를 참고한다.
여기에서는 클러스터와 통신을 하는 다양한 방식에 대해서 다룰 것이다.
최초로 쿠버네티스 API에 접근할 때 우리는
쿠버네티스 CLI인 kubectl
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클러스터에 접근하려면 클러스터의 위치정보를 알아야 하고 클러스터에 접속하기 위한 인증정보를 가져야 한다. 일반적으로 이는 당신이 Getting started guide를 다 진행했을 때 자동으로 구성되거나, 다른 사람이 클러스터를 구성하고 당신에게 인증정보와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kubectl이 인지하는 위치정보와 인증정보는 다음 커맨드로 확인한다.
kubectl config view
여기에서 kubectl 사용 예시를 볼 수 있으며, 완전한 문서는 kubectl 매뉴얼에서 확인할 수 있다.
kubectl은 apiserver의 위치 파악과 인증을 처리한다. 만약 당신이 curl, wget 또는 웹브라우저와 같은 http 클라이언트로 REST API에 직접 접근하려고 한다면 위치 파악과 인증을 하는 몇 가지 방법이 존재한다.
다음 커맨드는 kubectl을 리버스 프록시(reverse proxy)처럼 동작하는 모드를 실행한다. 이는 apiserver의 위치지정과 인증을 처리한다. 다음과 같이 실행한다.
kubectl proxy --port=8080
상세 내용은 kubectl proxy를 참조한다
이후에 당신은 curl, wget, 웹브라우저로 다음과 같이 API를 탐색할 수 있다. localhost는 IPv6 주소 [::1]로도 대체할 수 있다.
curl http://localhost:8080/api/
결괏값은 다음과 같을 것이다.
{
"kind": "APIVersions",
"versions": [
"v1"
],
"serverAddressByClientCIDRs": [
{
"clientCIDR": "0.0.0.0/0",
"serverAddress": "10.0.1.149:443"
}
]
}
기본 서비스 어카운트의 토큰을 얻어내려면 kubectl describe secret...
을 grep/cut과 함께 사용한다.
APISERVER=$(kubectl config view --minify | grep server | cut -f 2- -d ":" | tr -d " ")
SECRET_NAME=$(kubectl get secrets | grep ^default | cut -f1 -d ' ')
TOKEN=$(kubectl describe secret $SECRET_NAME | grep -E '^token' | cut -f2 -d':' | tr -d " ")
curl $APISERVER/api --header "Authorization: Bearer $TOKEN" --insecure
결과값은 다음과 같을 것이다.
{
"kind": "APIVersions",
"versions": [
"v1"
],
"serverAddressByClientCIDRs": [
{
"clientCIDR": "0.0.0.0/0",
"serverAddress": "10.0.1.149:443"
}
]
}
jsonpath
를 사용한다면 다음과 같다.
APISERVER=$(kubectl config view --minify -o jsonpath='{.clusters[0].cluster.server}')
SECRET_NAME=$(kubectl get serviceaccount default -o jsonpath='{.secrets[0].name}')
TOKEN=$(kubectl get secret $SECRET_NAME -o jsonpath='{.data.token}' | base64 --decode)
curl $APISERVER/api --header "Authorization: Bearer $TOKEN" --insecure
결과값은 다음과 같을 것이다.
{
"kind": "APIVersions",
"versions": [
"v1"
],
"serverAddressByClientCIDRs": [
{
"clientCIDR": "0.0.0.0/0",
"serverAddress": "10.0.1.149:443"
}
]
}
위 예제에서는 --insecure
flag를 사용했다. 이는 MITM 공격을 받을 수 있는 상태로
두는 것이다. kubectl로 클러스터에 접속할 때 저장된 root 인증서와 클라이언트 인증서들을
서버 접속에 사용한다.
(이들은 ~/.kube
디렉터리에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self-signed 인증서가 클러스터 인증서로 사용되므로 당신의 http 클라이언트가
root 인증서를 사용하려면 특수한 설정을 필요로 할 것이다.
localhost에서 제공되거나 방화벽으로 보호되는 몇몇 클러스터들에서는 apiserver가 인증을 요구하지 않지만 이는 표준이 아니다. API에 대한 접근 제어은 클러스터 관리자가 이를 어떻게 구성할 수 있는지를 설명한다.
쿠버네티스는 공식적으로 Go와 Python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를 지원한다.
go get k8s.io/client-go@kubernetes-<kubernetes-version-number>
커맨드를 실행한다. INSTALL.md에서 상세한 설치 방법을 알 수 있다. https://github.com/kubernetes/client-go에서 어떤 버젼이 지원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import "k8s.io/client-go/kubernetes"
로 import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Go 클라이언트는 apiserver의 위치지정과 인증에 kubectl CLI와 동일하게 kubeconfig file을 사용할 수 있다. 예제를 참고한다.
만약 애플리케이션이 클러스터 내에 파드로 배포되었다면 다음 장을 참조하기를 바란다.
Python 클라이언트를 사용하려면 pip install kubernetes
커맨드를 실행한다. 설치 옵션에 대한 상세 사항은 Python Client Library page를 참조한다.
Python 클라이언트는 apiserver의 위치지정과 인증에 kubectl CLI와 동일하게 kubeconfig file을 사용할 수 있다. 예제를 참조한다.
다른 언어에서 API를 접속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들도 존재한다. 이들이 어떻게 인증하는지는 다른 라이브러리들의 문서를 참조한다.
파드에서 API를 접속한다면 apiserver의 위치지정과 인증은 다소 다르다.
파드 내에서 apiserver의 위치를 지정하는데 추천하는 방식은
kubernetes.default.svc
DNS 네임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 DNS 네임은 apiserver로 라우팅되는 서비스 IP로 resolve된다.
apiserver 인증에 추천되는 방식은
서비스 어카운트
인증정보를 사용하는 것이다. kube-system에 의해 파드는 서비스 어카운트와 연계되며
해당 서비스 어카운트의 인증정보(토큰)은 파드 내 각 컨테이너의 파일시스템 트리의
/var/run/secrets/kubernetes.io/serviceaccount/token
에 위치한다.
사용 가능한 경우, 인증서 번들은 각 컨테이너 내 파일시스템 트리의
/var/run/secrets/kubernetes.io/serviceaccount/ca.crt
에 위치하며
apiserver의 인증서 제공을 검증하는데 사용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네임스페이스 한정의 API 조작에 사용되는 기본 네임스페이스는 각 컨테이터 내의
/var/run/secrets/kubernetes.io/serviceaccount/namespace
파일로 존재한다.
파드 내에서 API에 접근하는데 권장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kubectl proxy
를 실행하거나,
컨테이너 내부에서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로 실행한다.
이는 쿠버네티스 API를 파드의 localhost 인터페이스로 프록시하여
해당 파드의 컨테이너 내에 다른 프로세스가 API에 접속할 수 있게 해준다.rest.InClusterConfig()
와 kubernetes.NewForConfig()
함수들을 사용하도록 클라이언트를 만든다.
이는 apiserver의 위치지정과 인증을 처리한다. 예제각각의 사례에서 apiserver와의 보안 통신에 파드의 인증정보가 사용된다.
이전 장은 쿠버네티스 API server 접속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 이번 장은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상에서 실행되는 다른 서비스로의 연결을 다룰 것이다.
쿠버네티스에서, 노드, 파드 및 서비스는 모두 고유한 IP를 가진다. 당신의 데스크탑 PC와 같은 클러스터 외부 장비에서는 클러스터 상의 노드 IP, 파드 IP, 서비스 IP로 라우팅되지 않아서 접근을 할 수 없을 것이다.
클러스터 외부에서 노드, 파드 및 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한 몇 가지 옵션이 있다.
NodePort
또는 LoadBalancer
타입의
서비스를 사용한다. 서비스와
kubectl expose 문서를 참조한다.일반적으로 kube-system에 의해 클러스터에 실행되는 몇 가지 서비스가 있다.
kubectl cluster-info
커맨드로 이 서비스의 리스트를 볼 수 있다.
kubectl cluster-info
결괏값은 다음과 같을 것이다.
Kubernetes master is running at https://104.197.5.247
elasticsearch-logging is running at https://104.197.5.247/api/v1/namespaces/kube-system/services/elasticsearch-logging/proxy
kibana-logging is running at https://104.197.5.247/api/v1/namespaces/kube-system/services/kibana-logging/proxy
kube-dns is running at https://104.197.5.247/api/v1/namespaces/kube-system/services/kube-dns/proxy
grafana is running at https://104.197.5.247/api/v1/namespaces/kube-system/services/monitoring-grafana/proxy
heapster is running at https://104.197.5.247/api/v1/namespaces/kube-system/services/monitoring-heapster/proxy
이는 각 서비스에 접근하기 위한 proxy-verb URL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위 클러스터는 클러스터 수준의 logging(Elasticsearch 사용)이 활성화되었으므로 적절한 인증을 통과하여
https://104.197.5.247/api/v1/namespaces/kube-system/services/elasticsearch-logging/proxy/
로 접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kubectl proxy로
http://localhost:8080/api/v1/namespaces/kube-system/services/elasticsearch-logging/proxy/
를 통해 logging에 접근할 수도 있다.
(인증을 통과하는 방법이나 kubectl proxy를 사용하는 것은 쿠버네티스 API를 사용해서 클러스터에 접근하기을 참조한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서비스의 proxy URL을 검색하는 데 kubectl cluster-info
커맨드를 사용할 수 있다. 서비스 endpoint, 접미사, 매개변수를 포함하는 proxy URL을 생성하려면 해당 서비스에
http://
kubernetes_master_address
/api/v1/namespaces/
namespace_name
/services/
service_name[:port_name]
/proxy
형식의 proxy URL을 덧붙인다.
당신이 포트에 이름을 지정하지 않았다면 URL에 port_name 을 지정할 필요는 없다. 이름이 있는 포트와 이름이 없는 포트 모두에 대하여, port_name 이 들어갈 자리에 포트 번호를 기재할 수도 있다.
기본적으로 API server는 http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프록시한다. https를 사용하려면 다음과 같이 서비스 네임의 접두사에 https:
를 붙인다.
http://
kubernetes_master_address
/api/v1/namespaces/
namespace_name
/services/
https:service_name:[port_name]
/proxy
URL의 네임 부분에 지원되는 양식은 다음과 같다.
<service_name>
- http를 사용하여 기본값 또는 이름이 없는 포트로 프록시한다.<service_name>:<port_name>
- http를 사용하여 지정된 포트 이름 또는 포트 번호로 프록시한다.https:<service_name>:
- https를 사용하여 기본값 또는 이름이 없는 포트로 프록시한다. (마지막 콜론:에 주의)https:<service_name>:<port_name>
- https를 사용하여 지정된 포트 이름 또는 포트 번호로 프록시한다._search?q=user:kimchy
에 접근하려면 http://104.197.5.247/api/v1/namespaces/kube-system/services/elasticsearch-logging/proxy/_search?q=user:kimchy
를 사용할 수 있다._cluster/health?pretty=true
에 접근하려면 https://104.197.5.247/api/v1/namespaces/kube-system/services/elasticsearch-logging/proxy/_cluster/health?pretty=true
를 사용할 수 있다.{
"cluster_name" : "kubernetes_logging",
"status" : "yellow",
"timed_out" : false,
"number_of_nodes" : 1,
"number_of_data_nodes" : 1,
"active_primary_shards" : 5,
"active_shards" : 5,
"relocating_shards" : 0,
"initializing_shards" : 0,
"unassigned_shards" : 5
}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apiserver proxy url을 넣을 수도 있다. 하지만
redirect 기능은 deprecated되고 제거 되었다. 대신 (아래의) 프록시를 사용하기를 바란다.
쿠버네티스를 사용하면서 당신이 접할 수 있는 몇 가지 다른 프록시들이 존재한다.
apiserver(s) 전면의 Proxy/Load-balancer:
외부 서비스의 Cloud Load Balancer들:
LoadBalancer
라면 자동으로 생성된다일반적으로 쿠버네티스 사용자들은 처음 두 타입이 아닌 다른 방식은 고려할 필요가 없지만 클러스터 관리자는 나머지 타입을 적절하게 구성해줘야 한다.
이 페이지에서는 구성 파일을 사용하여 다수의 클러스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방식을 보여준다. 클러스터, 사용자, 컨텍스트가 하나 이상의
구성 파일에 정의된 다음 kubectl config use-context
커맨드를
사용하여 클러스터를 빠르게 변경할 수 있다.
kubeconfig
라는 이름을 가진 파일이
반드시 존재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kubectl이 설치되었는지 확인하려면,
kubectl version --client
을 실행한다. kubectl 버전은 클러스터의 API 서버 버전과
마이너 버전 하나 차이 이내여야
한다.
당신이 개발 작업을 위한 클러스터와 스크래치 작업을 위한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해보자.
development
클러스터에서는 프런트 엔드 개발자들이 frontend
라는 네임스페이스에서
작업을 하고 있고, 스토리지 개발자들은 storage
라는 네임스페이스에서 작업을 하고 있다.
scratch
클러스터에서는 개발자들이 default 네임스페이스에서 개발하거나 필요에 따라 보조
네임스페이스들을 생성하고 있다. development 클러스터에 접근하려면 인증서로 인증을 해야 하고,
scratch 클러스터에 접근하려면 사용자네임과 패스워드로 인증을 해야 한다.
config-exercise
라는 디렉터리를 생성한다. config-exercise
디렉터리에
다음 내용을 가진 config-demo
라는 파일을 생성한다.
apiVersion: v1
kind: Config
preferences: {}
clusters:
- cluster:
name: development
- cluster:
name: scratch
users:
- name: developer
- name: experimenter
contexts:
- context:
name: dev-frontend
- context:
name: dev-storage
- context:
name: exp-scratch
구성 파일은 클러스터들, 사용자들, 컨텍스트들을 기술한다. config-demo
파일은 두 클러스터들과
두 사용자들, 세 컨텍스트들을 기술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가진다.
config-exercise
디렉터리로 이동한다. 그리고 다음 커맨드들을 실행하여 구성 파일에 클러스터의
세부사항들을 추가한다.
kubectl config --kubeconfig=config-demo set-cluster development --server=https://1.2.3.4 --certificate-authority=fake-ca-file
kubectl config --kubeconfig=config-demo set-cluster scratch --server=https://5.6.7.8 --insecure-skip-tls-verify
사용자의 세부사항들을 구성 파일에 추가한다.
kubectl config --kubeconfig=config-demo set-credentials developer --client-certificate=fake-cert-file --client-key=fake-key-seefile
kubectl config --kubeconfig=config-demo set-credentials experimenter --username=exp --password=some-password
kubectl --kubeconfig=config-demo config unset users.<name>
를 실행한다.kubectl --kubeconfig=config-demo config unset clusters.<name>
를 실행한다.kubectl --kubeconfig=config-demo config unset contexts.<name>
를 실행한다.컨텍스트 세부사항들을 구성 파일에 추가한다.
kubectl config --kubeconfig=config-demo set-context dev-frontend --cluster=development --namespace=frontend --user=developer
kubectl config --kubeconfig=config-demo set-context dev-storage --cluster=development --namespace=storage --user=developer
kubectl config --kubeconfig=config-demo set-context exp-scratch --cluster=scratch --namespace=default --user=experimenter
config-demo
파일을 열어서 세부사항들이 추가되었는지 확인한다. config-demo
파일을 열어보는
것 대신에 config view
커맨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
kubectl config --kubeconfig=config-demo view
두 클러스터, 두 사용자, 세 컨텍스트들이 출력 결과로 나온다.
apiVersion: v1
clusters:
- cluster:
certificate-authority: fake-ca-file
server: https://1.2.3.4
name: development
- cluster:
insecure-skip-tls-verify: true
server: https://5.6.7.8
name: scratch
contexts:
- context:
cluster: development
namespace: frontend
user: developer
name: dev-frontend
- context:
cluster: development
namespace: storage
user: developer
name: dev-storage
- context:
cluster: scratch
namespace: default
user: experimenter
name: exp-scratch
current-context: ""
kind: Config
preferences: {}
users:
- name: developer
user:
client-certificate: fake-cert-file
client-key: fake-key-file
- name: experimenter
user:
password: some-password
username: exp
위 fake-ca-file
, fake-cert-file
, fake-key-file
은 인증서 파일들의 실제 경로 이름을 위한
플레이스홀더(placeholder)이다.
당신의 환경에 맞게 이들을 실제 인증서 경로로 변경해줘야 한다.
만약 당신이 인증서 파일들의 경로 대신에 여기에 포함된 base64로 인코딩된 데이터를 사용하려고 한다면
이 경우 키에 -data
접미사를 추가해야 한다. 예를 들면 certificate-authority-data
,
client-certificate-data
, client-key-data
같이 사용할 수 있다.
컨텍스트는 세 가지(클러스터, 사용자, 네임스페이스) 요소들로 이뤄진다. 예를 들어
dev-frontend
컨텍스트는 "development
클러스터의 frontend
네임스페이스에 접근하는데
developer
사용자 자격증명을 사용하라고 알려준다."
현재 컨텍스트를 설정한다.
kubectl config --kubeconfig=config-demo use-context dev-frontend
이제 당신이 kubectl
커맨드를 입력할 때마다 dev-frontend
컨텍스트에 명시된 클러스터와
네임스페이스 상에서 동작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커맨드는 dev-frontend
컨텍스트 내에 명시된
사용자 자격증명을 사용할 것이다.
현재 컨텍스트에 관련된 구성 정보만을 보려면
--minify
플래그를 사용한다.
kubectl config --kubeconfig=config-demo view --minify
dev-frontend
컨텍스트에 관련된 구성 정보가 출력 결과로 표시될 것이다.
apiVersion: v1
clusters:
- cluster:
certificate-authority: fake-ca-file
server: https://1.2.3.4
name: development
contexts:
- context:
cluster: development
namespace: frontend
user: developer
name: dev-frontend
current-context: dev-frontend
kind: Config
preferences: {}
users:
- name: developer
user:
client-certificate: fake-cert-file
client-key: fake-key-file
이제 당신이 잠시 scratch 클러스터에서 작업하려고 한다고 가정해보자.
현재 컨텍스트를 exp-scratch
로 변경한다.
kubectl config --kubeconfig=config-demo use-context exp-scratch
이제 당신이 실행하는 모든 kubectl
커맨드는 scratch
클러스터의
default 네임스페이스에 적용되며 exp-scratch
컨텍스트에 나열된
사용자의 자격증명을 사용할 것이다.
현재의 컨텍스트인 exp-scratch
에 관련된 설정을 보자.
kubectl config --kubeconfig=config-demo view --minify
마지막으로 당신이 development
클러스터의 storage
네임스페이스에서
잠시 작업을 하려고 한다고 가정해보자.
현재 컨텍스트를 dev-storage
로 변경한다.
kubectl config --kubeconfig=config-demo use-context dev-storage
현재 컨텍스트인 dev-storage
에 관련된 설정을 보자.
kubectl config --kubeconfig=config-demo view --minify
config-exercise
디렉터리에서 다음 내용으로 config-demo-2
라는 파일을 생성한다.
apiVersion: v1
kind: Config
preferences: {}
contexts:
- context:
cluster: development
namespace: ramp
user: developer
name: dev-ramp-up
위 구성 파일은 dev-ramp-up
이라는 신규 컨텍스트를 정의한다.
KUBECONFIG
라는 환경 변수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해보자. 만약 가지고 있다면,
이후에 복원할 수 있도록 KUBECONFIG
환경 변수의 현재 값을 저장한다.
예:
export KUBECONFIG_SAVED=$KUBECONFIG
$Env:KUBECONFIG_SAVED=$ENV:KUBECONFIG
KUBECONFIG
환경 변수는 구성 파일들의 경로의 리스트이다. 이 리스트는
리눅스와 Mac에서는 콜론으로 구분되며 윈도우에서는 세미콜론으로 구분된다.
KUBECONFIG
환경 변수를 가지고 있다면, 리스트에 포함된 구성 파일들에
익숙해지길 바란다.
다음 예와 같이 임시로 KUBECONFIG
환경 변수에 두 개의 경로들을 덧붙여보자.
export KUBECONFIG=$KUBECONFIG:config-demo:config-demo-2
$Env:KUBECONFIG=("config-demo;config-demo-2")
config-exercise
디렉터리에서 다음 커맨드를 입력한다.
kubectl config view
당신의 KUBECONFIG
환경 변수에 나열된 모든 파일들이 합쳐진 정보가 출력 결과로
표시될 것이다. 특히, 합쳐진 정보가 config-demo-2
파일의 dev-ramp-up
컨텍스트와 config-demo
파일의 세 개의 컨텍스트들을
가지고 있다는 것에 주목하길 바란다.
contexts:
- context:
cluster: development
namespace: frontend
user: developer
name: dev-frontend
- context:
cluster: development
namespace: ramp
user: developer
name: dev-ramp-up
- context:
cluster: development
namespace: storage
user: developer
name: dev-storage
- context:
cluster: scratch
namespace: default
user: experimenter
name: exp-scratch
kubeconfig 파일들을 어떻게 병합하는지에 대한 상세정보는 kubeconfig 파일을 사용하여 클러스터 접근 구성하기를 참조한다.
만약 당신이 이미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고 kubectl
을 사용하여
해당 클러스터를 제어하고 있다면, 아마 $HOME/.kube
디렉터리에 config
라는
파일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HOME/.kube
로 가서 어떤 파일들이 존재하는지 보자.
보통 config
라는 파일이 존재할 것이다. 해당 디렉터리 내에는 다른 구성 파일들도 있을 수 있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당신은 이 파일들의 컨텐츠에 익숙해져야 한다.
당신이 $HOME/.kube/config
파일을 가지고 있는데 KUBECONFIG
환경 변수에 나타나지 않는다면 KUBECONFIG
환경 변수에 추가해보자.
예:
export KUBECONFIG=$KUBECONFIG:$HOME/.kube/config
$Env:KUBECONFIG="$Env:KUBECONFIG;$HOME\.kube\config"
이제 KUBECONFIG
환경 변수에 리스트에 포함된 모든 파일들이 합쳐진 구성 정보를 보자.
config-exercise 디렉터리에서 다음 커맨드를 실행한다.
kubectl config view
KUBECONFIG
환경 변수를 원래 값으로 되돌려 놓자. 예를 들면:
export KUBECONFIG=$KUBECONFIG_SAVED
$Env:KUBECONFIG=$ENV:KUBECONFIG_SAVED
이 페이지는 kubectl port-forward
를 사용해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내에서
실행중인 MongoDB 서버에 연결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이 유형의 연결은 데이터베이스
디버깅에 유용할 수 있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쿠버네티스 서버의 버전은 다음과 같거나 더 높아야 함. 버전: v1.10. 버전 확인을 위해서, 다음 커맨드를 실행kubectl version
.
MongoDB Shell을 설치한다.
MongoDB를 실행하기 위해 디플로이먼트를 생성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application/mongodb/mongo-deployment.yaml
성공적인 명령어의 출력은 디플로이먼트가 생성됐다는 것을 확인해준다.
deployment.apps/mongo created
파드 상태를 조회하여 파드가 준비되었는지 확인한다.
kubectl get pods
출력은 파드가 생성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mongo-75f59d57f4-4nd6q 1/1 Running 0 2m4s
디플로이먼트 상태를 조회한다.
kubectl get deployment
출력은 디플로이먼트가 생성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NAME READY UP-TO-DATE AVAILABLE AGE
mongo 1/1 1 1 2m21s
디플로이먼트는 자동으로 레플리카셋을 관리한다. 아래의 명령어를 사용하여 레플리카셋 상태를 조회한다.
kubectl get replicaset
출력은 레플리카셋이 생성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NAME DESIRED CURRENT READY AGE
mongo-75f59d57f4 1 1 1 3m12s
MongoDB를 네트워크에 노출시키기 위해 서비스를 생성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application/mongodb/mongo-service.yaml
성공적인 커맨드의 출력은 서비스가 생성되었다는 것을 확인해준다.
service/mongo created
서비스가 생성되었는지 확인한다.
kubectl get service mongo
출력은 서비스가 생성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NAME TYPE CLUSTER-IP EXTERNAL-IP PORT(S) AGE
mongo ClusterIP 10.96.41.183 <none> 27017/TCP 11s
MongoDB 서버가 파드 안에서 실행되고 있고, 27017번 포트에서 수신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 mongo-75f59d57f4-4nd6q 를 당신의 파드 이름으로 대체한다.
kubectl get pod mongo-75f59d57f4-4nd6q --template='{{(index (index .spec.containers 0).ports 0).containerPort}}{{"\n"}}'
출력은 파드 내 MongoDB 포트 번호를 보여준다.
27017
(이는 인터넷 상의 MongoDB에 할당된 TCP 포트이다.)
kubectl port-forward
명령어는 파드 이름과 같이 리소스 이름을 사용하여 일치하는 파드를 선택해 포트 포워딩하는 것을 허용한다.
# mongo-75f59d57f4-4nd6q 를 당신의 파드 이름으로 대체한다.
kubectl port-forward mongo-75f59d57f4-4nd6q 28015:27017
이것은
kubectl port-forward pods/mongo-75f59d57f4-4nd6q 28015:27017
또는
kubectl port-forward deployment/mongo 28015:27017
또는
kubectl port-forward replicaset/mongo-75f59d57f4 28015:27017
또는 다음과 같다.
kubectl port-forward service/mongo 28015:27017
위의 명령어들은 모두 동일하게 동작한다. 이와 유사하게 출력된다.
Forwarding from 127.0.0.1:28015 -> 27017
Forwarding from [::1]:28015 -> 27017
kubectl port-forward
는 프롬프트를 리턴하지 않으므로, 이 연습을 계속하려면 다른 터미널을 열어야 한다.
MongoDB 커맨드라인 인터페이스를 실행한다.
mongosh --port 28015
MongoDB 커맨드라인 프롬프트에 ping
명령을 입력한다.
db.runCommand( { ping: 1 } )
성공적인 핑 요청을 반환한다.
{ ok: 1 }
만약 특정 로컬 포트가 필요하지 않다면, kubectl
이 로컬 포트를 선택 및 할당하게 하여,
조금 더 단순한 문법으로 로컬 포트 충돌 관리를 위한
부담을 줄일 수 있다.
kubectl port-forward deployment/mongo :27017
kubectl
도구는 사용 중이 아닌 로컬 포트 번호를 찾는다 (낮은 포트 번호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될 것이므로, 낮은 포트 번호를 피해서). 출력은 다음과 같을 것이다.
Forwarding from 127.0.0.1:63753 -> 27017
Forwarding from [::1]:63753 -> 27017
로컬 28015 포트에 대한 연결은 MongoDB 서버가 실행중인 파드의 27017 포트로 포워딩된다. 이 연결로 로컬 워크스테이션에서 파드 안에서 실행 중인 데이터베이스를 디버깅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kubectl port-forward
는 TCP 포트에서만 구현된다.
UDP 프로토콜에 대한 지원은
이슈 47862에서 추적되고 있다.
kubectl port-forward에 대해 더 알아본다.
이 문서는 외부 클라이언트가 클러스터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하는 쿠버네티스 서비스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서비스는 실행 중인 두 개의 인스턴스를 갖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로드 밸런싱을 제공한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버전 확인을 위해서, 다음 커맨드를 실행kubectl version
.
다음은 애플리케이션 디플로이먼트(Deployment) 설정 파일이다.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hello-world
spec:
selector:
matchLabels:
run: load-balancer-example
replicas: 2
template:
metadata:
labels:
run: load-balancer-example
spec:
containers:
- name: hello-world
image: gcr.io/google-samples/node-hello:1.0
ports:
- containerPort: 8080
protocol: TCP
클러스터 내 Hello World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자. 위 파일을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 디플로이먼트를 생성하자.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service/access/hello-application.yaml
앞의 명령은 디플로이먼트 오브젝트와 연관된 레플리카셋(ReplicaSet) 오브젝트를 생성한다. 레플리카셋은 두 개의 파드를 갖고, 각각은 Hello World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디플로이먼트에 대한 정보를 보여준다.
kubectl get deployments hello-world
kubectl describe deployments hello-world
레플리카셋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보여준다.
kubectl get replicasets
kubectl describe replicasets
디플로이먼트를 노출하는 서비스 오브젝트를 생성한다.
kubectl expose deployment hello-world --type=NodePort --name=example-service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보여준다.
kubectl describe services example-service
결과는 아래와 같다.
Name: example-service
Namespace: default
Labels: run=load-balancer-example
Annotations: <none>
Selector: run=load-balancer-example
Type: NodePort
IP: 10.32.0.16
Port: <unset> 8080/TCP
TargetPort: 8080/TCP
NodePort: <unset> 31496/TCP
Endpoints: 10.200.1.4:8080,10.200.2.5:8080
Session Affinity: None
Events: <none>
서비스의 노드포트(NodePort) 값을 메모하자. 예를 들어, 앞선 결과에서, 노드포트 값은 31496이다.
Hello World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파드를 나열한다.
kubectl get pods --selector="run=load-balancer-example" --output=wide
결과는 아래와 같다.
NAME READY STATUS ... IP NODE
hello-world-2895499144-bsbk5 1/1 Running ... 10.200.1.4 worker1
hello-world-2895499144-m1pwt 1/1 Running ... 10.200.2.5 worker2
Hello World 파드가 실행 중인 노드들 중 하나의 노드에 대해 공용
IP 주소를 얻자. 이 주소를 얻는 방법은 어떻게 클러스터를 설치했는지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Minikube를 사용하면, kubectl cluster-info
를
실행하여 노드 주소를 알 수 있다. Google Compute Engine 인스턴스를
사용하면, gcloud compute instances list
명령어를
사용하여 노드들의 공용 주소를 알 수
있다.
선택한 노드에서 노드 포트에 대해 TCP 통신을 허용하도록 방화벽 규칙을 생성하자. 예를 들어, 서비스의 노드포트 값이 31568인 경우, 31568 포트로 TCP 통신을 허용하도록 방화벽 규칙을 생성하자. 다른 클라우드 공급자는 방화벽 규칙을 설정하는 다른 방법을 제공한다.
Hello World 애플리케이션 접근을 위해 노드 주소와 노드 포트를 사용하자.
curl http://<public-node-ip>:<node-port>
<public-node-ip>
는 노드의 공용 IP 주소이고,
<node-port>
는 서비스의 노드포트 값이다.
성공적인 요청에 대한 응답은 hello 메시지이다.
Hello Kubernetes!
kubectl expose
를 사용하는 대신,
서비스 설정 파일을 사용해
서비스를 생성할 수 있다.
서비스를 삭제하기 위해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자.
kubectl delete services example-service
디플로이먼트, 레플리카셋, Hello World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파드를 삭제하기 위해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자.
kubectl delete deployment hello-world
서비스와 애플리케이션 연결하기에 대해 더 알아본다.
이 작업은 프론트엔드 와 백엔드 마이크로서비스를 어떻게 생성하는지를 설명한다. 백엔드 마이크로서비스는 인사하기(hello greeter)이다. 프론트엔드는 nginx 및 쿠버네티스 서비스 오브젝트를 사용해 백엔드를 노출한다.
hello
백엔드 마이크로서비스를 생성하고 실행한다.nginx
프론트엔드 마이크로서비스를 생성하고 실행한다.type=LoadBalancer
의 서비스 오브젝트를 사용해 클러스터 외부에 프론트엔드 마이크로서비스를
노출한다.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버전 확인을 위해서, 다음 커맨드를 실행kubectl version
.
이 작업은 지원되는 환경이 필요한 외부 로드밸런서가 있는 서비스를 사용한다. 만약, 이를 지원하지 않는 환경이라면, 노드포트 서비스 타입을 대신 사용할 수 있다.
백엔드는 인사하기라는 간단한 마이크로서비스이다. 여기에 백엔드 디플로이먼트 구성 파일이 있다.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hello
spec:
selector:
matchLabels:
app: hello
tier: backend
track: stable
replicas: 7
template:
metadata:
labels:
app: hello
tier: backend
track: stable
spec:
containers:
- name: hello
image: "gcr.io/google-samples/hello-go-gke:1.0"
ports:
- name: http
containerPort: 80
백엔드 디플로이먼트를 생성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service/access/backend-deployment.yaml
백엔드 디플로이먼트에 관한 정보를 본다.
kubectl describe deployment backend
결과는 아래와 같다.
Name: backend
Namespace: default
CreationTimestamp: Mon, 24 Oct 2016 14:21:02 -0700
Labels: app=hello
tier=backend
track=stable
Annotations: deployment.kubernetes.io/revision=1
Selector: app=hello,tier=backend,track=stable
Replicas: 3 desired | 3 updated | 3 total | 3 available | 0 unavailable
StrategyType: RollingUpdate
MinReadySeconds: 0
RollingUpdateStrategy: 1 max unavailable, 1 max surge
Pod Template:
Labels: app=hello
tier=backend
track=stable
Containers:
hello:
Image: "gcr.io/google-samples/hello-go-gke:1.0"
Port: 80/TCP
Environment: <none>
Mounts: <none>
Volumes: <none>
Conditions:
Type Status Reason
---- ------ ------
Available True MinimumReplicasAvailable
Progressing True NewReplicaSetAvailable
OldReplicaSets: <none>
NewReplicaSet: hello-3621623197 (3/3 replicas created)
Events:
...
hello
서비스 오브젝트 생성하기프론트엔드에서 백엔드로 요청을 보내는 핵심은 백엔드 서비스이다. 서비스는 백엔드 마이크로서비스에 언제든 도달하기 위해 변하지 않는 IP 주소와 DNS 이름 항목을 생성한다. 서비스는 트래픽을 보내는 파드를 찾기 위해 셀렉터를 사용한다.
먼저, 서비스 구성 파일을 살펴보자.
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hello
spec:
selector:
app: hello
tier: backend
ports:
- protocol: TCP
port: 80
targetPort: http
구성 파일에서 hello
라는 이름의 서비스가 app: hello
및 tier: backend
레이블을 갖는
파드에 트래픽을 보내는 것을 볼 수 있다.
백엔드 서비스를 생성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service/access/backend-service.yaml
이 시점에서 hello
애플리케이션의 복제본 3개를 실행하는 backend
디플로이먼트가 있고, 해당 백엔드로 트래픽을 보내는 서비스가 있다. 그러나, 이
서비스는 클러스터 외부에서 사용할 수 없거나 확인할 수 없다.
이제 백엔드를 실행했으므로, 클러스터 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는 프론트엔드를 만들고, 백엔드로의 요청을 프록시하여 백엔드에 연결할 수 있다.
프론트엔드는 백엔드 서비스에 지정된 DNS 이름을 사용하여 백엔드
워커 파드에 요청을 보낸다. DNS 이름은
examples/service/access/backend-service.yaml
구성 파일의
name
필드 값인 hello
이다.
프론트엔드 디플로이먼트 안의 파드는 hello
백엔드 서비스에 대한 요청을
프록시하도록 구성된 nginx 이미지를 실행한다. 다음은 nginx 구성 파일이다.
# The identifier Backend is internal to nginx, and used to name this specific upstream
upstream Backend {
# hello is the internal DNS name used by the backend Service inside Kubernetes
server hello;
}
server {
listen 80;
location / {
# The following statement will proxy traffic to the upstream named Backend
proxy_pass http://Backend;
}
}
백엔드와 같이, 프론트엔드는 디플로이먼트와 서비스를 갖고 있다. 백엔드
서비스와 프론트엔드 서비스 간에 주목해야 할 중요한 차이점은 프론트엔드
서비스의 구성에 type: LoadBalancer
가 있다는 것이다. 즉,
서비스가 클라우드 공급자가 프로비저닝한 로드 밸런서를 사용하고
클러스터 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frontend
spec:
selector:
app: hello
tier: frontend
ports:
- protocol: "TCP"
port: 80
targetPort: 80
type: LoadBalancer
...
---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frontend
spec:
selector:
matchLabels:
app: hello
tier: frontend
track: stable
replicas: 1
template:
metadata:
labels:
app: hello
tier: frontend
track: stable
spec:
containers:
- name: nginx
image: "gcr.io/google-samples/hello-frontend:1.0"
lifecycle:
preStop:
exec:
command: ["/usr/sbin/nginx","-s","quit"]
...
프론트엔드 디플로이먼트와 서비스를 생성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service/access/frontend-deployment.yaml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service/access/frontend-service.yaml
결과는 두 리소스가 생성되었음을 확인한다.
deployment.apps/frontend created
service/frontend created
일단 로드밸런서 타입의 서비스를 생성하면, 이 명령어를 사용해 외부 IP를 찾을 수 있다.
kubectl get service frontend --watch
frontend
서비스의 구성을 보여주고, 변경 사항을
주시한다. 처음에, 외부 IP는 <pending>
으로 나열된다.
NAME TYPE CLUSTER-IP EXTERNAL-IP PORT(S) AGE
frontend LoadBalancer 10.51.252.116 <pending> 80/TCP 10s
하지만, 외부 IP가 생성되자마자 구성은
EXTERNAL-IP
제목 아래에 새로운 IP를 포함하여 갱신한다.
NAME TYPE CLUSTER-IP EXTERNAL-IP PORT(S) AGE
frontend LoadBalancer 10.51.252.116 XXX.XXX.XXX.XXX 80/TCP 1m
이제 해당 IP는 클러스터 외부에서 frontend
서비스와 통신하는데
사용된다.
이제 프론트엔드와 백엔드가 연결되었다. 프론트엔드 서비스의 외부 IP에서 curl 명령을 사용해 엔드포인트에 도달할 수 있다.
curl http://${EXTERNAL_IP} # 앞의 예에서 본 EXTERNAL-IP로 수정한다
결과로 백엔드에서 생성된 메시지가 보인다.
{"message":"Hello"}
서비스를 삭제하기 위해,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자.
kubectl delete services frontend backend
백엔드와 프론트엔드 애플리케이션에서 실행 중인 디플로이먼트, 레플리카셋, 파드를 삭제하기 위해,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자.
kubectl delete deployment frontend backend
이 문서는 kubectl을 이용하여 클러스터 내 모든 컨테이너 이미지 목록을 조회하는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버전 확인을 위해서, 다음 커맨드를 실행kubectl version
.
이 작업에서는 kubectl을 사용하여 클러스터 내 모든 파드의 정보를 조회하고, 결과값의 서식을 변경하여 각 파드에 대한 컨테이너 이미지 목록으로 재구성할 것이다.
kubectl get pods --all-namespaces
를 사용하여 모든 네임스페이스의 모든 파드 정보를 가져온다.-o jsonpath={.items[*].spec.containers[*].image}
를 사용한다.
이 명령어는 결과값으로 받은 json을 반복적으로 파싱하여,
image
필드만을 출력한다.
tr
, sort
, uniq
tr
을 사용하여 공백을 줄 바꾸기로 대체한다.sort
를 사용하여 결과값을 정렬한다.uniq
를 사용하여 이미지 개수를 합산한다.kubectl get pods --all-namespaces -o jsonpath="{.items[*].spec.containers[*].image}" |\
tr -s '[[:space:]]' '\n' |\
sort |\
uniq -c
이 커맨드는 결과값으로 나온 모든 아이템 중에 image
라고 명명된 필드를
모두 출력한다.
이와 다른 방법으로 파드 이미지 필드 값의 절대 경로를 사용할 수 있다.
이것은 필드명이 반복될 때에도
정확한 값을 출력하도록 보장한다.
예) 결과값 중에 많은 필드들이 name
으로 명명되었을 경우,
kubectl get pods --all-namespaces -o jsonpath="{.items[*].spec.containers[*].image}"
이 jsonpath는 다음과 같이 해석할 수 있다.
.items[*]
: 각 결과값에 대하여.spec
: spec 값을 가져온다..containers[*]
: 각 컨테이너에 대하여.image
: image 값을 가져온다.kubectl get pod nginx
라면,
jsonpath에서 .items[*]
부분은 생략해야 하는데, 이는 명령어가 아이템 목록이 아닌
단 한 개의 아이템(여기선 파드)으로 결과값을 주기 때문이다.
range
연산을 사용하여 명령어의 결과값에서 각각의 요소들을
반복하여 출력할 수 있다.
kubectl get pods --all-namespaces -o=jsonpath='{range .items[*]}{"\n"}{.metadata.name}{":\t"}{range .spec.containers[*]}{.image}{", "}{end}{end}' |\
sort
특정 레이블에 맞는 파드를 지정하기 위해서 -l 플래그를 사용한다. 아래의
명령어 결과값은 app=nginx
레이블에 일치하는 파드만 출력한다.
kubectl get pods --all-namespaces -o=jsonpath="{.items[*].spec.containers[*].image}" -l app=nginx
특정 네임스페이스의 파드를 지정하려면, 네임스페이스 플래그를 사용한다.
아래의 명령어 결과값은 kube-system
네임스페이스에 있는 파드만 출력한다.
kubectl get pods --namespace kube-system -o jsonpath="{.items[*].spec.containers[*].image}"
jsonpath의 대안으로 Kubectl은 Go 템플릿을 지원한다. 다음과 같이 결과값의 서식을 지정할 수 있다.
kubectl get pods --all-namespaces -o go-template --template="{{range .items}}{{range .spec.containers}}{{.image}} {{end}}{{end}}"
이 페이지에서는 동일한 파드에서 실행 중인 두 개의 컨테이너 간에 통신할 때에, 어떻게 볼륨을 이용하는지 살펴본다. 컨테이너 간에 프로세스 네임스페이스 공유하기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방법을 참고하자.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버전 확인을 위해서, 다음 커맨드를 실행kubectl version
.
이 실습에서 두 개의 컨테이너를 실행하는 파드를 생성한다. 이 컨테이너들은 통신에 사용할 수 있는 볼륨을 공유한다. 아래는 이 파드의 구성 파일이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two-containers
spec:
restartPolicy: Never
volumes:
- name: shared-data
emptyDir: {}
containers:
- name: nginx-container
image: nginx
volumeMounts:
- name: shared-data
mountPath: /usr/share/nginx/html
- name: debian-container
image: debian
volumeMounts:
- name: shared-data
mountPath: /pod-data
command: ["/bin/sh"]
args: ["-c", "echo debian 컨테이너에서 안녕하세요 > /pod-data/index.html"]
이 구성 파일에는 파드가 shared-data
로 명명한 볼륨을 가진 것을
알 수 있다.
첫 번째 컨테이너에는 nginx 웹 서버를 실행하는 구성 파일이 나열되어 있다.
공유 볼륨의 마운트 경로는 /usr/share/nginx/html
이다.
두 번째 컨테이너는 debian 이미지 기반이고, 마운트 경로는 /pod-data
이다.
두 번째 컨테이너는 다음 명령어를 실행한 후에 종료한다.
echo debian 컨테이너에서 안녕하세요 > /pod-data/index.html
두 번째 컨테이너는 index.html
파일을
nginx 웹 서버에서 호스팅하는 문서의 루트 디렉터리(/usr/share/nginx/html/
)에 저장한다.
이제, 파드와 두 개의 컨테이너를 생성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pods/two-container-pod.yaml
파드와 컨테이너의 정보를 확인한다.
kubectl get pod two-containers --output=yaml
출력의 일부는 다음과 같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
name: two-containers
namespace: default
...
spec:
...
containerStatuses:
- containerID: docker://c1d8abd1 ...
image: debian
...
lastState:
terminated:
...
name: debian-container
...
- containerID: docker://96c1ff2c5bb ...
image: nginx
...
name: nginx-container
...
state:
running:
...
Debian 컨테이너가 종료되었음을 알 수 있고, nginx 컨테이너는 아직 실행 중이다.
nginx 컨테이너의 쉘(shell)을 실행한다.
kubectl exec -it two-containers -c nginx-container -- /bin/bash
쉘에서 nginx 웹 서버가 실행 중인지 확인한다.
root@two-containers:/# apt-get update
root@two-containers:/# apt-get install curl procps
root@two-containers:/# ps aux
출력은 아래와 유사하다.
USER PID ... STAT START TIME COMMAND
root 1 ... Ss 21:12 0:00 nginx: master process nginx -g daemon off;
Debian 컨테이너에서 nginx 웹 서버가 호스팅하는 문서의 루트 디렉터리에 index.html
파일을 생성했었음을 상기하자.
curl
을 이용하여 nginx 웹 서버에 HTTP GET 요청을 보낸다.
root@two-containers:/# curl localhost
출력을 보면, nginx 웹 서버에서 debian 컨테이너에서 쓰여진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다.
debian 컨테이너에서 안녕하세요
파드가 여러 컨테이너를 가질 수 있는 주요 이유는 기본 애플리케이션을 보조할 도우미(helper)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해서이다. 도우미 애플리케이션의 일반적인 예로는 데이터를 가지고 오는 경우(data puller)나 데이터를 보내주는 경우(data pusher)이거나 프록시가 있다. 도우미와 기본 애플리케이션은 종종 서로 간에 통신을 해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는 이번 예제에서 살펴본 것 같이, 공유 파일 시스템을 통하거나, 루프백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곧 로컬 호스트(localhost)를 통해서 이뤄진다. 이 패턴의 한가지 예는 웹 서버가 도우미 프로그램과 함께 Git 저장소에서 새 업데이트를 받아오는 경우이다.
이 예제에서 볼륨은 파드의 생명 주기 동안 컨테이너를 위한 통신 방법으로 이용했다. 파드가 삭제되고 재생성되면, 공유 볼륨에 저장된 데이터는 잃어버린다.
합성 컨테이너(composite container) 패턴에 관하여 더 공부한다.
모듈 구조를 위한 합성 컨테이너 구조에 관하여 더 공부한다.
파드에서 저장소로 볼룸을 사용하도록 구성하기에 관하여 확인한다.
볼륨을 확인한다.
파드을 확인한다.
쿠버네티스는 지원하는 모든 환경에서 기본으로 활성화된 DNS 클러스터 애드온을 제공한다. 쿠버네티스 1.11과 이후 버전에서는, CoreDNS가 권장되고 기본적으로 kubeadm과 함께 설치 된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의 CoreDNS 설정에 대한 더 많은 정보는, DNS 서비스 사용자화 하기을 본다. kube-dns와 함께 쿠버네티스 DNS를 사용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예시는 쿠버네티스 DNS 샘플 플러그인을 본다.
이 페이지는 노드에서 동작 중인(혹은 크래시된) 파드를 디버그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kubectl
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디버깅 과정에서는 이러한 접근 권한이 필요하지 않다.먼저, 확인하고자 하는 컨테이너의 로그를 확인한다.
kubectl logs ${POD_NAME} ${CONTAINER_NAME}
만약 컨테이너가 이전에 크래시 되었다면, 다음의 명령을 통해 컨테이너의 크래시 로그를 살펴볼 수 있다.
kubectl logs --previous ${POD_NAME} ${CONTAINER_NAME}
만약 컨테이너 이미지에
디버깅 도구가 포함되어 있다면, kubectl exec
을 통해 특정 컨테이너에서 해당 명령들을
실행할 수 있다. (리눅스나 윈도우 OS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이미지에는 대부분 디버깅 도구를 포함하고
있다.)
kubectl exec ${POD_NAME} -c ${CONTAINER_NAME} -- ${CMD} ${ARG1} ${ARG2} ... ${ARGN}
-c ${CONTAINER_NAME}
인자는 선택적이다. 만약 하나의 컨테이너만 포함된 파드라면 해당 옵션을 생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중인 카산드라 파드의 로그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kubectl exec cassandra -- cat /var/log/cassandra/system.log
kubectl exec
에 -i
와 -t
옵션을 사용해서 터미널에서 접근할 수 있는 쉘을 실행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kubectl exec -it cassandra -- sh
더욱 상세한 내용은 다음 동작중인 컨테이너의 쉘에 접근하기를 참고하라.
Kubernetes v1.18 [alpha]
컨테이너가 크래시 됐거나 distroless 이미지처럼
컨테이너 이미지에 디버깅 도구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
kubectl exec
가 충분하지 않을 경우에는
임시(Ephemeral) 컨테이너를 사용하는 것이
인터랙티브한 트러블슈팅에 유용하다. kubectl
v1.18
버전부터는 임시 컨테이너를 생성할 수 있는 알파 단계의
명령어가 있다.
EphemeralContainers
기능 게이트가
활성화되어 있어야 하고 kubectl
의 버전이 v1.18 이상이어야 한다.
kubectl debug
명령어를 사용해서 동작 중인 파드에 임시 컨테이너를 추가할 수 있다.
먼저, 다음과 같이 파드를 추가한다.
kubectl run ephemeral-demo --image=k8s.gcr.io/pause:3.1 --restart=Never
이 섹션의 예시에서는 디버깅 도구가 포함되지 않은 이미지의 사례를 보여드리기 위해
pause
컨테이너 이미지를 사용했는데, 이 대신 어떠한 이미지를 사용해도
될 것이다.
만약 kubectl exec
을 통해 쉘을 생성하려 한다면 다음과 같은 에러를
확인할 수 있을 텐데, 그 이유는 이 이미지에 쉘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kubectl exec -it ephemeral-demo -- sh
OCI runtime exec failed: exec failed: container_linux.go:346: starting container process caused "exec: \"sh\": executable file not found in $PATH": unknown
이 명령어 대신 kubectl debug
을 사용해서 디버깅 컨테이너를 생성할 수 있다.
만약 -i
/--interactive
인자를 사용한다면, kubectl
은 임시
컨테이너의 콘솔에 자동으로 연결할 것이다.
kubectl debug -it ephemeral-demo --image=busybox --target=ephemeral-demo
Defaulting debug container name to debugger-8xzrl.
If you don't see a command prompt, try pressing enter.
/ #
이 명령어는 새로운 busybox 컨테이너를 추가하고 해당 컨테이너로 연결한다. --target
파라미터를 사용하면 다른 컨테이너의 프로세스 네임스페이스를 대상으로 하게 된다. 여기서는
이 옵션이 꼭 필요한데, kubectl run
이 생성하는 파드에 대해
프로세스 네임스페이스 공유를
활성화하지 않기 때문이다.
--target
파라미터는 사용 중인 컨테이너 런타임에서
지원해야지만 사용할 수 있다. 만일 지원되지 않는다면,
임시 컨테이너가 시작되지 않을 수 있거나 독립적인 프로세스
네임스페이스를 가지고 시작될 수 있다.
kubectl describe
명령을 사용하면 새롭게 생성된 임시 컨테이너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kubectl describe pod ephemeral-demo
...
Ephemeral Containers:
debugger-8xzrl:
Container ID: docker://b888f9adfd15bd5739fefaa39e1df4dd3c617b9902082b1cfdc29c4028ffb2eb
Image: busybox
Image ID: docker-pullable://busybox@sha256:1828edd60c5efd34b2bf5dd3282ec0cc04d47b2ff9caa0b6d4f07a21d1c08084
Port: <none>
Host Port: <none>
State: Running
Started: Wed, 12 Feb 2020 14:25:42 +0100
Ready: False
Restart Count: 0
Environment: <none>
Mounts: <none>
...
디버깅이 다 끝나면 kubectl delete
을 통해 파드를 제거할 수 있다.
kubectl delete pod ephemeral-demo
때때로 파드의 설정 옵션에 따라 특정 상황에서 트러블슈팅을 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일 여러분의 컨테이너 이미지가 쉘을 포함하고 있지 않거나, 여러분의
애플리케이션이 컨테이너 시작에서 크래시가 발생한다면 kubectl exec
을 이용해서
컨테이너를 트러블슈팅할 수 없을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kubectl debug
을 사용해서
파드의 복제본을 디버깅을 위한 추가적인 설정 옵션과 함께 생성할 수 있다.
만일 여러분의 애플리케이션이 동작은 하고 있지만 예상과는 다르게 동작하는 경우, 파드의 복제본에 새로운 컨테이너를 추가함으로써 추가적인 트러블슈팅 도구들을 파드에 함께 추가할 수 있다.
가령, 여러분의 애플리케이션 컨테이너 이미지는 busybox
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데
여러분은 busybox
에는 없는 디버깅 도구를 필요로 한다고 가정해 보자. 이러한
시나리오는 kubectl run
명령을 통해 시뮬레이션 해볼 수 있다.
kubectl run myapp --image=busybox --restart=Never -- sleep 1d
다음의 명령을 실행시켜 디버깅을 위한 새로운 우분투 컨테이너와 함께 myapp-debug
이란
이름의 myapp
컨테이너 복제본을 생성할 수 있다.
kubectl debug myapp -it --image=ubuntu --share-processes --copy-to=myapp-debug
Defaulting debug container name to debugger-w7xmf.
If you don't see a command prompt, try pressing enter.
root@myapp-debug:/#
--container
플래그와 함께 지정하지 않는다면,
kubectl debug
는 자동으로 새로운 컨테이너 이름을 생성한다.-i
플래그를 사용하면 kubectl debug
명령이 새로운 컨테이너에 기본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은 --attach=false
을 지정하여 방지할 수 있다. 만일 여러분의 세션이
연결이 끊어진다면 kubectl attach
를 사용해서 다시 연결할 수 있다.--share-processes
옵션은 이 파드에 있는 컨테이너가 해당 파드에 속한 다른 컨테이너의
프로세스를 볼 수 있도록 한다. 이 옵션이 어떻게 동작하는지에 대해 더 알아보기 위해서는
다음의 파드의 컨테이너 간 프로세스 네임스페이스 공유를 참고하라.사용이 모두 끝나면, 디버깅에 사용된 파드를 잊지 말고 정리한다.
kubectl delete pod myapp myapp-debug
때때로 컨테이너의 명령어를 변경하는 것이 유용한 경우가 있는데, 예를 들면 디버그 플래그를 추가하기 위해서나 애플리케이션이 크래시 되는 경우이다.
다음의 kubectl run
명령을 통해 즉각적으로 크래시가 발생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사례를 시뮬레이션해 볼 수 있다.
kubectl run --image=busybox myapp -- false
kubectl describe pod myapp
명령을 통해 이 컨테이너에 크래시가 발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Containers:
myapp:
Image: busybox
...
Args:
false
State: Waiting
Reason: CrashLoopBackOff
Last State: Terminated
Reason: Error
Exit Code: 1
이러한 경우에 kubectl debug
을 통해 명령어를 지정함으로써 해당 파드의
복제본을 인터랙티브 쉘로 생성할 수 있다.
kubectl debug myapp -it --copy-to=myapp-debug --container=myapp -- sh
If you don't see a command prompt, try pressing enter.
/ #
이제 인터랙티브 쉘에 접근할 수 있으니 파일 시스템 경로를 확인하거나 동작 중인 컨테이너의 명령어를 직접 확인하는 등의 작업이 가능하다.
--container
옵션을 통해 해당 컨테이너의
이름을 지정해야만 한다. 이름을 지정하지 않는다면 kubectl debug
은 이전에 지정한 명령어를
그대로 사용해서 컨테이너를 생성할 것이다.-i
플래그는 kubectl debug
명령이 컨테이너에 바로 연결되도록 한다.
이러한 동작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attach=false
옵션을 지정할 수 있다. 만약 여러분이 세션이
종료된다면 kubectl attach
명령을 통해 다시 연결할 수 있다.사용이 모두 끝나면, 디버깅에 사용된 파드들을 잊지 말고 정리한다.
kubectl delete pod myapp myapp-debug
특정한 경우에 여러분은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파드의 이미지를 기존 프로덕션 컨테이너 이미지에서 디버깅 빌드나 추가적인 도구를 포함한 이미지로 변경하고 싶을 수 있다.
이 사례를 보여주기 위해 kubectl run
명령을 통해 파드를 생성하였다.
kubectl run myapp --image=busybox --restart=Never -- sleep 1d
여기서는 kubectl debug
명령을 통해 해당 컨테이너 이미지를 ubuntu
로 변경하며
복제본을 생성하였다.
kubectl debug myapp --copy-to=myapp-debug --set-image=*=ubuntu
--set-image
의 문법은 kubectl set image
와 동일하게 container_name=image
형식의 문법을 사용한다. *=ubuntu
라는 의미는 모든 컨테이너의 이미지를 ubuntu
로
변경하겠다는 의미이다.
사용이 모두 끝나면, 디버깅에 사용된 파드를 잊지 말고 정리한다.
kubectl delete pod myapp myapp-debug
만약 위의 어떠한 방법도 사용할 수 없다면, 파드가 현재 동작 중인 노드를 찾아
호스트의 네임스페이스로 동작하는 특권 파드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 kubectl debug
명령을 통해 해당 노드에서 인터랙티브한 쉘을 생성할 수 있다.
kubectl debug node/mynode -it --image=ubuntu
Creating debugging pod node-debugger-mynode-pdx84 with container debugger on node mynode.
If you don't see a command prompt, try pressing enter.
root@ek8s:/#
노드에서 디버깅 세션을 생성할 때 유의해야 할 점은 다음과 같다.
kubectl debug
는 노드의 이름에 기반해 새로운 파드의 이름을
자동으로 생성한다./host
에 마운트된다.사용이 모두 끝나면, 디버깅에 사용된 파드를 잊지 말고 정리한다.
kubectl delete pod node-debugger-mynode-pdx84
컨테이너 CPU 및 메모리 사용량과 같은 리소스 사용량 메트릭은
쿠버네티스의 메트릭 API를 통해 사용할 수 있다. 이 메트릭은
kubectl top
커맨드 사용하여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액세스하거나,
Horizontal Pod Autoscaler 같은 클러스터의 컨트롤러에서 결정을 내릴 때 사용될 수 있다.
메트릭 API를 통해, 주어진 노드나 파드에서 현재 사용중인 리소스의 양을 알 수 있다. 이 API는 메트릭 값을 저장하지 않으므로, 예를 들어, 지정된 노드에서 10분 전에 사용된 리소스의 양을 가져오는 것과 같은 일을 할 수는 없다.
이 API와 다른 API는 차이가 없다.
/apis/metrics.k8s.io/
하위 경로에서 발견될 수 있다k8s.io/metrics 리포지터리에서 이 API를 정의하고 있다. 여기에서 이 API에 대한 더 상세한 정보를 찾을 수 있다.
CPU는 일정 기간 동안 CPU 코어에서 평균 사용량으로 리포트된다. 이 값은 커널(리눅스와 윈도우 커널 모두)에서 제공하는 누적 CPU 카운터보다 높은 비율을 적용해서 얻는다. kubelet은 비율 계산에 사용할 윈도우를 선택한다.
메모리는 메트릭이 수집된 순간 작업 집합으로 리포트 된다. 이상적인 환경에서 "작업 집합(working set)"은 압박(memory pressure)에서 풀려날 수 없는 사용 중인(in-use) 메모리의 양이다. 그러나 작업 집합의 계산은 호스트 OS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 휴리스틱스를 사용해서 평가한다. 쿠버네티스는 스왑(swap)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모든 익명(파일로 백업되지 않은) 메모리를 포함한다. 호스트 OS가 항상 이러한 페이지를 회수할 수 없기 때문에 메트릭에는 일반적으로 일부 캐시된(파일 백업) 메모리도 포함된다.
메트릭 서버는 클러스터 전역에서 리소스 사용량 데이터를 집계한다.
kube-up.sh
스크립트에 의해 생성된 클러스터에는 기본적으로 메트릭 서버가
디플로이먼트 오브젝트로 배포된다. 만약 다른 쿠버네티스 설치 메커니즘을 사용한다면, 제공된
디플로이먼트 components.yaml 파일을 사용하여 메트릭 서버를 배포할 수 있다.
메트릭 서버는 각 노드에서 Kubelet에 의해 노출된 Summary API에서 메트릭을 수집하고, 쿠버네티스 aggregator를 통해 메인 API 서버에 등록된다.
설계 문서에서 메트릭 서버에 대해 자세하게 배울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스케일하여 신뢰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애플리케이션이 배포되었을 때 애플리케이션이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이해해야 한다. 컨테이너, 파드, 서비스, 그리고 전체 클러스터의 특성을 검사하여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내의 애플리케이션 성능을 검사할 수 있다. 쿠버네티스는 각 레벨에서 애플리케이션의 리소스 사용량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한다. 이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평가하고 병목 현상을 제거하여 전체 성능을 향상할 수 있게 해준다.
쿠버네티스에서 애플리케이션 모니터링은 단일 모니터링 솔루션에 의존하지 않는다. 신규 클러스터에서는, 리소스 메트릭 또는 완전한 메트릭 파이프라인으로 모니터링 통계를 수집할 수 있다.
리소스 메트릭 파이프라인은
Horizontal Pod Autoscaler
컨트롤러와 같은 클러스터 구성요소나
kubectl top
유틸리티에 관련되어 있는
메트릭들로 제한된 집합을 제공한다. 이 메트릭은 경량의 단기 인메모리 저장소인
metrics-server에
의해서 수집되며 metrics.k8s.io
API를 통해 노출된다.
metrics-server는 클러스터 상의 모든 노드를 발견하고 각 노드의
Kubelet에 CPU와 메모리
사용량을 질의한다. Kubelet은 쿠버네티스 마스터와 노드 간의 다리 역할을 해서
머신에서 구동되는 파드와 컨테이너를 관리한다. Kubelet은 각각의 파드를 해당하는
컨테이너로 변환하고 컨테이너 런타임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컨테이너 런타임에서
개별 컨테이너의 사용량 통계를 가져온다. Kubelet은 이 정보를 레거시 도커와의
통합을 위해 kubelet에 통합된 cAdvisor를 통해 가져온다. 그 다음으로 취합된 파드
리소스 사용량 통계를 metric-server 리소스 메트릭 API를 통해 노출한다. 이 API는
kubelet의 인증이 필요한 읽기 전용 포트 상의 /metrics/resource/v1beta1
에서
제공된다.
완전한 메트릭 파이프라인은 보다 풍부한 메트릭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준다.
쿠버네티스는 Horizontal Pod Autoscaler와 같은 메커니즘을 활용해서 이런 메트릭에
대한 반응으로 클러스터의 현재 상태를 기반으로 자동으로 스케일링하거나 클러스터를
조정할 수 있다. 모니터링 파이프라인은 kubelet에서 메트릭을 가져와서 쿠버네티스에
custom.metrics.k8s.io
와 external.metrics.k8s.io
API를 구현한 어댑터를 통해
노출한다.
CNCF 프로젝트인, 프로메테우스는 기본적으로 쿠버네티스, 노드, 프로메테우스 자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CNCF 프로젝트가 아닌 완전한 메트릭 파이프라인 프로젝트는 쿠버네티스 문서의 범위가 아니다.
이 페이지는 초기화 컨테이너의 실행과 관련된 문제를
조사하는 방법에 대해 보여준다. 아래 예제의 커맨드 라인은 파드(Pod)를 <pod-name>
으로,
초기화 컨테이너를 <init-container-1>
과
<init-container-2>
로 표시한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버전 확인을 위해서, 다음 커맨드를 실행kubectl version
.
사용자 파드의 상태를 표시한다.
kubectl get pod <pod-name>
예를 들어, Init:1/2
상태는 두 개의 초기화 컨테이너 중
하나가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음을 나타낸다.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pod-name> 0/1 Init:1/2 0 7s
상태값과 그 의미에 대한 추가 예제는 파드 상태 이해하기를 참조한다.
초기화 컨테이너의 실행에 대한 상세 정보를 확인한다.
kubectl describe pod <pod-name>
예를 들어, 2개의 초기화 컨테이너가 있는 파드는 다음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Init Containers:
<init-container-1>:
Container ID: ...
...
State: Terminated
Reason: Completed
Exit Code: 0
Started: ...
Finished: ...
Ready: True
Restart Count: 0
...
<init-container-2>:
Container ID: ...
...
State: Waiting
Reason: CrashLoopBackOff
Last State: Terminated
Reason: Error
Exit Code: 1
Started: ...
Finished: ...
Ready: False
Restart Count: 3
...
파드 스펙의 status.initContainerStatuses
필드를 읽어서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초기화 컨테이너의 상태를 조회할 수도 있다.
kubectl get pod nginx --template '{{.status.initContainerStatuses}}'
이 명령은 원시 JSON 방식으로 위와 동일한 정보를 반환한다.
초기화 컨테이너의 로그를 확인하기 위해 파드의 이름과 초기화 컨테이너의 이름을 같이 전달한다.
kubectl logs <pod-name> -c <init-container-2>
셸 스크립트를 실행하는 초기화 컨테이너는, 초기화 컨테이너가
실행될 때 명령어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스크립트의 시작 부분에
set -x
를 추가하고 실행하여 Bash에서 명령어를 출력할 수 있도록 수행할 수 있다.
Init:
으로 시작하는 파드 상태는 초기화 컨테이너의
실행 상태를 요약한다. 아래 표는 초기화 컨테이너를 디버깅하는
동안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몇 가지 상태값의 예이다.
상태 | 의미 |
---|---|
Init:N/M |
파드가 M 개의 초기화 컨테이너를 갖고 있으며, 현재까지 N 개가 완료. |
Init:Error |
초기화 컨테이너 실행 실패. |
Init:CrashLoopBackOff |
초기화 컨테이너가 반복적으로 실행 실패. |
Pending |
파드가 아직 초기화 컨테이너를 실행하지 않음. |
PodInitializing or Running |
파드가 이미 초기화 컨테이너 실행을 완료. |
이 페이지는 컨테이너 종료 메시지를 읽고 쓰는 방법을 보여준다.
종료 메시지는 컨테이너가 치명적인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대시보드나 모니터링 소프트웨어 도구와 같이 쉽게 조회 및 표시할 수 있는 위치에 기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대부분의 경우에 종료 메시지에 넣는 정보는 일반 쿠버네티스 로그에도 쓰여져야 한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버전 확인을 위해서, 다음 커맨드를 실행kubectl version
.
이 예제에서는, 하나의 컨테이너를 실행하는 파드를 생성한다. 하단의 설정 파일은 컨테이너가 시작될 때 수행하는 명령어를 지정한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termination-demo
spec:
containers:
- name: termination-demo-container
image: debian
command: ["/bin/sh"]
args: ["-c", "sleep 10 && echo Sleep expired > /dev/termination-log"]
다음의 YAML 설정 파일에 기반한 파드를 생성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debug/termination.yaml
YAML 파일에 있는 `command` 와 `args` 필드에서 컨테이너가 10초 간 잠든 뒤에
"Sleep expired" 문자열을 `/dev/termination-log` 파일에 기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컨테이너는 "Sleep expired" 메시지를
기록한 후에 종료된다.
파드와 관련된 정보를 출력한다.
kubectl get pod termination-demo
파드가 더 이상 실행되지 않을 때까지 앞선 명령어를 반복한다.
파드에 관한 상세 정보를 출력한다.
kubectl get pod termination-demo --output=yaml
결과는 "Sleep expired" 메시지를 포함한다.
apiVersion: v1
kind: Pod
...
lastState:
terminated:
containerID: ...
exitCode: 0
finishedAt: ...
message: |
Sleep expired
...
종료 메시지만을 포함하는 출력 결과를 보기 위해서는 Go 템플릿을 사용한다.
kubectl get pod termination-demo -o go-template="{{range .status.containerStatuses}}{{.lastState.terminated.message}}{{end}}"
쿠버네티스는 컨테이너의 terminationMessagePath
필드에 지정된
종료 메시지 파일에서 종료 메시지를 검색하며, 이 필드의 기본값은
/dev/termination-log
이다. 이 필드를 사용자 정의 함으로써
쿠버네티스가 종료 메시지를 검색할 때 다른 파일을 사용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쿠버네티스는 지정된 파일의 내용을 사용하여 컨테이너의 성공 및 실패에 대한 상태 메시지를 채운다.
종료 메시지는 assertion failure 메세지처럼 간결한 최종 상태로 생성된다.
kubelet은 4096 바이트보다 긴 메시지를 자른다. 모든 컨테이너의 총 메시지 길이는
12KiB로 제한된다. 기본 종료 메시지 경로는 /dev/termination-log
이다.
파드가 시작된 후에는 종료 메시지 경로를 설정할 수 없다.
다음의 예제에서 컨테이너는, 쿠버네티스가 조회할 수 있도록
/tmp/my-log
파일에 종료 메시지를 기록한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msg-path-demo
spec:
containers:
- name: msg-path-demo-container
image: debian
terminationMessagePath: "/tmp/my-log"
또한 사용자는 추가적인 사용자 정의를 위해 컨테이너의 terminationMessagePolicy
필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이 필드의 기본 값은 File
이며,
이는 오직 종료 메시지 파일에서만 종료 메시지가 조회되는 것을 의미한다.
terminationMessagePolicy
필드의 값을 "FallbackToLogsOnError
으로
설정함으로써, 종료 메시지 파일이 비어 있고 컨테이너가 오류와 함께 종료 되었을 경우
쿠버네티스가 컨테이너 로그 출력의 마지막 청크를 사용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로그 출력은 2048 바이트나 80 행 중 더 작은 값으로 제한된다.
이 페이지에서는 파드와 레플리케이션컨트롤러를 디버깅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버전 확인을 위해서, 다음 커맨드를 실행kubectl version
.
파드 디버깅의 첫 번째 단계는 파드를 살펴 보는 것이다. 다음의 명령어를 사용하여 파드의 현재 상태와 최근 이벤트를 점검한다.
kubectl describe pods ${POD_NAME}
파드 내부 컨테이너의 상태를 확인한다. 모두 Running
상태인가?
최근에 재시작 되었는가?
파드의 상태에 따라 디버깅을 계속한다.
파드가 Pending
상태로 멈춰 있는 경우는, 노드에 스케줄 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이것은 어떤 유형의 리소스가 부족하거나 스케줄링을 방해하는 다른 요인 때문이다.
상단의 kubectl describe ...
명령의 결과를 확인하자.
파드를 스케줄 할 수 없는 이유에 대한 스케줄러의 메세지가 있어야 한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사용자 클러스터의 CPU 나 Memory의 공급이 소진되었을 수 있다. 이 경우 몇 가지 방법을 시도할 수 있다.
클러스터에 노드를 더 추가하기.
pending 상태인 파드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불필요한 파드 종료하기
파드가 노드보다 크지 않은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모든
노드가 cpu:1
의 용량을 가지고 있을 경우, cpu: 1.1
을 요청하는 파드는
절대 스케줄 될 수 없다.
사용자는 kubectl get nodes -o <format>
명령으로 노드의
용량을 점검할 수 있다. 다음은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는 몇 가지
명령의 예이다.
kubectl get nodes -o yaml | egrep '\sname:|cpu:|memory:'
kubectl get nodes -o json | jq '.items[] | {name: .metadata.name, cap: .status.capacity}'
리소스 쿼터 기능은 사용할 수 있는 전체 리소스의 양을 제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네임스페이스와 함께 사용하면, 한 팀이 모든 리소스를 점유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파드를 hostPort
에 바인딩 할 때 파드를 스케줄링 할 수 있는
위치는 제한되어 있다. 대부분의 경우 hostPort
는 불필요하다. 서비스 오브젝트를
사용하여 파드를 노출하도록 한다. hostPort
가 필요한 경우
컨테이너 클러스터에 있는 노드의 수만큼 파드를 스케줄 할 수 있다.
파드가 Waiting
상태에서 멈춘 경우, 워커 노드에 스케줄 되었지만, 해당 장비에서 사용할 수 없다.
거듭 강조하지만, kubectl describe ...
의 정보는 유익하게 사용되어야 한다.
Waiting
파드의 가장 일반적인 원인은 이미지를 가져오지 못하는 경우이다.
확인해야 할 3가지 사항이 있다.
docker pull <image>
를 수동으로
실행한다.일단 사용자의 파드가 스케줄 되면, 구동중인 파드 디버그하기에 기술된 메서드를 디버깅에 사용할 수 있다.
레플리케이션컨트롤러는 매우 간단하다. 이 오브젝트는 파드를 만들거나 만들 수 없는 경우뿐이다. 만약 파드를 만들 수 없는 경우, 위의 지침을 참조하여 파드를 디버그한다.
사용자는 kubectl describe rc ${CONTROLLER_NAME}
을 사용하여 레플리케이션 컨트롤러와
관련된 이벤트를 검사할 수도 있다.
애그리게이션 레이어(aggregation layer)와 작동하도록 확장 API 서버를 설정하면 쿠버네티스 API 서버를 쿠버네티스의 핵심 API의 일부가 아닌 추가 API로 확장할 수 있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버전 확인을 위해서, 다음 커맨드를 실행kubectl version
.
다음 단계는 확장 API 서버를 높은 수준 으로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 단계는 YAML 구성을 사용하거나 API를 사용하는 것에 상관없이 적용된다. 둘 사이의 차이점을 구체적으로 식별하려고 시도한다. YAML 구성을 사용하여 구현하는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예를 보려면, 쿠버네티스 리포지터리에서 sample-apiserver를 참고할 수 있다.
또는, apiserver-builder와 같은 기존의 타사 솔루션을 사용하여 스켈레톤(skeleton)을 생성하고 다음 단계를 모두 자동화해야 한다.
--runtime-config
확인). 클러스터에서 일부러 해제하지 않았다면, 기본적으로 활성화되어 있어야 한다.<service name>.<service name namespace>.svc
형식이다.system:auth-delegator
클러스터 롤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롤 바인딩을 만들어 인증 결정을 쿠버네티스 핵심 API 서버에 위임한다.extension-apiserver-authentication-reader
롤로 쿠버네티스 롤 바인딩을 생성한다. 이를 통해 확장 API 서버가 extension-apiserver-authentication
컨피그맵(configmap)에 접근할 수 있다.이 페이지는 kubelet에 대한 인증서 갱신을 활성화하고 구성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Kubernetes v1.19 [stable]
kubelet은 쿠버네티스 API 인증을 위해 인증서를 사용한다. 기본적으로 이러한 인증서는 1년 만기로 발급되므로 너무 자주 갱신할 필요는 없다.
쿠버네티스는 kubelet 인증서 갱신을 포함하며, 이 기능은 현재 인증서의 만료 시한이 임박한 경우, 새로운 키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쿠버네티스 API에서 새로운 인증서를 요청하는 기능이다. 새로운 인증서를 사용할 수 있게 되면 쿠버네티스 API에 대한 연결을 인증하는데 사용된다.
kubelet
프로세스는 현재 사용 중인 인증서의 만료 시한이 다가옴에 따라
kubelet이 자동으로 새 인증서를 요청할지 여부를 제어하는
--rotate-certificates
인자를 허용한다.
kube-controller-manager
프로세스는 얼마나 오랜 기간 인증서가 유효한지를 제어하는
--cluster-signing-duration
(1.19 이전은 --experimental-cluster-signing-duration
)
인자를 허용한다.
kubelet이 시작할 때 부트 스트랩 (--bootstrap-kubeconfig
플래그를 사용)
을 구성하면 초기 인증서를 사용하여 쿠버네티스 API에 연결하고
인증서 서명 요청을 발행한다.
다음을 사용하여 인증서 서명 요청 상태를 볼 수 있다.
kubectl get csr
초기에 노드의 kubelet에서 인증서 서명 요청은 Pending
상태이다.
인증서 서명 요청이 특정 기준을 충족하면 컨트롤러 관리자가
자동으로 승인한 후 상태가 Approved
가 된다.
다음으로, 컨트롤러 관리자는
--cluster-signing-duration
파라미터에 의해 지정된 기간 동안
발행된 인증서에 서명하고
서명된 인증서는 인증서 서명 요청에 첨부된다.
kubelet은 쿠버네티스 API로 서명된 인증서를 가져와서
--cert-dir
에 지정된 위치에 디스크에 기록한다.
그런 다음 kubelet은 쿠버네티스 API에 연결해서 새로운 인증서를 사용한다.
서명된 인증서의 만료가 다가오면 kubelet은 쿠버네티스 API를 사용하여 새로운 인증서 서명 요청을 자동으로 발행한다. 이는 인증서 유효 기간이 30%-10% 남은 시점에 언제든지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 관리자는 인증서 요청을 자동으로 승인하고 서명된 인증서를 인증서 서명 요청에 첨부한다. kubelet은 쿠버네티스 API로 서명된 새로운 인증서를 가져와서 디스크에 쓴다. 그런 다음 새로운 인증서를 사용한 재연결을 위해서 가지고 있는 쿠버네티스 API로의 연결을 업데이트 한다.
쿠버네티스는 사용자가 제어하는 인증 기관 (CA)에서 서명한 TLS 인증서를
프로비저닝 할 수 있는 certificates.k8s.io
API를 제공한다.
이러한 CA 및 인증서는 워크로드 간의 신뢰 관계를 구성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certificates.k8s.io
API는 ACME 초안과
유사한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certificates.k8s.io
API를 사용하여 생성된 인증서는 전용 CA로 서명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클러스터 루트 CA를 사용하도록 클러스터를
구성할 수 있지만, 절대 이에 의존해서는 안된다.
해당 인증서가 클러스터 루트 CA에 대해 유효성을 검사한다고 가정하면 안된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버전 확인을 위해서, 다음 커맨드를 실행kubectl version
.
파드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정의 CA를 신뢰하려면
일반적으로 몇 가지 추가 애플리케이션 구성이 필요하다.
TLS 클라이언트 또는 서버가 신뢰하는 CA 인증서 목록에
CA 인증서 번들을 추가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인증서 체인을 파싱하고, 파싱된 인증서를 tls.Config
구조체의
RootCAs
필드에 추가하여, golang TLS 구성으로 이를 수행할 수 있다.
CA 인증서를 파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ConfigMap으로 배포할 수 있다.
다음 섹션에서는 DNS를 통해 액세스되는 쿠버네티스 서비스의 TLS 인증서를 생성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이 예제에 사용된 cfssl 도구는 https://github.com/cloudflare/cfssl/releases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다.
다음 명령을 실행하여 개인 키 및 인증서 서명 요청(또는 CSR)을 생성한다.
cat <<EOF | cfssl genkey - | cfssljson -bare server
{
"hosts": [
"my-svc.my-namespace.svc.cluster.local",
"my-pod.my-namespace.pod.cluster.local",
"192.0.2.24",
"10.0.34.2"
],
"CN": "system:node:my-pod.my-namespace.pod.cluster.local",
"key": {
"algo": "ecdsa",
"size": 256
},
"names": [
{
"O": "system:nodes"
}
]
}
EOF
여기서 192.0.2.24
는 서비스의 클러스터 IP,
my-svc.my-namespace.svc.cluster.local
은 서비스의 DNS 이름,
10.0.34.2
는 파드의 IP,my-pod.my-namespace.pod.cluster.local
은
파드의 DNS 이름이다. 다음 출력이 표시되어야 한다.
2017/03/21 06:48:17 [INFO] generate received request
2017/03/21 06:48:17 [INFO] received CSR
2017/03/21 06:48:17 [INFO] generating key: ecdsa-256
2017/03/21 06:48:17 [INFO] encoded CSR
이 명령은 두 개의 파일을 생성한다. PEM으로
인코딩된 pkcs#10
인증 요청이 포함된 server.csr
과 생성할 인증서 키를 PEM 인코딩한 값이
포함된 server-key.pem
을 생성한다.
CSR yaml blob을 생성하고 다음 명령을 실행하여 apiserver로 보낸다.
cat <<EOF | kubectl apply -f -
apiVersion: certificates.k8s.io/v1
kind: CertificateSigningRequest
metadata:
name: my-svc.my-namespace
spec:
request: $(cat server.csr | base64 | tr -d '\n')
signerName: kubernetes.io/kubelet-serving
usages:
- digital signature
- key encipherment
- server auth
EOF
1단계에서 만든 server.csr
파일은 base64로 인코딩되고
.spec.request
필드에 숨겨져 있다.
또한 kubernetes.io/kubelet-serving
서명자가 서명한
"digitalSignature", "keyEnciperment" 및 "serverAuth" 키 사용(keyUsage)이 있는 인증서를 요청한다.
특정 signerName
을 요청해야 한다.
자세한 내용은 지원되는 서명자 이름
문서를 참조한다.
이제 CSR이 API에서 보류 상태로 표시되어야 한다. 다음을 실행하여 확인할 수 있다.
kubectl describe csr my-svc.my-namespace
Name: my-svc.my-namespace
Labels: <none>
Annotations: <none>
CreationTimestamp: Tue, 21 Mar 2017 07:03:51 -0700
Requesting User: yourname@example.com
Status: Pending
Subject:
Common Name: my-svc.my-namespace.svc.cluster.local
Serial Number:
Subject Alternative Names:
DNS Names: my-svc.my-namespace.svc.cluster.local
IP Addresses: 192.0.2.24
10.0.34.2
Events: <none>
인증서 서명 요청을 승인하는 것은 자동화된 승인 프로세스나 클러스터 관리자에 의해 일회성으로 수행한다. 여기에 관련된 내용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설명한다.
CSR이 서명되고 승인되면 다음이 표시된다.
kubectl get csr
NAME AGE REQUESTOR CONDITION
my-svc.my-namespace 10m yourname@example.com Approved,Issued
다음을 실행하여 발급된 인증서를 다운로드하고 server.crt
파일에
저장할 수 있다.
kubectl get csr my-svc.my-namespace -o jsonpath='{.status.certificate}' \
| base64 --decode > server.crt
이제 server.crt
및 server-key.pem
을 키페어(keypair)로 사용하여
HTTPS 서버를 시작할 수 있다.
(적절한 권한이 있는) 쿠버네티스 관리자는
kubectl certificate approve
과 kubectl certificate deny
명령을 사용하여 인증서 서명 요청을 수동으로 승인 (또는 거부)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API를 많이 사용한다면,
자동화된 인증서 컨트롤러 작성을 고려할 수 있다.
위와 같이 kubectl을 사용하는 시스템이든 사람이든, 승인자의 역할은 CSR이 다음 두 가지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 두 가지 요구 사항이 충족되는 경우에만, 승인자가 CSR을 승인하고 그렇지 않으면 CSR을 거부해야 한다.
CSR을 승인하는 능력은 환경 내에서 누구를 신뢰하는지 결정한다. CSR 승인 능력은 광범위하거나 가볍게 부여해서는 안된다. 이 권한을 부여하기 전에 이전 섹션에서 언급한 요청의 요구 사항과 특정 인증서 발급의 영향을 완전히 이해해야 한다.
이 가이드에서는 서명자가 인증서 API를 제공하도록 설정되었다고 가정한다. 쿠버네티스
컨트롤러 관리자는 서명자의 기본 구현을 제공한다. 이를
활성화하려면 인증 기관(CA)의 키 쌍에 대한 경로와 함께 --cluster-signing-cert-file
와
--cluster-signing-key-file
매개 변수를
컨트롤러 관리자에 전달한다.
이 페이지는 데몬셋에서 롤링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데몬셋에는 두 가지 업데이트 전략 유형이 있다.
OnDelete
: OnDelete
업데이트 전략을 사용하여, 데몬셋 템플릿을 업데이트한 후,
이전 데몬셋 파드를 수동으로 삭제할 때 만 새 데몬셋 파드가
생성된다. 이것은 쿠버네티스 버전 1.5 이하에서의 데몬셋의 동작과
동일하다.RollingUpdate
: 기본 업데이트 전략이다.
RollingUpdate
업데이트 전략을 사용하여, 데몬셋 템플릿을
업데이트한 후, 오래된 데몬셋 파드가 종료되고, 새로운 데몬셋 파드는
제어 방식으로 자동 생성된다. 전체 업데이트 프로세스 동안
데몬셋의 최대 하나의 파드가 각 노드에서 실행된다.데몬셋의 롤링 업데이트 기능을 사용하려면,
.spec.updateStrategy.type
에 RollingUpdate
를 설정해야 한다.
.spec.updateStrategy.rollingUpdate.maxUnavailable
(기본값은 1),
.spec.minReadySeconds
(기본값은 0),
.spec.maxSurge
(베타 기능, 기본값은 25%)를
설정할 수도 있다.
RollingUpdate
업데이트 전략으로 데몬셋 생성이 YAML 파일은 'RollingUpdate'를 업데이트 전략으로 사용하여 데몬셋을 명시한다.
apiVersion: apps/v1
kind: DaemonSet
metadata:
name: fluentd-elasticsearch
namespace: kube-system
labels:
k8s-app: fluentd-logging
spec:
selector:
matchLabels:
name: fluentd-elasticsearch
updateStrategy:
type: RollingUpdate
rollingUpdate:
maxUnavailable: 1
template:
metadata:
labels:
name: fluentd-elasticsearch
spec:
tolerations:
# 이 톨러레이션(toleration)은 마스터 노드에서 실행 가능한 데몬셋이
# 마스터에서 파드를 실행할 수 없는 경우 이를 제거하는 것이다
- key: node-role.kubernetes.io/master
effect: NoSchedule
containers:
- name: fluentd-elasticsearch
image: quay.io/fluentd_elasticsearch/fluentd:v2.5.2
volumeMounts:
- name: varlog
mountPath: /var/log
- name: varlibdockercontainers
mountPath: /var/lib/docker/containers
readOnly: true
terminationGracePeriodSeconds: 30
volumes:
- name: varlog
hostPath:
path: /var/log
- name: varlibdockercontainers
hostPath:
path: /var/lib/docker/containers
데몬셋 매니페스트의 업데이트 전략을 확인한 후, 데몬셋을 생성한다.
kubectl create -f https://k8s.io/examples/controllers/fluentd-daemonset.yaml
또는, kubectl apply
로 데몬셋을 업데이트하려는 경우, 동일한 데몬셋을
생성하는 데 kubectl apply
를 사용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controllers/fluentd-daemonset.yaml
RollingUpdate
업데이트 전략 확인데몬셋의 업데이트 전략을 확인하고, RollingUpdate
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kubectl get ds/fluentd-elasticsearch -o go-template='{{.spec.updateStrategy.type}}{{"\n"}}' -n kube-system
시스템에서 데몬셋을 생성하지 않은 경우, 대신 다음의 명령으로 데몬셋 매니페스트를 확인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controllers/fluentd-daemonset.yaml --dry-run=client -o go-template='{{.spec.updateStrategy.type}}{{"\n"}}'
두 명령의 출력 결과는 다음과 같아야 한다.
RollingUpdate
출력 결과가 RollingUpdate
가 아닌 경우, 이전 단계로 돌아가서 데몬셋 오브젝트나 매니페스트를
적절히 수정한다.
RollingUpdate
데몬셋 .spec.template
에 대한 업데이트는 롤링 업데이트를
트리거한다. 새 YAML 파일을 적용하여 데몬셋을 업데이트한다. 이것은 여러 가지 다른 kubectl
명령으로 수행할 수 있다.
apiVersion: apps/v1
kind: DaemonSet
metadata:
name: fluentd-elasticsearch
namespace: kube-system
labels:
k8s-app: fluentd-logging
spec:
selector:
matchLabels:
name: fluentd-elasticsearch
updateStrategy:
type: RollingUpdate
rollingUpdate:
maxUnavailable: 1
template:
metadata:
labels:
name: fluentd-elasticsearch
spec:
tolerations:
# 이 톨러레이션(toleration)은 마스터 노드에서 실행 가능한 데몬셋이
# 마스터에서 파드를 실행할 수 없는 경우 이를 제거하는 것이다
- key: node-role.kubernetes.io/master
effect: NoSchedule
containers:
- name: fluentd-elasticsearch
image: quay.io/fluentd_elasticsearch/fluentd:v2.5.2
resources:
limits:
memory: 200Mi
requests:
cpu: 100m
memory: 200Mi
volumeMounts:
- name: varlog
mountPath: /var/log
- name: varlibdockercontainers
mountPath: /var/lib/docker/containers
readOnly: true
terminationGracePeriodSeconds: 30
volumes:
- name: varlog
hostPath:
path: /var/log
- name: varlibdockercontainers
hostPath:
path: /var/lib/docker/containers
구성 파일을
사용하여 데몬셋을 업데이트하는 경우,
kubectl apply
를 사용한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controllers/fluentd-daemonset-update.yaml
명령형 커맨드를
사용하여 데몬셋을 업데이트하는 경우,
kubectl edit
를 사용한다.
kubectl edit ds/fluentd-elasticsearch -n kube-system
데몬셋 템플릿(예: .spec.template.spec.containers[*].image
)에 의해 정의된 컨테이너 이미지만 업데이트하려면,
kubectl set image
를 사용한다.
kubectl set image ds/fluentd-elasticsearch fluentd-elasticsearch=quay.io/fluentd_elasticsearch/fluentd:v2.6.0 -n kube-system
마지막으로, 최신 데몬셋 롤링 업데이트의 롤아웃 상태를 관찰한다.
kubectl rollout status ds/fluentd-elasticsearch -n kube-system
롤아웃이 완료되면, 출력 결과는 다음과 비슷하다.
daemonset "fluentd-elasticsearch" successfully rolled out
가끔씩, 데몬셋 롤링 업데이트가 더 이상 진행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원인은 다음과 같다.
적어도 하나의 노드에서 새 데몬셋 파드를 스케줄링할 수 없어서 롤아웃이 중단되었다. 노드에 리소스가 부족할 때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kubectl get nodes
의 출력 결과와 다음의 출력 결과를 비교하여
데몬셋 파드가 스케줄링되지 않은 노드를 찾는다.
kubectl get pods -l name=fluentd-elasticsearch -o wide -n kube-system
해당 노드를 찾으면, 데몬셋이 아닌 파드를 노드에서 삭제하여 새 데몬셋 파드를 위한 공간을 생성한다.
최근 데몬셋 템플릿 업데이트가 중단된 경우(예를 들어, 컨테이너가 계속 크래시되거나, 컨테이너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종종 오타로 인해)), 데몬셋 롤아웃이 진행되지 않는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데몬셋 템플릿을 다시 업데이트한다. 이전의 비정상 롤아웃으로 인해 새로운 롤아웃이 차단되지는 않는다.
데몬셋에 .spec.minReadySeconds
가 명시된 경우, 마스터와 노드 사이의
클럭 차이로 인해 데몬셋이 올바른 롤아웃 진행 상황을 감지할 수
없다.
네임스페이스에서 데몬셋을 삭제한다.
kubectl delete ds fluentd-elasticsearch -n kube-system
이 페이지는 데몬셋에서 롤백을 수행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필요하고,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이 클러스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튜토리얼은 컨트롤 플레인 호스트가 아닌 노드가 적어도 2개 포함된 클러스터에서 실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아직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minikube를 사용해서 생성하거나 다음의 쿠버네티스 플레이그라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쿠버네티스 서버의 버전은 다음과 같거나 더 높아야 함. 버전: 1.7. 버전 확인을 위해서, 다음 커맨드를 실행kubectl version
.
데몬셋에서 롤링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방법을 이미 알고 있어야 한다.
마지막 리비전으로 롤백하려는 경우 이 단계를 건너뛸 수 있다.
데몬셋의 모든 리비전을 나열한다.
kubectl rollout history daemonset <daemonset-name>
이 명령은 데몬셋 리비전 목록을 반환한다.
daemonsets "<daemonset-name>"
REVISION CHANGE-CAUSE
1 ...
2 ...
...
kubernetes.io/change-cause
에서
생성 시의 리비전으로 복사된다. 변경 원인 어노테이션에서 실행된 명령을 기록하도록
kubectl
에 --record=true
를 지정할 수 있다.특정 리비전의 세부 사항을 보려면 다음을 수행한다.
kubectl rollout history daemonset <daemonset-name> --revision=1
이 명령은 해당 리비전의 세부 사항을 반환한다.
daemonsets "<daemonset-name>" with revision #1
Pod Template:
Labels: foo=bar
Containers:
app:
Image: ...
Port: ...
Environment: ...
Mounts: ...
Volumes: ...
# --to-revision에 1단계에서 얻는 리비전 번호를 지정한다
kubectl rollout undo daemonset <daemonset-name> --to-revision=<revision>
성공하면, 명령은 다음을 반환한다.
daemonset "<daemonset-name>" rolled back
--to-revision
플래그를 지정하지 않은 경우, kubectl은 가장 최신의 리비전을 선택한다.
kubectl rollout undo daemonset
은 서버에 데몬셋 롤백을 시작하도록
지시한다. 실제 롤백은 클러스터 컨트롤 플레인
내에서 비동기적으로 수행된다.
롤백 진행 상황을 보려면 다음의 명령을 수행한다.
kubectl rollout status ds/<daemonset-name>
롤백이 완료되면, 출력 결과는 다음과 비슷하다.
daemonset "<daemonset-name>" successfully rolled out
이전 kubectl rollout history
단계에서, 데몬셋 리비전 목록을
얻었다. 각 리비전은 ControllerRevision이라는 리소스에 저장된다.
각 리비전에 저장된 내용을 보려면, 데몬셋 리비전 원시 리소스를 찾는다.
kubectl get controllerrevision -l <daemonset-selector-key>=<daemonset-selector-value>
이 명령은 ControllerRevision의 목록을 반환한다.
NAME CONTROLLER REVISION AGE
<daemonset-name>-<revision-hash> DaemonSet/<daemonset-name> 1 1h
<daemonset-name>-<revision-hash> DaemonSet/<daemonset-name> 2 1h
각 ControllerRevision은 데몬셋 리비전의 어노테이션과 템플릿을 저장한다.
kubectl rollout undo
는 특정 ControllerRevision을 가져와 데몬셋
템플릿을 ControllerRevision에 저장된 템플릿으로 바꾼다.
kubectl rollout undo
는 kubectl edit
또는 kubectl apply
와 같은 다른 명령을 통해
데몬셋 템플릿을 이전 리비전으로 업데이트하는 것과
같다.
.revision
필드)가 증가한다. 예를 들어,
시스템에 리비전 1과 2가 있고, 리비전 2에서 리비전 1으로 롤백하면,
ControllerRevision은 .revision: 1
에서 .revision: 3
이 된다.
파드의 /etc/hosts
파일에 항목을 추가하는 것은 DNS나 다른 방법들이 적용되지 않을 때 파드 수준의 호스트네임 해석을 제공한다. PodSpec의 HostAliases 항목을 사용하여 이러한 사용자 정의 항목들을 추가할 수 있다.
HostAliases를 사용하지 않은 수정은 권장하지 않는데, 이는 호스트 파일이 kubelet에 의해 관리되고, 파드 생성/재시작 중에 덮어쓰여질 수 있기 때문이다.
파드 IP가 할당된 Nginx 파드를 시작한다.
kubectl run nginx --image nginx
pod/nginx created
파드 IP를 확인해보자.
kubectl get pods --output=wide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IP NODE
nginx 1/1 Running 0 13s 10.200.0.4 worker0
호스트 파일의 내용은 아래와 같을 것이다.
kubectl exec nginx -- cat /etc/hosts
# Kubernetes-managed hosts file.
127.0.0.1 localhost
::1 localhost ip6-localhost ip6-loopback
fe00::0 ip6-localnet
fe00::0 ip6-mcastprefix
fe00::1 ip6-allnodes
fe00::2 ip6-allrouters
10.200.0.4 nginx
기본적으로, hosts
파일은 localhost
와 자기 자신의 호스트네임과 같은 IPv4와 IPv6
상용구들만 포함하고 있다.
기본 상용구 이외에, 추가 항목들을 hosts
파일에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foo.local
, bar.local
이 127.0.0.1
로,
foo.remote
, bar.remote
가 10.1.2.3
로 해석될 수 있도록, .spec.hostAliases
항목에서 정의하여 파드에
HostAliases를 추가하면 가능하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hostaliases-pod
spec:
restartPolicy: Never
hostAliases:
- ip: "127.0.0.1"
hostnames:
- "foo.local"
- "bar.local"
- ip: "10.1.2.3"
hostnames:
- "foo.remote"
- "bar.remote"
containers:
- name: cat-hosts
image: busybox
command:
- cat
args:
- "/etc/hosts"
다음을 실행하여 해당 구성으로 파드를 실행할 수 있다.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service/networking/hostaliases-pod.yaml
pod/hostaliases-pod created
파드의 세부 정보를 검토하여 IPv4 주소와 상태를 확인해보자.
kubectl get pod --output=wide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IP NODE
hostaliases-pod 0/1 Completed 0 6s 10.200.0.5 worker0
hosts
파일 내용은 아래와 같다.
kubectl logs hostaliases-pod
# Kubernetes-managed hosts file.
127.0.0.1 localhost
::1 localhost ip6-localhost ip6-loopback
fe00::0 ip6-localnet
fe00::0 ip6-mcastprefix
fe00::1 ip6-allnodes
fe00::2 ip6-allrouters
10.200.0.5 hostaliases-pod
# Entries added by HostAliases.
127.0.0.1 foo.local bar.local
10.1.2.3 foo.remote bar.remote
가장 마지막에 추가 항목들이 정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컨테이너가 이미 시작되고 난 후 도커가 파일을
수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Kubelet은 파드의 각 컨테이너의 hosts
파일을
관리한다.
컨테이너 내부의 호스트 파일을 수동으로 변경하면 안된다.
호스트 파일을 수동으로 변경하면, 컨테이너가 종료되면 변경 사항이 손실된다.
이 문서는 IPv4/IPv6 이중 스택이 활성화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들을 어떻게 검증하는지 설명한다.
kubectl version
.
각각의 이중 스택 노드는 단일 IPv4 블록 및 단일 IPv6 블록을 할당받아야 한다. IPv4/IPv6 파드 주소 범위를 다음 커맨드를 실행하여 검증한다. 샘플 노드 이름을 클러스터 내 검증된 이중 스택 노드로 대체한다. 본 예제에서, 노드 이름은 k8s-linuxpool1-34450317-0
이다.
kubectl get nodes k8s-linuxpool1-34450317-0 -o go-template --template='{{range .spec.podCIDRs}}{{printf "%s\n" .}}{{end}}'
10.244.1.0/24
a00:100::/24
단일 IPv4 블록과 단일 IPv6 블록이 할당되어야 한다.
노드가 IPv4 및 IPv6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는지 검증한다. 노드 이름을 클러스터의 검증된 노드로 대체한다. 본 예제에서 노드 이름은 k8s-linuxpool1-34450317-0
이다.
kubectl get nodes k8s-linuxpool1-34450317-0 -o go-template --template='{{range .status.addresses}}{{printf "%s: %s\n" .type .address}}{{end}}'
Hostname: k8s-linuxpool1-34450317-0
InternalIP: 10.240.0.5
InternalIP: 2001:1234:5678:9abc::5
파드가 IPv4 및 IPv6 주소를 할당받았는지 검증한다. 파드 이름을 클러스터에서 검증된 파드로 대체한다. 본 예제에서 파드 이름은 pod01
이다.
kubectl get pods pod01 -o go-template --template='{{range .status.podIPs}}{{printf "%s\n" .ip}}{{end}}'
10.244.1.4
a00:100::4
status.podIPs
fieldPath를 통한 다운워드(downward) API로 파드 IP들을 검증할 수도 있다. 다음 스니펫은 컨테이너 내 MY_POD_IPS
라는 환경 변수를 통해 파드 IP들을 어떻게 노출시킬 수 있는지 보여준다.
env:
- name: MY_POD_IPS
valueFrom:
fieldRef:
fieldPath: status.podIPs
다음 커맨드는 컨테이너 내 MY_POD_IPS
환경 변수의 값을 출력한다. 해당 값은 파드의 IPv4 및 IPv6 주소를 나타내는 쉼표로 구분된 목록이다.
kubectl exec -it pod01 -- set | grep MY_POD_IPS
MY_POD_IPS=10.244.1.4,a00:100::4
파드의 IP 주소는 또한 컨테이너 내 /etc/hosts
에 적힐 것이다. 다음 커맨드는 이중 스택 파드의 /etc/hosts
에 cat을 실행시킨다. 출력 값을 통해 파드의 IPv4 및 IPv6 주소 모두 검증할 수 있다.
kubectl exec -it pod01 -- cat /etc/hosts
# Kubernetes-managed hosts file.
127.0.0.1 localhost
::1 localhost ip6-localhost ip6-loopback
fe00::0 ip6-localnet
fe00::0 ip6-mcastprefix
fe00::1 ip6-allnodes
fe00::2 ip6-allrouters
10.244.1.4 pod01
a00:100::4 pod01
.spec.ipFamilyPolicy
를 명시적으로 정의하지 않은 다음의 서비스를 생성한다. 쿠버네티스는 처음 구성된 service-cluster-ip-range
에서 서비스에 대한 클러스터 IP를 할당하고 .spec.ipFamilyPolicy
를 SingleStack
으로 설정한다.
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my-service
labels:
app: MyApp
spec:
selector:
app: MyApp
ports:
- protocol: TCP
port: 80
kubectl
을 사용하여 서비스의 YAML을 확인한다.
kubectl get svc my-service -o yaml
이 서비스에서 .spec.ipFamilyPolicy
를 SingleStack
으로 설정하고 .spec.clusterIP
를 kube-controller-manager의 --service-cluster-ip-range
플래그를 통해 설정된 첫 번째 구성 범위에서 IPv4 주소로 설정한다.
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my-service
namespace: default
spec:
clusterIP: 10.0.217.164
clusterIPs:
- 10.0.217.164
ipFamilies:
- IPv4
ipFamilyPolicy: SingleStack
ports:
- port: 80
protocol: TCP
targetPort: 9376
selector:
app: MyApp
sessionAffinity: None
type: ClusterIP
status:
loadBalancer: {}
.spec.ipFamilies
의 첫 번째 배열 요소로 IPv6
을 명시적으로 정의하는 다음 서비스를 생성한다. Kubernetes는 service-cluster-ip-range
로 구성된 IPv6 범위에서 서비스용 클러스터 IP를 할당하고 .spec.ipFamilyPolicy
를 SingleStack
으로 설정한다.
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my-service
spec:
ipFamily: IPv4
selector:
app: MyApp
ports:
- protocol: TCP
port: 80
targetPort: 9376
kubectl
를 사용하여 서비스의 YAML을 확인한다.
kubectl get svc my-service -o yaml
이 서비스에서 .spec.ipFamilyPolicy
를 SingleStack
으로 설정하고 .spec.clusterIP
를 kube-controller-manager의 --service-cluster-ip-range
플래그를 통해 설정된 IPv6 범위에서 IPv6 주소로 설정한다.
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labels:
app: MyApp
name: my-service
spec:
clusterIP: fd00::5118
clusterIPs:
- fd00::5118
ipFamilies:
- IPv6
ipFamilyPolicy: SingleStack
ports:
- port: 80
protocol: TCP
targetPort: 80
selector:
app: MyApp
sessionAffinity: None
type: ClusterIP
status:
loadBalancer: {}
PreferDualStack
에 .spec.ipFamilyPolicy
을 명시적으로 정의하는 다음 서비스를 생성한다. 쿠버네티스는 IPv4 및 IPv6 주소를 모두 할당하고 (이 클러스터에는 이중 스택을 사용하도록 설정되었으므로) .spec.ipFamilies
배열에 있는 첫 번째 요소의 주소 계열을 기반으로.spec.ClusterIP
목록에서 .spec.ClusterIPs
를 선택한다.
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my-service
labels:
app: MyApp
spec:
ipFamilyPolicy: PreferDualStack
selector:
app: MyApp
ports:
- protocol: TCP
port: 80
kubectl get svc
명령어는 오직 CLUSTER-IP
필드에 주요 IP만 표시한다.
kubectl get svc -l app=MyApp
NAME TYPE CLUSTER-IP EXTERNAL-IP PORT(S) AGE
my-service ClusterIP 10.0.216.242 <none> 80/TCP 5s
서비스가 kubectl describe
를 사용하여 IPv4 및 IPv6 주소 블록에서 클러스터 IP를 가져오는지 확인한다. 그런 다음 IP 및 포트를 통해 서비스에 대한 접속을 확인할 수 있다.
kubectl describe svc -l app=MyApp
Name: my-service
Namespace: default
Labels: app=MyApp
Annotations: <none>
Selector: app=MyApp
Type: ClusterIP
IP Family Policy: PreferDualStack
IP Families: IPv4,IPv6
IP: 10.0.216.242
IPs: 10.0.216.242,fd00::af55
Port: <unset> 80/TCP
TargetPort: 9376/TCP
Endpoints: <none>
Session Affinity: None
Events: <none>
만약 클라우드 제공자가 IPv6 기반 외부 로드 밸런서 구성을 지원한다면 .spec.ipFamilyPolicy
의 PreferDualStack
과 .spec.ipFamilies
배열의 첫 번째 요소로 IPv6
및 LoadBalancer
로 설정된 type
필드를 사용하여 다음 서비스를 생성한다.
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my-service
labels:
app: MyApp
spec:
ipFamily: IPv6
type: LoadBalancer
selector:
app: MyApp
ports:
- protocol: TCP
port: 80
targetPort: 9376
Check the Service:
kubectl get svc -l app=MyApp
서비스가 IPv6 주소 블록에서 CLUSTER-IP
주소 및 EXTERNAL-IP
주소를 할당받는지 검증한다. 그리고 나서 IP 및 포트로 서비스 접근이 가능한지 검증할 수 있다.
NAME TYPE CLUSTER-IP EXTERNAL-IP PORT(S) AGE
my-service LoadBalancer fd00::7ebc 2603:1030:805::5 80:30790/TCP 35s
Kubernetes v1.10 [beta]
쿠버네티스는 AMD 및 NVIDIA GPU(그래픽 프로세싱 유닛)를 노드들에 걸쳐 관리하기 위한 실험적인 지원을 포함한다.
이 페이지는 여러 쿠버네티스 버전에서 사용자가 GPU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과 현재의 제약 사항을 설명한다.
쿠버네티스는 디바이스 플러그인을 구현하여 파드가 GPU와 같이 특별한 하드웨어 기능에 접근할 수 있게 한다.
관리자는 해당하는 하드웨어 벤더의 GPU 드라이버를 노드에 설치해야 하며, GPU 벤더가 제공하는 디바이스 플러그인을 실행해야 한다.
위의 조건이 만족되면, 쿠버네티스는 amd.com/gpu
또는
nvidia.com/gpu
를 스케줄 가능한 리소스로써 노출시킨다.
사용자는 이 GPU들을 cpu
나 memory
를 요청하는 방식과 동일하게
<vendor>.com/gpu
를 요청함으로써 컨테이너에서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GPU를 사용할 때는 리소스 요구 사항을 명시하는 방식에 약간의
제약이 있다.
limits
섹션에서만 명시되는 것을 가정한다. 그 의미는 다음과 같다.
limits
를 명시할 때 requests
명시하지 않아도 된다.limits
과 requests
를 모두 명시할 수 있지만, 두 값은
동일해야 한다.limits
명시 없이는 GPU requests
를 명시할 수 없다.다음은 한 예제를 보여준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cuda-vector-add
spec:
restartPolicy: OnFailure
containers:
- name: cuda-vector-add
# https://github.com/kubernetes/kubernetes/blob/v1.7.11/test/images/nvidia-cuda/Dockerfile
image: "k8s.gcr.io/cuda-vector-add:v0.1"
resources:
limits:
nvidia.com/gpu: 1 # GPU 1개 요청하기
공식 AMD GPU 디바이스 플러그인에는 다음의 요구 사항이 있다.
클러스터가 실행 중이고 위의 요구 사항이 만족된 후, AMD 디바이스 플러그인을 배치하기 위해서는 아래 명령어를 실행한다.
kubectl create -f https://raw.githubusercontent.com/RadeonOpenCompute/k8s-device-plugin/v1.10/k8s-ds-amdgpu-dp.yaml
RadeonOpenCompute/k8s-device-plugin에 이슈를 로깅하여 해당 서드 파티 디바이스 플러그인에 대한 이슈를 리포트할 수 있다.
현재는 NVIDIA GPU에 대한 두 개의 디바이스 플러그인 구현체가 있다.
공식 NVIDIA GPU 디바이스 플러그인은 다음의 요구 사항을 가진다.
nvidia-container-runtime
이 기본 런타임으로
설정되어야 한다.클러스터가 실행 중이고 위의 요구 사항이 만족된 후, NVIDIA 디바이스 플러그인을 배치하기 위해서는 아래 명령어를 실행한다.
kubectl create -f https://raw.githubusercontent.com/NVIDIA/k8s-device-plugin/1.0.0-beta4/nvidia-device-plugin.yml
NVIDIA/k8s-device-plugin에 이슈를 로깅하여 해당 서드 파티 디바이스 플러그인에 대한 이슈를 리포트할 수 있다.
GCE에서 사용되는 NVIDIA GPU 디바이스 플러그인은 nvidia-docker의 사용이 필수가 아니며 컨테이너 런타임 인터페이스(CRI)에 호환되는 다른 컨테이너 런타임을 사용할 수 있다. 해당 사항은 컨테이너에 최적화된 OS에서 테스트되었고, 우분투 1.9 이후 버전에 대한 실험적인 코드를 가지고 있다.
사용자는 다음 커맨드를 사용하여 NVIDIA 드라이버와 디바이스 플러그인을 설치할 수 있다.
# 컨테이너에 최적회된 OS에 NVIDIA 드라이버 설치:
kubectl create -f https://raw.githubusercontent.com/GoogleCloudPlatform/container-engine-accelerators/stable/daemonset.yaml
# 우분투에 NVIDIA 드라이버 설치(실험적):
kubectl create -f https://raw.githubusercontent.com/GoogleCloudPlatform/container-engine-accelerators/stable/nvidia-driver-installer/ubuntu/daemonset.yaml
# 디바이스 플러그인 설치:
kubectl create -f https://raw.githubusercontent.com/kubernetes/kubernetes/release-1.14/cluster/addons/device-plugins/nvidia-gpu/daemonset.yaml
GoogleCloudPlatform/container-engine-accelerators에 이슈를 로깅하여 해당 서드 파티 디바이스 플러그인에 대한 이슈를 리포트할 수 있다.
Google은 GKE에서 NVIDIA GPU 사용에 대한 자체 설명서를 게재하고 있다.
만약 클러스터의 노드들이 서로 다른 타입의 GPU를 가지고 있다면, 사용자는 파드를 적합한 노드에 스케줄 하기 위해서 노드 레이블과 노드 셀렉터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 노드가 가진 가속기 타입에 따라 레이블을 단다.
kubectl label nodes <node-with-k80> accelerator=nvidia-tesla-k80
kubectl label nodes <node-with-p100> accelerator=nvidia-tesla-p100
만약 AMD GPU 디바이스를 사용하고 있다면, 노드 레이블러를 배치할 수 있다. 노드 레이블러는 GPU 디바이스의 속성에 따라서 노드에 자동으로 레이블을 달아 주는 컨트롤러이다.
현재 이 컨트롤러는 다음의 속성에 대해 레이블을 추가할 수 있다.
kubectl describe node cluster-node-23
Name: cluster-node-23
Roles: <none>
Labels: beta.amd.com/gpu.cu-count.64=1
beta.amd.com/gpu.device-id.6860=1
beta.amd.com/gpu.family.AI=1
beta.amd.com/gpu.simd-count.256=1
beta.amd.com/gpu.vram.16G=1
beta.kubernetes.io/arch=amd64
beta.kubernetes.io/os=linux
kubernetes.io/hostname=cluster-node-23
Annotations: kubeadm.alpha.kubernetes.io/cri-socket: /var/run/dockershim.sock
node.alpha.kubernetes.io/ttl: 0
…
노드 레이블러가 사용된 경우, GPU 타입을 파드 스펙에 명시할 수 있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cuda-vector-add
spec:
restartPolicy: OnFailure
containers:
- name: cuda-vector-add
# https://github.com/kubernetes/kubernetes/blob/v1.7.11/test/images/nvidia-cuda/Dockerfile
image: "k8s.gcr.io/cuda-vector-add:v0.1"
resources:
limits:
nvidia.com/gpu: 1
nodeSelector:
accelerator: nvidia-tesla-p100 # 또는 nvidia-tesla-k80 등.
이것은 파드가 사용자가 지정한 GPU 타입을 가진 노드에 스케줄 되도록 만든다.
Kubernetes v1.22 [stable]
쿠버네티스는 파드의 애플리케이션에 미리 할당된 huge page의 할당과 사용을 지원한다. 이 페이지에서는 사용자가 huge page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노드는 모든 huge page 리소스를 스케줄 가능한 리소스로 자동 검색하고 보고한다.
리소스 이름 hugepages-<size>
(<size>
는 특정 노드에서 지원되는 정수값을
사용하는 가장 간단한 2진 표기법)를 사용하여 컨테이너 레벨의 리소스
요구 사항을 통해 huge page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드가 2048KiB 및 1048576KiB 페이지 크기를 지원하는 경우, 스케줄 가능한
리소스인 hugepages-2Mi
와 hugepages-1Gi
를 노출한다. CPU나 메모리와 달리,
huge page는 오버커밋을 지원하지 않는다. 참고로 hugepage 리소스를 요청하는 경우,
메모리 또는 CPU 리소스도 요청해야 한다.
파드는 단일 파드 스펙에 여러 개의 huge page 크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든 볼륨 마운트에 대해 medium: HugePages-<hugepagesize>
표기법을 사용해야 한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huge-pages-example
spec:
containers:
- name: example
image: fedora:latest
command:
- sleep
- inf
volumeMounts:
- mountPath: /hugepages-2Mi
name: hugepage-2mi
- mountPath: /hugepages-1Gi
name: hugepage-1gi
resources:
limits:
hugepages-2Mi: 100Mi
hugepages-1Gi: 2Gi
memory: 100Mi
requests:
memory: 100Mi
volumes:
- name: hugepage-2mi
emptyDir:
medium: HugePages-2Mi
- name: hugepage-1gi
emptyDir:
medium: HugePages-1Gi
파드는 동일한 크기의 huge page들을 요청하는 경우에만 medium: HugePages
를 사용할 수 있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huge-pages-example
spec:
containers:
- name: example
image: fedora:latest
command:
- sleep
- inf
volumeMounts:
- mountPath: /hugepages
name: hugepage
resources:
limits:
hugepages-2Mi: 100Mi
memory: 100Mi
requests:
memory: 100Mi
volumes:
- name: hugepage
emptyDir:
medium: HugePages
shmget()
의 SHM_HUGETLB
를 통해 huge page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은
proc/sys/vm/hugetlb_shm_group
과 일치하는 보충 그룹(supplemental group)으로 실행해야 한다.hugepages-<size>
토큰을 사용하는 cpu
또는 memory
와 같은
다른 컴퓨트 리소스와 비슷한 리소스쿼터(ResourceQuota)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이 가이드는 kubectl 확장을 설치하고 작성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핵심 kubectl
명령을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와 상호 작용하기 위한 필수 구성 요소로 생각함으로써, 클러스터 관리자는
플러그인을 이러한 구성 요소를 활용하여 보다 복잡한 동작을 만드는 수단으로 생각할 수 있다. 플러그인은 새로운 하위 명령으로 kubectl
을 확장하고, 주요 배포판에 포함되지 않은 kubectl
의 새로운 사용자 정의 기능을 허용한다.
동작하는 kubectl
바이너리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플러그인은 이름이 kubectl-
로 시작되는 독립형 실행 파일이다. 플러그인을 설치하려면, 실행 파일을 PATH
에 지정된 디렉터리로 옮기면 된다.
Krew를 사용하여 오픈소스에서 사용 가능한 kubectl 플러그인을 검색하고 설치할 수도 있다. Krew는 쿠버네티스 SIG CLI 커뮤니티에서 관리하는 플러그인 관리자이다.
kubectl
은 유효한 플러그인 실행 파일을 PATH
에서 검색하는 kubectl plugin list
명령을 제공한다.
이 명령을 실행하면 PATH
에 있는 모든 파일을 탐색한다. 실행 가능하고, kubectl-
로 시작하는 모든 파일은 이 명령의 출력 결과에 PATH
에 있는 순서대로 표시된다.
실행 파일이 아닌 파일이 kubectl-
시작하는 경우 경고가 포함된다.
서로의 이름과 겹치는 유효한 플러그인 파일에 대한 경고도 포함된다.
Krew를 사용하여 커뮤니티가 관리하는
플러그인 인덱스에서 kubectl
플러그인을 검색하고 설치할 수 있다.
현재 기존 kubectl
명령을 덮어 쓰는 플러그인을 생성할 수 없다. 예를 들어, 플러그인 kubectl-version
을 만들면 기존의 kubectl version
명령이 항상 우선하므로, 플러그인이 실행되지 않는다. 이 제한으로 인해,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기존 kubectl
명령에 새로운 하위 명령을 추가할 수도 없다. 예를 들어, 플러그인 이름을 kubectl-create-foo
로 지정하여 kubectl create foo
하위 명령을 추가하면 해당 플러그인이 무시된다.
kubectl plugin list
는 이를 시도하는 유효한 플러그인에 대한 경고를 표시한다.
커맨드-라인 명령을 작성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나 스크립트로 플러그인을 작성할 수 있다.
플러그인 설치 또는 사전 로딩이 필요하지 않다. 플러그인 실행 파일은
kubectl
바이너리에서 상속된 환경을 받는다.
플러그인은 이름을 기반으로 구현할 명령 경로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kubectl-foo
라는 플러그인은 kubectl foo
명령을 제공한다.
PATH
어딘가에 플러그인 실행 파일을 설치해야 한다.
#!/bin/bash
# 선택적 인수 처리
if [[ "$1" == "version" ]]
then
echo "1.0.0"
exit 0
fi
# 선택적 인수 처리
if [[ "$1" == "config" ]]
then
echo "$KUBECONFIG"
exit 0
fi
echo "I am a plugin named kubectl-foo"
플러그인을 사용하려면, 실행 가능하게 만든다.
sudo chmod +x ./kubectl-foo
그리고 PATH
의 어느 곳에나 옮겨 놓는다.
sudo mv ./kubectl-foo /usr/local/bin
이제 플러그인을 kubectl
명령으로 호출할 수 있다.
kubectl foo
I am a plugin named kubectl-foo
모든 인수와 플래그는 그대로 실행 파일로 전달된다.
kubectl foo version
1.0.0
모든 환경 변수도 실행 파일로 그대로 전달된다.
export KUBECONFIG=~/.kube/config
kubectl foo config
/home/<user>/.kube/config
KUBECONFIG=/etc/kube/config kubectl foo config
/etc/kube/config
또한, 플러그인으로 전달되는 첫 번째 인수는 항상 호출된 위치의 전체 경로이다(위의 예에서 $0
은 /usr/local/bin/kubectl-foo
와 동일하다).
위 예제에서 볼 수 있듯이, 플러그인은 파일명을 기반으로 구현할 명령 경로를 결정한다. 플러그인이 대상으로 하는 명령 경로의 모든 하위 명령은 대시(-
)로 구분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kubectl foo bar baz
명령을 호출할 때마다 호출되는 플러그인은 파일명이 kubectl-foo-bar-baz
이다.
플러그인 메커니즘은 플러그인 프로세스에 대한 사용자 정의, 플러그인 특정 값 또는 환경 변수를 생성하지 않는다.
이전 kubectl 플러그인 메커니즘은 KUBECTL_PLUGINS_CURRENT_NAMESPACE
와 같이 더이상 사용하지 않는 환경 변수를 제공했다.
kubectl 플러그인은 전달된 모든 인수를 파싱하고 유효성을 검사해야 한다. 플러그인 작성자를 대상으로 하는 Go 라이브러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커맨드 라인 런타임 패키지 사용을 참고한다.
다음은 사용자가 추가 플래그와 인수를 제공하면서 플러그인을 호출하는 추가 사례이다. 이것은 위 시나리오의 kubectl-foo-bar-baz
플러그인을 기반으로한다.
kubectl foo bar baz arg1 --flag=value arg2
를 실행하면, kubectl의 플러그인 메커니즘은 먼저 가장 긴 가능한 이름을 가진 플러그인을 찾으려고 시도한다. 여기서는
kubectl-foo-bar-baz-arg1
이다. 해당 플러그인을 찾지 못하면, kubectl은 대시로 구분된 마지막 값을 인수(여기서는 arg1
)로 취급하고, 다음으로 가장 긴 가능한 이름인 kubectl-foo-bar-baz
를 찾는다.
이 이름의 플러그인을 찾으면, kubectl은 해당 플러그인을 호출하여, 플러그인 이름 뒤에 모든 인수와 플래그를 플러그인 프로세스의 인수로 전달한다.
예:
# 플러그인 생성
echo -e '#!/bin/bash\n\necho "My first command-line argument was $1"' > kubectl-foo-bar-baz
sudo chmod +x ./kubectl-foo-bar-baz
# $PATH에 있는 디렉터리로 옮겨 플러그인을 "설치"
sudo mv ./kubectl-foo-bar-baz /usr/local/bin
# 플러그인을 kubectl이 인식하는지 확인
kubectl plugin list
The following kubectl-compatible plugins are available:
/usr/local/bin/kubectl-foo-bar-baz
# test that calling your plugin via a "kubectl" command works
# even when additional arguments and flags are passed to your
# plugin executable by the user.
kubectl foo bar baz arg1 --meaningless-flag=true
My first command-line argument was arg1
보시다시피, 사용자가 지정한 kubectl
명령을 기반으로 플러그인을 찾았으며, 모든 추가 인수와 플래그는 플러그인 실행 파일이 발견되면 그대로 전달된다.
kubectl
플러그인 메커니즘은 플러그인 파일명에 대시(-
)를 사용하여 플러그인이 처리하는 하위 명령 시퀀스를 분리하지만, 파일명에
언더스코어(_
)를 사용하여 커맨드 라인 호출에 대시를 포함하는 플러그인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예:
# 파일명에 언더스코어(_)가 있는 플러그인 생성
echo -e '#!/bin/bash\n\necho "I am a plugin with a dash in my name"' > ./kubectl-foo_bar
sudo chmod +x ./kubectl-foo_bar
# $PATH에 플러그인을 옮긴다
sudo mv ./kubectl-foo_bar /usr/local/bin
# 이제 kubectl을 통해 플러그인을 사용할 수 있다
kubectl foo-bar
I am a plugin with a dash in my name
참고로 플러그인 파일명에 언더스코어를 추가해도 kubectl foo_bar
와 같은 명령을 사용할 수 있다.
위 예에서 명령은 대시(-
) 또는 언더스코어(_
)을 사용하여 호출할 수 있다.
# 대시를 포함한 사용자 정의 명령을 사용할 수 있다
kubectl foo-bar
I am a plugin with a dash in my name
# 언더스코어를 포함한 사용자 정의 명령을 사용할 수도 있다
kubectl foo_bar
I am a plugin with a dash in my name
PATH
의 다른 위치에 동일한 파일명을 가진 여러 플러그인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PATH
값이 PATH=/usr/local/bin/plugins:/usr/local/bin/moreplugins
로 주어지고, kubectl-foo
플러그인을 복사한 파일이 /usr/local/bin/plugins
와 /usr/local/bin/moreplugins
에 있을 수 있다.
kubectl plugin list
명령의 출력 결과는 다음과 같다.
PATH=/usr/local/bin/plugins:/usr/local/bin/moreplugins kubectl plugin list
The following kubectl-compatible plugins are available:
/usr/local/bin/plugins/kubectl-foo
/usr/local/bin/moreplugins/kubectl-foo
- warning: /usr/local/bin/moreplugins/kubectl-foo is overshadowed by a similarly named plugin: /usr/local/bin/plugins/kubectl-foo
error: one plugin warning was found
위 시나리오에서, /usr/local/bin/moreplugins/kubectl-foo
아래의 경고는 이 플러그인이 실행되지 않을 것임을 알려준다. 대신, PATH
에 먼저 나타나는 실행 파일인 /usr/local/bin/plugins/kubectl-foo
는 항상 발견되고 kubectl
플러그인 메카니즘에 의해 먼저 실행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kubectl
와 함께 사용하려는 플러그인의 위치가 PATH
에 항상에서 먼저 오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kubectl
명령 kubectl foo
가 호출될 때마다 항상 /usr/local/bin/moreplugins/kubectl-foo
를 사용하려면, PATH
의 값을 /usr/local/bin/moreplugins:/usr/local/bin/plugins
로 변경한다.
플러그인 파일명으로 발생할 수 있는 또 다른 종류의 오버셰도잉이 있다. 사용자의 PATH
에 kubectl-foo-bar
와 kubectl-foo-bar-baz
라는 두 개의 플러그인이 있다면, kubectl
플러그인 메커니즘은 항상 주어진 사용자의 명령에 대해 가장 긴 가능한 플러그인 이름을 선택한다. 아래에 몇 가지 예가 있다.
# 주어진 kubectl 명령의 경우, 가장 긴 가능한 파일명을 가진 플러그인이 항상 선호된다
kubectl foo bar baz
Plugin kubectl-foo-bar-baz is executed
kubectl foo bar
Plugin kubectl-foo-bar is executed
kubectl foo bar baz buz
Plugin kubectl-foo-bar-baz is executed, with "buz" as its first argument
kubectl foo bar buz
Plugin kubectl-foo-bar is executed, with "buz" as its first argument
이 디자인 선택은 필요한 경우 여러 파일에 플러그인 하위 명령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하위 명령을 "부모" 플러그인 명령 아래에 중첩할 수 있도록 한다.
ls ./plugin_command_tree
kubectl-parent
kubectl-parent-subcommand
kubectl-parent-subcommand-subsubcommand
위에서 언급한 kubectl plugin list
명령을 사용하여 kubectl
에 의해 플러그인이 표시되는지 확인하고, kubectl
명령으로 호출되지 못하게 하는 경고가 없는지 확인할 수 있다.
kubectl plugin list
The following kubectl-compatible plugins are available:
test/fixtures/pkg/kubectl/plugins/kubectl-foo
/usr/local/bin/kubectl-foo
- warning: /usr/local/bin/kubectl-foo is overshadowed by a similarly named plugin: test/fixtures/pkg/kubectl/plugins/kubectl-foo
plugins/kubectl-invalid
- warning: plugins/kubectl-invalid identified as a kubectl plugin, but it is not executable
error: 2 plugin warnings were found
kubectl 용 플러그인을 작성하고 있고 Go를 사용한다면, cli-runtime 유틸리티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라이브러리는 사용자의 kubeconfig 파일을 파싱이나 업데이트하거나, REST 스타일의 요청을 API 서버에 작성하거나, 구성 및 출력과 관련된 플래그를 바인딩하기 위한 헬퍼를 제공한다.
CLI 런타임 리포지터리에 제공된 도구 사용법의 예제는 샘플 CLI 플러그인을 참고한다.
다른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플러그인을 개발한 경우, 이를 패키징하고, 배포하고 사용자에게 업데이트를 제공하는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
Krew는 플러그인을 패키징하고 배포하는 크로스-플랫폼 방식을 제공한다. 이렇게 하면, 모든 대상 플랫폼(리눅스, 윈도우, macOS 등)에 단일 패키징 형식을 사용하고 사용자에게 업데이트를 제공한다. Krew는 또한 다른 사람들이 여러분의 플러그인을 검색하고 설치할 수 있도록 플러그인 인덱스를 유지 관리한다.
다른 방법으로는, 리눅스의 apt
나 yum
,
윈도우의 Chocolatey, macOS의 Homebrew와 같은 전통적인 패키지 관리자를 사용할 수 있다.
새 실행 파일을 사용자의 PATH
어딘가에 배치할 수 있는 패키지 관리자라면
어떤 패키지 관리자도 괜찮다.
플러그인 작성자로서, 이 옵션을 선택하면 각 릴리스의 여러 플랫폼에서
kubectl 플러그인의 배포 패키지를
업데이트해야 한다.
소스 코드를 게시(예를 들어, Git 리포지터리)할 수 있다. 이 옵션을 선택하면, 해당 플러그인을 사용하려는 사람이 코드를 가져와서, 빌드 환경을 설정하고(컴파일이 필요한 경우), 플러그인을 배포해야 한다. 컴파일된 패키지를 사용 가능하게 하거나, Krew를 사용하면 설치가 더 쉬워진다.